[ 인기글 ]
-
스크랩 - 세계의 건축가
역사상 가장 유명한 건축가 30 인
WARBLETONCOUNCIL 집 의료 백과 사전 과학 심리학 역사상 가장 유명한 건축가 30 인 작가: Randy Alexander 콘텐츠 역사상 가장 유명한 건축가 TOP 30 1-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 (1475-1564, 이탈리아) 2- 지안 로렌조 베르니니 (1598-1680, 이탈리아) 3- 우스타드 아마드 로하리 (1580-1649) 4- 익티노스 Ictinus (기원전 5 세기 후반) 5- 칼리 크라테스 (BC 470-420 BC) 6- 보나노 피사노 Bonanno Pisano (1150-1200) 7- 윌리엄 모리스 (1834-1896) 8- 안토니 가우디 (1852-1926) 9- 월터 그로피우스 (1883-1969) 10- 르 코르뷔지에 (1887-1965) 11- 미스 반 데르 로에..
-
스크랩 - 세계의 건축가
세계의 건축가 -016. 리차드 마이어 Richard Meier
1. 건축가 리차드 마이어 Richard Meier 리차드 마이어 Richard Meier (1934~, U.S.A) 연보 1934년 미국 뉴저지(New Jersey) 주 뉴어크(Newark) 출생. 1957년 코넬대학(Cornell University) 건축학과 졸업. 1959년 뉴욕에 있는 데이비스, 브로디, 위스뉴스키 사무실 근무. 1960년 뉴욕에 있는 S.O.M(Skidmore, Owings and Merrill) 근무. 1961~1963년 뉴욕 마르셀 브로이어(Marcel Breuer) 사무실 근무. 1963년 리차드 마이어 사무실 오픈. 1963~1966년 쿠퍼 유니온대학(Cooper Union) 건축과 보조강사. 1964년 시라쿠스대학(Syracuse University) 객원비평가. 19..
-
스크랩 - 세계의 건축가
세계의 건축가 -063. 세지마 카즈요와 니시자와 류에 - SANNA
1. 건축가 세지마 카즈요와 니시자와 류에 - SANNA 일본의 건축가1. 개요일본의 건축가 세지마 카즈요(妹島和世)와 니시자와 류에(西沢立衛)의 유닛 건축 사무소. SANAA는 Kazuyo Sejima + Ryue Nishizawa. Sejima And Nishizawa And Associates 의 약자라고 한다.2010년 프리츠커상 수상[1] 및 일본건축협회상 2회 수상, 금사자상 수상 등 일본 국내 뿐 아니라 세계구급으로 유명한 건축 유닛이다.2. 구성원세지마 카즈요(妹島和世: 사진에서 오른쪽)는 니혼여자대학 가정학부 주거학과 졸업. 이바라키현 히타치시 출신.니시자와 류에(西沢立衛: 사진에서 왼쪽)는 요코하마국립대학 공학부 건축학과 졸업.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출신.3. 특징특유의 심플한 디자인..
-
스크랩 - 세계의 건축가
세계의 건축가 -049. 도미니크 페로 Dominique Perrault
1. 자연과 지속가능함을 추구하는 건축가, 도미니크 페로 건축 스토리 2022년 6월 15일 자연을 소유하면서 동시에 보존하고 관리해야 하는 시대에, 그것이 인류의 책임이라고 강조하는 건축가 도미니크 페로. ‘2021 서울도시건축 비엔날레’의 소개 영상에서 “자연은 우리가 건물을 짓는 것처럼 지어져야 하며, 역사적 기념물들을 보존하는 것처럼 보호되어야 합니다"라는 말을 전하기도 하였는데요. 프랑스 출신 건축가인 도미니크 페로는 처음부터 건축을 시작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10년 정도 그림을 그리다 건축에 발을 들여 도시계획과 역사를 공부하기 시작한 그는 다양한 분야에서 얻은 지식을 활용해 자신의 건축물에 그대로 녹여냈습니다. 공간과 지형을 고려한 추상적이면서 세련된 기술부터, 부드러운 현대식 표면을 우아한..
-
숙박.상업시설
홈에버 천안점
홈에버 천안점 홈에버 천안점은 대형 가전 및 가구 매장을 운영하는 매장으로, 고객에게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입니다. 천안점은 넓은 판매 공간과 편리한 동선 설계로 고객들에게 쾌적한 쇼핑 환경을 제공하고 있으며, 지역 내에서 중요한 상업적 중심지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건축 설계와 관련된 주요 특징을 살펴보면, 고객 편의성, 공간 활용도, 그리고 에너지 효율성을 고려한 다양한 요소들이 반영되었습니다.1. 건축 개요홈에버 천안점의 건축은 현대적인 디자인과 실용성을 중심으로 설계되었습니다. 매장 외관은 세련되면서도 직관적인 디자인을 채택하여, 고객들이 매장을 쉽게 인식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건물은 총 4층 규모로, 각 층은 다양한 제품군을 전시하는 공간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1..
-
스크랩 - 세계의 건축가
세계의 건축가 -077. 소우 후지모토 Sou Fujimoto
1. 건축가 소우 후지모토 ( Sou Fujimoto ) 그는 1971년 8월 4일 일본 훗카이도에서 출생하였습니다. 그리고 1994년 도쿄대 공학부 건축학과를 졸업하였습니다. 대학생을 졸업하고 2000년 자신의 사무실을 개업하고 계속해서 자신의 꿈을 키워나갔답니다 후에 2004년 일본건축협회로 부터 신인상을 받으면서 주목을 받았습니다 ! 젊은 일본 건축가 중 가장 눈에 띄는 후지모토 소우라고 할 수 있겠네요. 일본건축은 거장에 의해 주도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한 생각과 신선한 감각을 가진 젊은 건축가들이 자신의 생각을 쏟아내면서 새로운 주류를 이루고 있다고 하네요. 그가 한 인터뷰에서 말한 내용에서 자신의 건축 스타일을 '원시적 미래(primitive future)이라고 불렀다. 그는 예전 원시시대에 우..
[ 최근 글 ]
-
자 연
부산 아치산둘레길 - 영도의 숨은 보석 (2025.05.03.)
부산 아치산둘레길부산 영도구에 위치한 아치산둘레길(아치둘레길)은 해양과 자연, 그리고 도시의 풍경이 어우러진 독특한 산책로로, 아직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지지 않은 부산의 숨은 명소 중 하나다. 이 길은 한국해양대학교가 자리 잡은 아치섬(조도)에 조성되어 있으며, 부산항과 오륙도, 태종대, 그리고 탁 트인 바다 전망을 한눈에 감상할 수 있는 특별한 경험을 선사한다235.1. 아치산둘레길의 개요와 역사아치산둘레길은 2019년 4월, 부산해양수산청이 약 29억 원을 들여 조성한 길이다. 전체 길이는 약 656m로 비교적 짧은 편이지만, 한국해양대학교 캠퍼스 구간까지 포함하면 약 1km에 달한다. 일부 산책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주변 산책로와 연계해 7.3km까지 확장된 루트도 소개하고 있다. 이 길은 세계에서 유..
-
아시아
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12) - 2025 경남건축사회 중국 건축답사 (상해 황포강 유람선 - 04.14.)
상하이 황포강 유람선 상하이 황포강 유람선은 도시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황푸강 위에서 상하이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상징하는 다양한 건축물을 감상할 수 있는 대표적인 관광 코스입니다. 유람선은 십육포 부두, 진링동로 부두 등 여러 곳에서 출발하며, 코스에 따라 1시간 내외의 단거리와 3시간이 넘는 장거리로 나뉩니다. 특히 야간 유람선은 조명으로 빛나는 상하이의 스카이라인을 한눈에 볼 수 있어 많은 여행자들이 찾고 있습니다 황포강 유람선에서 볼 수 있는 주요 건축물 1. 서안(와이탄, The Bund)의 역사적 건축물황푸강 서쪽, 즉 상하이의 푸시(浦西) 지역에는 19~20세기 초 서양 열강의 조계지 시절 지어진 다양한 유럽식 건축물이 늘어서 있습니다. 이 구역은 ‘세계 건축 박물관’이라 불릴 정도로..
-
아시아
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11) - 2025 경남건축사회 중국 건축답사 (상해임시정부 및 난징동루. 동방명주 타워 - 04.14.)
상해임시정부(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 상해임시정부는 1919년 4월 11일, 3·1운동 직후 중국 상하이 프랑스 조계지에서 수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청사입니다. 이곳은 일제강점기 조국의 독립을 위해 활동하던 독립운동가들이 모여 임시정부를 운영했던 상징적인 공간입니다 역사와 역할임시정부는 1919년 상하이에서 설립되어, 국내외 여러 임시정부를 통합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안창호, 이승만, 이동휘 등 주요 지도자들이 참여했으며, 상하이 임시정부는 독립운동의 지휘본부이자 대한민국 임시헌법을 제정한 법통 정부로서의 위상을 갖췄습니다상하이 프랑스 조계지에 위치한 덕분에 일본의 직접적인 간섭을 피할 수 있었고, 국제도시의 이점을 살려 외교 활동과 독립운동을 활발히 전개할 수 있었습니다청사의 위치와 변화임시정부는 ..
-
아시아
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10) - 2025 경남건축사회 중국 건축답사 (상해 폴리그랜드 시어트 - 04.14.)
상하이 폴리 그랜드 시어터(Shanghai Poly Grand Theatre) 건축과 도시, 그리고 예술의 경계에서상하이 폴리 그랜드 시어터(上海保利大剧院, Shanghai Poly Grand Theatre)는 중국 상하이시 자딩(Jiading)구에 위치한 대형 공연예술 공간으로, 세계적인 일본 건축가 안도 타다오(Tadao Ando)의 작품입니다. 이 극장은 단순한 공연장이 아니라, 도시와 자연, 예술과 일상의 경계를 허무는 새로운 공공 공간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1. 위치와 도시적 맥락 폴리 그랜드 시어터는 상하이 도심에서 북서쪽으로 약 20km 떨어진 자딩 신도시의 중심부, 두 개의 인공 수로 사이에 자리합니다 자딩은 최근 급격한 도시 개발로 인해 상하이의 새로운 교외 중심지로 부상한 지역입니다..
-
아시아
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9) - 2025 경남건축사회 중국 건축답사 (상하이 타워 118층 전망대 - 04.14.)
상하이 타워(上海中心大厦, Shanghai Tower) 상하이 타워(上海中心大厦, Shanghai Tower)는 중국 상하이 푸둥 신구 루자쭈이 금융지구에 위치한 초고층 마천루로, 중국에서 가장 높고 세계에서 세 번째로 높은 건물입니다. 높이는 632m, 지상 128층(공식적으로는 127층), 지하 5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1. 주요 특징건축 및 설계2008년 11월 29일 착공, 2014년 완공, 2015년 개장건축가는 미국의 겐슬러(Gensler), 구조 엔지니어는 Thornton Tomasetti약 2조 8,500억 원의 건축비가 투입됨외관 및 구조9개의 원통형 공간이 비틀린 나선형으로 쌓인 형태로, 비상하는 용(龍)을 형상화한 독특한 디자인곡선을 활용한 외관은 바람 저항을 줄이고 에너지 효율을 높..
-
아시아
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8) - 2025 경남건축사회 중국 건축답사 (상해1933 라오창팡 - 04.14.)
상하이 1933 라오창팡 - 잔혹한 역사를 품은 예술의 미로 1. 건축적 기원과 역사적 배경1933 라오창팡은 1933년 영국 건축가 **벨푸어(Balfours)**가 설계한 동아시아 최대 규모의 도축장으로, 당시 외국인들의 위생적 육류 소비를 위해 지어졌다. 건축비로 330만 위안(현재 가치 약 60억 원)이 투입되었으며, 철근 콘크리트 구조에 벽 두께 50cm의 중공층을 활용해 실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술적 혁신을 보였다. 하루 300마리 이상의 소가 도축되던 이곳은 1950년대까지 운영된 후 제약기계 공장으로 전용되다가 1990년대 방치되었다 2. 공간 구조의 이중성1) 잔인한 효율성● 우도(牛道): 소들이 뒤로 물러서지 못하도록 설계된 경사진 통로. 바닥의 홈은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
-
아시아
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7) - 2025 경남건축사회 중국 건축답사(상하이 천고정쇼 - 04.13.)
상하이 천고정쇼(上海千古情, Shanghai Romance Show) 상하이 천고정쇼(上海千古情, Shanghai Romance Show)는 중국 송성(宋城) 그룹이 기획한 대형 공연 시리즈의 하나로, 상하이의 역사와 문화를 웅장하고 화려한 무대 예술로 재해석한 공연입니다. 천고정(千古情)은 ‘천년의 사랑’, ‘영원한 정(情)’이라는 뜻으로, 중국 각 지역의 역사와 전설, 사랑 이야기를 현대적 감각과 첨단 무대기술로 풀어내는 송성가무쇼의 브랜드입니다. 상하이뿐 아니라 항저우, 장자제, 싼야 등 여러 도시에서 각 지역 특색에 맞는 버전으로 공연되고 있습니다. 1. 공연 구성과 특징 ● 상하이의 역사와 사랑 이야기: 상하이 천고정쇼는 상하이의 고대부터 근대, 현대에 이르는 역사를 무대 위에 펼쳐냅니다...
-
아시아
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6) - 2025 경남건축사회 중국 건축답사(홍구공원 윤봉길기념관 - 04.13.)
상해 홍구공원(虹口公園, 훙커우공원) 상해 홍구공원(현재 명칭: 루쉰공원, 鲁迅公园)은 중국 상하이시 훙커우구(虹口区)에 위치한 대형 도심 공원으로, 역사적으로 한국의 독립운동과 깊은 연관이 있는 장소다. 원래는 1896년 청나라 시기에 상하이 공동조계 관청이 농지를 매입해 서양식 정원 양식으로 조성한 곳으로, 1922년 ‘홍커우공원’으로 개칭되었다가, 1956년 중국 현대문학의 거장 루쉰의 묘와 기념관이 들어서면서 ‘루쉰공원’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 역사적 의미 1) 윤봉길 의사의 홍구공원 의거 1932년 4월 29일, 이곳에서 일본이 상하이 점령 전승 기념 및 히로히토 천황 생일(천장절) 행사를 개최했다.대한민국 임시정부 한인애국단의 윤봉길 의사가 일본군과 주요 인사들이 모인 행사장에 폭탄(물..
-
아시아
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5) - 2025 경남건축사회 중국 건축답사(닝보역사박물관 - 04.13.)
중국 닝보(寧波) 저장성 동부 항주만에 위치한 닝보는 7,000년 역사를 지닌 중국 해양문명의 요람이자, 동아시아 해상 실크로드의 핵심 거점으로 발전했다. 하모도 문화 유적부터 현대적 항구도시까지, 닝보는 중국의 대외교류사에서 독보적 위상을 차지한다. B.C. 5000~3300년경 형성된 하모도 문화는 닝보 일대에서 발견된 신석기 시대 문명으로, 중국 최초의 인공 재배 벼(메벼)와 목조 건축 기술이 확인되었다 닝보는 하모도 문화의 농경 혁명에서 21세기 글로벌 물류허브까지, 중국 문명사의 축소판을 보여준다. 특히 한중 교류사에서 닝보항은 임진왜란 시기 조선 사신단의 상륙지이자, 근대기 화교(華僑) 네트워크의 출발점으로 기능했다. 닝보박물관의 전시물은 단순한 유물을 넘어 동아시아 문명 교류의 생생한 증거..
-
아시아
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4) - 2025 경남건축사회 중국 건축답사(닝보 한링 아트뮤지엄 - 04.13.)
닝보 한링 아트뮤지엄(宁波韩岭美术馆) 닝보 한링 아트뮤지엄(Hanling Museum of Art)은 중국 저장성 닝보시 동첸호(Dongqian Lake) 반도에 위치한 현대 미술관으로, 세계적 건축가 쿠마 켄고(Kengo Kuma)가 설계한 대표적인 문화예술 공간이다. 이 미술관은 한링(韩岭) 마을의 풍부한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고,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건축적 접근을 통해 지역의 정체성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1. 건축적 특징과 설계 철학 ● 자연과의 조화미술관은 동첸호의 수려한 자연경관 속에 ‘산’처럼 자리잡고 있다. 건축가는 건물이 주변 지형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도록 설계했으며, 인공적인 구조물이 아닌 자연의 일부처럼 보이도록 했다. 여러 개의 작은 지붕이 모여 하나의 큰..
-
아시아
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3) - 2025 경남건축사회 중국 건축답사(항주 중국미술학원 - 04.12.)
중국 항주(杭州) 항주는 중국 저장성(浙江省)의 성도로, 서호(西湖)를 중심으로 한 경관과 역사적 유산으로 유명한 도시다.항주 샤오산 국제공항은 국내외 200개 노선을 운영하며, 상하이와의 고속철도(350km/h)로 45분 거리다. 서호 주변에는 자전거 대여소와 전기버스가 설치되어 친환경 관광이 가능하며, 야간에는 빛과 음향을 활용한 공연이 호수 위에서 펼쳐진다. 2024년 패키지 여행 상품에서는 주가각(楼外楼)에서 정통 항저우 요리를 체험하는 코스가 인기다. 첸장(钱江) 신구는 첨단 IT 기업과 금융기관이 밀집한 항주의 새 중심지로, 2023년 완공된 올림픽 스포츠센터는 아시안게임 개최지로 각광받았다. 서호 서측의 시후(西溪) 습지공원은 도시 한가운데서 생태보호와 관광을 결합한 모델로 주목받으며, ..
-
아시아
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2) - 2025 경남건축사회 중국 건축답사(소주박물관 - 04.12.)
중국 소주 (쑤저우 蘇州) 쑤저우는 장쑤성(江蘇省)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2,5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중국 강남(江南) 문화의 중심지다. 대운하(大運河)와 타이후(太湖)로 대표되는 수향(水鄕) 도시 특성과 정원·비단 산업으로 명성을 얻었다. 춘추전국시대 오(吳)나라 수도로 출발한 이 도시는 당송시대부터 "천당 아래 쑤저우와 항저우가 있다(上有天堂下有蘇杭)"는 격찬을 받아왔다. 쑤저우는 동양적 미학과 현대적 기능이 공존하는 모델 도시다. 2,500년 역사의 운하가 첨단 물류망으로 재탄생하고, 명나라 정원이 디지털 기술로 재해석되는 과정에서 전통과 혁신의 조화를 보여준다. 이 도시의 진정한 가치는 단순한 관광명소를 넘어 중국 문화 DNA의 살아있는 박물관이라는 점에 있다. 쑤저우의 건축물은 남송 시대..
-
아시아
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1) - 2025 경남건축사회 중국 건축답사(상하이 오일탱크 아트센터 - 04.11.)
중국 상하이 (Shanghai,上海) 상하이는 원래 작은 어촌이었지만, 지리적으로 황푸강(黃浦江)과 가까워 무역의 요지로 성장하게 되었고명나라, 청나라 시대에 걸쳐 점점 상업 중심지로 발전하게 된다1842년 난징조약 이후 영국에 의해 강제로 개항되면서 외국인 거주지(조계지)가 생겼고이후 미국, 프랑스 등도 조계지를 설치하면서 서양식 도시 개발이 시작되었다이 시기의 상하이는 ‘동양의 파리’로 불릴 만큼 화려한 국제도시였었다 1930년대에는 금융, 예술, 패션 중심지로 전성기를 누렸지만 중일전쟁과 국공내전, 공산화 등으로 침체기를 겪기도 했다현재는 1990년 푸둥 개발계획으로 급속한 도시 재개발로 인하여지금은 아시아에서 가장 현대적인 도시 중 하나이자, 중국 경제의 핵심 도시로 자리 잡았다1990년대 푸둥 ..
-
여 행
중국 닝보 (寧波)
중국 닝보(寧波) 저장성 동부 항주만에 위치한 닝보는 7,000년 역사를 지닌 중국 해양문명의 요람이자, 동아시아 해상 실크로드의 핵심 거점으로 발전했다. 하모도 문화 유적부터 현대적 항구도시까지, 닝보는 중국의 대외교류사에서 독보적 위상을 차지한다. 1. 문명의 기원: 하모도 유적 B.C. 5000~3300년경 형성된 하모도 문화는 닝보 일대에서 발견된 신석기 시대 문명으로, 중국 최초의 인공 재배 벼(메벼)와 목조 건축 기술이 확인되었다 ● 농업 혁명: 뼈보습·나무보습 등 100여 점의 농기구와 저장용 도기 발굴.● 선박 기술: 노(櫓)의 사용 증거물 발견으로 동아시아 최초의 해양 활동 추정.● 예술적 성취: 상아 조각품·옥기 제작 기술이 장강 문명과의 교류 가능성 시사. 2. 해상 실크로드의 관문..
-
여 행
중국 항주 (杭州)
중국 항주(杭州) 1. 항주(杭州)의 역사와 문화적 가치 항주는 중국 저장성(浙江省)의 성도로, 서호(西湖)를 중심으로 한 경관과 역사적 유산으로 유명한 도시다. 2000년 장사의 한 학자가 장사-주주-상담 지역의 번호 체계 개편을 주장하며 026 지역번호를 언급한 바 있지만, 항주 자체는 독자적으로 026 지역번호를 요구하며 지역적 위상을 강조해왔다. 그러나 항주의 진정한 가치는 행정구역 번호가 아닌 풍부한 문화유산과 경제적 역량에 있다. 2. 서호(西湖): 자연과 인문의 조화 서호는 둘레 15km에 달하는 중국 최고의 경승지로, 2011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호수 주변에는 뇌봉탑(雷峰塔)을 비롯해 소영주(小瀛洲), 백제(白堤), 소산(孤山) 등 10대 경관인 '서호십경(西湖十景)..
-
여 행
중국 소주 (쑤저우 蘇州)
중국 소주 (쑤저우 蘇州) 쑤저우는 장쑤성(江蘇省)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2,5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중국 강남(江南) 문화의 중심지다. 대운하(大運河)와 타이후(太湖)로 대표되는 수향(水鄕) 도시 특성과 정원·비단 산업으로 명성을 얻었다. 춘추전국시대 오(吳)나라 수도로 출발한 이 도시는 당송시대부터 "천당 아래 쑤저우와 항저우가 있다(上有天堂下有蘇杭)"는 격찬을 받아왔다. 1. 중국 쑤저우(蘇州)의 역사적 배경 ● 춘추전국 시대: 기원전 514년 오왕 합려(闔閭)가 쑤저우 성곽을 축조하며 도시 기반을 마련.● 수·당 시대: 589년 수나라가 '쑤저우'로 명명, 대운하 개통으로 물류 중심지로 부상.● 명·청 시대: 비단 생산량이 전국의 90% 차지하며 "비단의 고향"으로 불림.● 현대: 198..
-
여 행
중국 상해 (Shanghai,上海市)
중국 상해 (Shanghai,上海市) 상하이는 원래 작은 어촌이었지만, 지리적으로 황푸강(黃浦江)과 가까워 무역의 요지로 성장하게 되었고명나라, 청나라 시대에 걸쳐 점점 상업 중심지로 발전하게 된다1842년 난징조약 이후 영국에 의해 강제로 개항되면서 외국인 거주지(조계지)가 생겼고이후 미국, 프랑스 등도 조계지를 설치하면서 서양식 도시 개발이 시작되었다이 시기의 상하이는 ‘동양의 파리’로 불릴 만큼 화려한 국제도시였었다 1930년대에는 금융, 예술, 패션 중심지로 전성기를 누렸지만 중일전쟁과 국공내전, 공산화 등으로 침체기를 겪기도 했다현재는 1990년 푸둥 개발계획으로 급속한 도시 재개발로 인하여지금은 아시아에서 가장 현대적인 도시 중 하나이자, 중국 경제의 핵심 도시로 자리 잡았다 1. 경제적 위..
-
김광현의 건축으로 읽는 일상 풍경
김광현의 건축으로 읽는 풍경 - (29) 베트남의 ‘파밍 킨더가르텐’
‘세 잎 클로버’ 지붕이 거대한 밭… 유치원, 아이들의 ‘자연’이 되다문화일보입력 2020-03-18 10:20 뫼비우스의 띠가 세 잎 클로버처럼 엮인 듯한 지붕이 구조물 전체를 덮고 있다. ⓒ Hiroyuki Oki■ 건축과 일상김광현의 건축으로 읽는 풍경 - (29) 베트남의 ‘파밍 킨더가르텐’옥상에 200㎡마다 5개의 다른 채소 심어 농사짓기 교육… 산업화로 줄어든 녹지공급 효과도경사진 지붕으로 에어컨 없이도 시원한 바람 순환 · 식물로 햇볕 차단… 다른 건물에 비해 에너지 25% 절감유치원은 어린이들이 보고 만지고 느끼고 생각하고 행동하면서 배우는 곳이다. 사람이 한 인간으로서 성장해 가는 기본적인 인격은 유아기에, 그것도 일정한 환경을 통해 얻은 경험에서 만들어진다. 1년에 30명이 좋은 유치원..
-
경 남 . 부 산
전통건축-10356. 양산 통도사 -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삼보사찰 (2025.04.)
양산 통도사 1. 양산 통도사의 역사와 문화적 가치 경상남도 양산시 영축산 자락에 위치한 통도사는 신라 선덕여왕 15년(646년) 자장율사가 당나라에서 석가모니의 진신사리와 가사, 대장경을 가져와 창건한 한국 불교의 상징적 사찰이다. 삼보사찰 중 불보(佛寶) 사찰로, 합천 해인사(법보), 순천 송광사(승보)와 더불어 한국 불교의 정신적 근간을 이룬다. 2018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통도사는 1,400년의 역사를 간직한 살아있는 유산으로, 종교적 의식과 전통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2. 창건과 역사적 의의 자장율사는 당나라에서 계율을 배우고 돌아온 후, 신라 불교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통도사를 세웠다. 당시 가져온 석가모니의 사리는 금강계단에 봉안되었으며, 대장경 400여 함은 한국 최..
-
경 남 . 부 산
통도사 서운암 지장전 (2025.04.05.)
서운암 지장전 통도사 서운암 지장전은한국 불교의 중요한 성지 중 하나인 통도사 내에 위치한 전각으로,지장보살을 모신 곳이다 서운암은 통도사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암자이다이곳은 통도사의 창건과 함께 세워졌으며,오랜 세월 동안 많은 스님들이 이곳에서 수행하며불교의 가르침을 전파해왔다 서운암은 통도사의 여러 암자 중에서도특히 지장전이 위치한 곳으로,지장보살을 모시는 전각으로서의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지장보살은 죽은 이들의 영혼을 구제하고,지옥에서 고통받는 이들을 돕는 역할을 하는 보살로,한국 불교에서 매우 중요한 신앙의 대상이다서운암은 '서운'이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상서로운 구름이 모여드는 곳'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한다이곳은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고요한 분위기 속에서수행과 기도를 할 수..
-
매화 기행
매화-2025-030. 통도사 서운암 매화 - 서운암에서 서운한 마음을 달래다 (2025.04.05.)
순천의 선암사를 '꽃절'이라고 칭송하는데3월 초순 매화가 피는 시절의 통도사도 그에 못지않다고 말 할 수 있다사찰 경내 곳곳 요소요소에 매화가 피지 않은 곳이 없고선방 앞에도 화사한 매화 한 그루씩은 꼭 있다 통도사 자장매>는부산 UN기념공원의 홍매화와 함께우리나라에서 개화시기가 가장 빠른 대표적인 매화에 속한다일반적으로 UN기념공원의 홍매화가 피고나면1~2주 후에는 자장매>도 뒤따라 피어서'한반도의 공식적인 봄'을 알린다 올해 자장매>는 2월 초에 꽃을 피웠지만2월 하순에 몰아 친 강추위 때문에 적지 않은 냉해를 입었고3월 중순, 40일만에야 만개했었다그리고 이제는 꽃을 모두 떨구고 조용히 이미 해탈의 경지로 들어섰다 그런데, 은근히 기대하고 찾아갔던와 도 완전히 져 버렸다 바야흐로, 통도사의 봄..
-
전시회.행사.공연
2025 함안군 남강서원 향례 봉행 (2025.04.02.)
[ 함안군 이방실 장군 위업 추모 향례 봉행 ] 고려말 홍건적의 침입을 물리치고 나라를 구한 구국공신충렬공 이방실 장군의 얼을 기리는 향례가 4월 02일 오전 10시 경남 함안군 군북면 소포리 남강서원에서 열렸다지역 유림을 비롯해 후손 등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향례는 경건한제례의식으로 치뤘다 이방실 장군은 고려 후기의 무신으로본관은 함안(咸安)이고 함안이씨의 시조이다함안군 여항면 출생으로 공민왕 때 수차례 홍건적의 침입을 물리치는 등고려 오백 년 역사를 지킨 16공신의 한 사람으로서함안을 대표하는 인물로 추앙 받고 있다 이에, 함안군은 이방실 장군을함안을 대표하는 역사적 인물로 기리기 위해충렬공 이방실 장군배 전국 궁도대회를 개최하는 등장군의 위업을 알리는데 힘쓰고 있다 함안 남강서원은구국공신 충열..
-
매화 기행
매화-2025-029. 선암사 첨성각, 해천당 그리고 뒤깐 매화 (2025.03.29.)
029. 선암사 첨성각, 해천당 그리고 뒤깐 매화 (2025.03.29.) 우리나라 '매화의 성지'인 선암사 경내에는수령 350~650년에 이르는 오래된 매화나무 50여 그루가천년 세월의 이끼가 내려앉은 절집 곳곳에자리를 잡고 살고 있다 선암사를 대표하는 '무우전 돌담길'과 원통전 담장,응진당 담장, 대웅전 뒷편,공양간인 적묵당 담장의 홍매와 백매,요사채인 무량수전 뜰 앞의 홍매해천당 담장과 마당에도 잘 늙은 고매들이 살고 있고선암사의 명물, 뒤깐 옆과첨성각 연못 옆에도 고매가 살고 있다 그 중에서 2007년에 원통전 담장 뒤편의 선암백매>와무우전 돌담길의 홍매화가 천연기념물 제488호로지정되었다 첨성각 매화 선암사의 후원, 첨성각과 장경각 사이에조그만 연못이 하나 있고 그 연못 위쪽,..
-
매화 기행
매화-2025-028. 구례 화엄사 <상월매> (2025.03.29.)
028. 구례 화엄사 (2025.03.29.) 화엄사 일주문 옆 분홍매는영조 24년(1748) 상월 스님이 운고각 아래 당간지주 뒤에 심은두 그루의 매화나무 중 한 그루로라고 한다 화엄사 경내 입구인불이문을 지나면 오른쪽으로 바로 만나는 매화이다 원래부터 이 자리에 있었던 것은 아니고몇 년 전에 이 곳으로 옮겨 왔다주변에 사찰기념품을 파는 매점들이 있어서약간 번잡스러운 위치에 자리를 잡았다 수령 약 100년 정도의 겹꽃 홍매화로서약간의 춘정을 일으키는 복숭아꽃 빛이 도는화사한 분홍색의 매화이다 색깔이 매우 짙어 검은 빛이 도는 선홍색의 와좋은 대조를 이룬다 홍매화(흑매)보다는 조금 일찍 꽃을 피우는데주변의 건물 증축 등 불사로 3번이나 옮겨 심는 설움을 겪었지만 수세가 왕성하고 굳굳하게 꽃을 피운다..
-
매화 기행
매화-2025-027. 선암사 <대웅전 매화> (2025.03.29.)
027. 선암사 대웅전 매화 (2025.03.29.) 일주문을 지나 선암사 경내에 들어서면가장 먼저 만나는 매화가 대웅전 바로 뒷편 계단 위의 이다 대웅전 매화의 개화 상태를 살펴보면 선암사 경내의 나머지 선암매>들의 개화 상태를 미리 짐작해 볼 수 있는 좋은 지표가 되는 매화로서선암사에서 비교적 일찍 꽃을 피운다 대웅전을 수호하는 사대천왕처럼 수형이 아주 당당하고 기운이 왕성한 수령 450년 내외의 가 만개했다 대웅전은 선암사의 주불전으로석가모니 부처의 좌상이 있고 그 뒤로 영산회상도가 모셔져 있다선암사에는일반 사찰과는 달리 세가지 없는 것이 있는데그 중의 하나로 선암사 대웅전에는 정중앙의 어간문이 없다다른 사찰에서는 어간문으로 사람들이 드나들 수도 있지만,선암사에서는 부처님처럼 깨달은 분..
-
매화 기행
매화-2025-026. 순천 선암사 매화 - 원통전 <선암백매> (2025.03.29.)
026. 순천 선암사 원통전 천연기념물 매화 - (2025.03.29.) 천년고찰 선암사에는그 오랜 시간을 절의 역사와 함께 전설처럼 함께 살아 온매화나무들이 경내 곳곳에 자리잡고있다.그 중에서도 칠전선원과 원통전 사이 통로 한가운데 자리 잡은‘선암백매仙庵白昧’와 무우전 돌담길 중간쯤의 ‘선암홍매仙庵紅昧’는600살이 넘은 천연기념물로서천불전 앞의 와송과 함께 심어졌다고 전해져 오는데선암사의 오랜 역사와 세월의 향기를 우리에게 항상 전해준다 수령 600년 정도로 추정되는 원통전 는지상 약 50∼80㎝ 높이에서 네 개의 큰 줄기가 갈라지면서다시 서로 교차하여 얽힌 형태의 웅장한 모습이고8.2m 높이의 큰 키를 자랑한다우리나라의 매화나무 중 드물게 큰 키로서 아직도 수세가 양호하고순백색의 작고 우아한 ..
-
매화 기행
매화-2025-025. 순천 선암사 매화 - 무우전 매화 (2025.03.29.)
025. 순천 선암사 매화 - 무우전 매화 (2025.03.29.) 일 년 내내 꽃이 지지 않는다는 선암사는예로부터 100종이 넘는 꽃나무들이 자생하고 있어서한국의 정원수들을 총 망라했다는 찬사를 듣는 ‘꽃절’로도 유명하다 무량수각 앞의 600살 된 누운 소나무,지장전 위의 영산홍과 자산홍, 칠전차밭의 700살 넘은 차나무 등이 유명하다그러나 그 중에서도 단연 백미는 매화나무라고 할 수 있다 천년고찰 선암사에는 그 오랜 시간을 전설처럼 함께 살아 온매화나무들이 있다 칠전선원과 원통전 사이 그 통로 한가운데 자리 잡은 ‘선암백매仙庵白昧’와무우전 돌담길 중간쯤의 ‘선암홍매仙庵紅昧’는 600살이 넘은 천연기념물로서선암사의 역사와 그 향기를 우리에게 전해준다 1,500년이 넘은 완숙한 절집에..
-
매화 기행
매화-2025-024. 백양사 <고불매> - 선·매.향·(禪·梅·香) 축제 개최(2025.03.29.)
024. 백양사 - 선·매.향·(禪·梅·香) 축제 (2025.03.29.) 백양사 스님들은 1700년경부터현재의 절에서 북쪽으로 100m쯤 떨어진 옛 백양사 앞뜰에다여러 그루의 매화나무를 심고 가꾸어 왔다고 한다 1863년 경 백양사가 큰 홍수를 만나 대웅전 등 주요 건물들이 피해를 입자 절을 현재의 자리로 옮겨 짓기로 결정하고스님들은 아껴오던 매화나무들 중에서 모양새가 좋은홍매와 백매 각 한 그루씩을 옮겨 심었으나 백매는 오래지 않아 죽고 홍매만 살아남아 지금까지 전해져 온다 라는 명칭은부처의 원래 가르침을 기리기 위해서, 1947년에 '고불총림'이 결성되면서홍매에게 붙여진 이름이다왜색 불교의 잔상이 선명하던 1940년대 말의 백양사는부처의 원래 가르침으로 돌아가자는 뜻에서 백양사 고불총림을 결..
-
매화 기행
매화-2025-023. 구례 화엄사 홍매화 <흑매(화엄매)> - 지리산 골짜기에 화엄의 빛으로 만개하다 (2025.03.22.)
023. 구례 화엄사 - 지리산 골짜기에 화엄의 빛으로 만개하다 (2025.03.22.) 지리산 골짜기의 천년 고찰, 구례 화엄사의 홍매화(흑매)가 꽃샘 바람 속에 만개했다 이 홍매화는 지난 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천연기념물 지정 명칭은 “구례 화엄사 화엄매”로서, 문화재청은 “홍매화는 나무높이 8.2m, 가슴높이 둘레 1.6m로매실나무로는 규모가 큰 편이고붉은 색의 꽃색과 줄기와 가지가 굴곡을 이루며 위아래로 자라는독특한 수형이 화엄사 각황전과 어우러져 역사적,경관적 가치가 높다 따라서, 화엄사 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는 들매화가전반적으로 수세가 저하되고 있어 각황전 주변 홍매화를 추가 지정하여화엄사 사찰의 대표적인 식생 경관으로 안정적으로 보존,관리하고자 한다“라고 밝혔다 현재 우리나라..
-
전 남
전통건축-1035. 구례 천은사 (2025. 03.)
구례 천은사 천은사(泉隱寺)는 전라남도 구례군 광의면 방광리에 위치한 천년 고찰로, 신라 흥덕왕 3년(828년)에 인도에서 온 승려 덕운조사가 창건했습니다. 처음에는 경내 샘물이 병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있어 ‘감로사(甘露寺)’로 불렸습니다. 이후 여러 차례 중창과 화재를 겪으며 현재의 이름인 ‘천은사’로 바뀌었으며, 지리산 화엄사와 쌍계사와 함께 지리산 3대 사찰로 꼽힙니다. 역사와 설화 창건과 초기 역사천은사는 신라 말 도선국사와 고려 중엽 보조국사에 의해 중창되며 사세가 크게 번창했습니다. 고려 충열왕 때는 ‘남방제일선찰(南方第一禪刹)’로 불릴 만큼 많은 선승들이 수행하던 중심지였습니다. 조선시대와 재건조선시대 임진왜란으로 사찰이 전소되었으나, 광해군 2년(1610년)에 혜정선사가 중건하고 숙..
-
전시회.행사.공연
김해 봉하마을 "대통령의 집" 관람 - 지붕 낮은 집, 부끄럼 타는 집 (2025.03.23.)
김해 봉하마을 "대통령의 집" 관람 김해 봉하마을에 위치한 노무현 전 대통령의 사저는 현재 "대통령의 집"이라는 이름으로 일반에 공개되어 있습니다. 이 사저는 노무현 전 대통령이 퇴임하기 전에 봉하마을에 건축한 집으로, 그의 삶의 흔적과 역사적 의미를 담고 있는 중요한 장소입니다. 사저의 역사와 의미 노무현 전 대통령은 퇴임 후 이 사저에서 생활하며 농촌마을 가꾸기와 시민민주주의에 대한 연구활동을 펼쳤습니다. 2009년 5월 23일, 그가 이곳에서 생을 마감한 후에는 권양숙 여사가 홀로 거주하다가, 2019년 사저가 완전히 개방되었습니다. 현재 권양숙 여사는 진영읍 내 다른 곳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관람 정보 "대통령의 집" 관람을 위해서는 사전 예약이 필요합니다. 관람 절차와 주요 정보는 다음과 같습..
-
전시회.행사.공연
신안 우봉 조희룡미술관 - '김동신 매작동락(梅雀同樂)' 전시회(2025.03.22.)
신안 우봉 조희룡미술관 신안 조희룡미술관은 전라남도 신안군 임자면 대광해수욕장길 177에 위치한 문화공간으로, 조선 후기 화가 우봉 조희룡을 기념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이 미술관은 조희룡의 생애와 예술 세계를 조명하며, 임자도의 자연과 섬 문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다양한 전시를 제공합니다. 미술관 개요 ● 설립 배경: 조희룡은 임자도에서 유배 생활을 하며 매화 그림을 비롯한 예술 세계를 꽃피웠습니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기존 기념관을 리모델링하여 2021년 3월 미술관으로 재개관했습니다. ● 구성: 2층 건물로, 총 3개의 전시실이 있습니다.- 1층: 조희룡 연대기와 생애를 소개하는 상설전시실.- 2층: 그의 작품과 미디어아트를 활용한 기획전시실. 주요 전시 ● 조희룡의 작품: 대표작으로는..
-
매화 기행
매화-2025-022. 전남대 민주마루 백매화 -1,2,3 (2025.03.22.)
022. 전남대 민주마루 백매화 -1,2,3 (2025.03.22.) 전남대학교 민주마루 앞에는 유명한 매화나무들이 자리하고 있다이곳은 특히 로 잘 알려진 만첩홍매화를 비롯하여수령 200년의 백매화 3그루가 자라고 있어 매년 봄, 많은 사람들의 발길을 끄는 명소가 되고 있다 는 임진왜란 의병장 고경명 장군의 후손인 고부천 선생이 명나라 희종 황제로부터 선물로 받은 홍매화로, 예전에는 라고 불렸고그의 고향 담양에 심겨진 뒤, 전남대로 기증되었다 그리고, 백매화 1그루는 옆에서 나란히 자라고 있고 2그루는 언덕위 민주마루의 주출입구 오른쪽에 자리잡고 있는데그 수령은 약 200년으로 추정되고 있다 는 향기가 진한 홍매화로, 꽃잎이 겹쳐져 피는 만첩홍매이고백매화는 순백의 단아한 홑꽃을 피운다그런데 ..
-
매화 기행
매화-2025-021. <전남대 홍매(대명매)> (2025.03.22.)
021. - (2025.03.22.) 전남대학교 홍매는 광주 전남대학교 민주마루(옛 대강당) 앞에 위치한 매화나무로, 호남 지역의 대표적인 매화 중 하나로 꼽히며 역사적, 문화적 으로가치가 높은 매화이다 이 나무는 조선시대 의병장 고경명 장군의 손자인 월봉 고부천이 1621년(조선 광해군 13년) 명나라 특사로 갔을 때 희종 황제로부터 받은 매화나무에서 유래한다그는 이 나무를 전남 담양 창평면 유천리에 심고 '대명매(大明梅)'라 불렀다 이후 월봉의 11대손인 고재천 전남대 농과대학 교수가 이 나무의 후계목을 키워 1952년 전남대학교에 기증하여 농대 앞에 심었고1972년에는 현재의 위치로 옮겨졌습니다. 원래 로 불렸으나, 명나라 황제를 높이는 사대주의적 의미가 담겨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면서 2022..
-
매화 기행
매화-2025-020. 김해 봉하마을 <민주매 民主梅> (2025.03.23.)
020. 김해 봉하마을 (2025.03.23.) 대한민국의 제16대 대통령을 지냈던노무현 대통령께서는 퇴임 후에 낙향하여 고향 김해 봉하마을에서 '사람사는 세상'을 가꾸며 살았던 분이다서거하기 전까지 생활했던 그 봉하마을 '대통령의 집', 안채 뜰에 고인이 평소에 아꼈던 아주 오랜 연륜을 자랑하는 매화나무 1그루가 있다 300년의 수령을 자랑하는 '대통령의 집' 매화는안방침실의 오른쪽 작은 화단, 장독대 옆에 자리 잡고 있다밑둥에서 부터 뻗은 여러 가닥의 줄기가 위쪽으로 자라기 보다는 좌우 옆으로 펼쳐져서전체적으로는 부드러운 곡선의 밥사발을 닮은 형태로 소박하고 안정적인 모습을 띄고 있다 '대통령의 집' 매화는 5장의 순백색 꽃을 피우는 홑꽃의 백매화로서생전에 대통령과 ..
-
매화 기행
매화-2025-019. 창원시 북면 달천구천 매화 (2025.03.23.)
019. 창원시 북면 달천구천 매화 (2025.03.23.) 창원시 북면 외감리 새터 마을의 달천정 아래에 마을의 우물인 달천구천이 있다 달천구천은 조선 후기 유학자 허목 선생이 만든 우물로 새터 마을에 거주하던 시절에 손수 돌거북을 만들어 샘을 만들었다 한다달천구천은 가뭄에도 마르지 않는다고 하며, 근래에까지 주민들의 식수로 이용되었지만 지금은 식수 불가판정을 받아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곳에서 1㎞ 쯤 떨어진 천주산 계곡에는 허목 선생이 ‘달천동(達川洞)’이라 직접 새긴 암석이 있어 이 계곡을 달천동 계곡이라 부르고 있다 미수 허목(1595~1682) 선생은 조선 중기의 학자요 정치가로서 의학과 천문지리에도 밝았고 서예에도 능통해서 특히 전서를 잘 썼다 그는 나이 예순에 이르러 관..
-
매화 기행
매화-2025-018. 마산 청연암 <무학매> (2025.03.21.)
매화-2025-018. 마산 청연암 무학매> (2025.03.21.) 마산 청연암은 무학산의 학봉 기슭에 자리잡은푸른 합포만이 잘 내려다보이는 조그만 절이다 무학산(舞鶴山)은 창원시 서쪽의 마산회원구와 마산합포구를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으며, 크고 작은 능선과 서원곡 계곡 등 여러 갈래의 계곡으로 이루어진 산이다신라 말기에 이곳에 머무르던 최치원 선생이 산을 보고는 학이 나는 형세라고 했다고 해서 이때부터 무학산으로 불렀다고 하며원래 이름은 풍장산이었다고 한다 청연암이 자리 잡은 자산동(玆山洞)은 완월동의 동쪽에 인접한 전형적인 주택 지역으로서, 취락은 무학산의 산록선을 따라 발달해 있다 깨끗한 자연환경, 산과 물이 좋아 거주선호 지역으로서 고개가 있는 산 밑이 되므로 자산(玆山) 또는 ‘척산’..
-
매화 기행
매화-2025-017. 신안 서포 조선홍매화정원 - 임자도 <제1회 섬 홍매화 축제> (2025.03.22.)
신안 서포 조선홍매화정원 신안 서포 조선홍매화정원은 전라남도 신안군 임자도에 위치한 독특하고 아름다운 매화 정원입니다. 이 정원은 신안군의 '1섬 1정원' 정책의 일환으로 조성되었으며, 임자도를 '홍매화의 섬'으로 선포한 후 만들어졌습니다. 정원의 역사와 의의 서포 조선홍매화정원의 조성은 깊은 역사적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임자도가 홍매화의 섬으로 지정된 이유는 조선 시대 매화도의 대가인 우봉 조희룡 선생이 이곳에서 유배 생활을 했던 역사적 가치를 반영한 것입니다. 이러한 배경은 정원에 문화적 깊이를 더해주고 있습니다. 정원의 구성 서포 조선홍매화정원은 신안군 임자도의 1004섬 튤립공원 내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 정원은 기존의 5,000평 규모의 튤립정원에 추가로 조성된 7,000평 이상의 매화정..
-
전 남
전통건축-1034. 구례 운조루(9) - 적선지가 필유여경(積善之家 必有餘慶) (2025.03.15.)
구례 운조루 구례 운조루 고택은 조선 후기 양반집의 전형적인 건축양식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건물로, 1776년(영조 52년)에 삼수부사를 지낸 유이주가 건립한 고택입니다. 이 고택은 풍수지리적으로 '금환락지(金環落地)'라 불리는 명당에 위치하며, 총 55칸의 목조기와집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운조루는 사랑채, 안채, 행랑채, 사당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건물은 독특한 구조와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주요 건물 건축 양식 및 특징 1. 사랑채● 형태: T자형 구조로 누마루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이는 전체 살림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특징:- 일반적인 사랑채와 달리 큰 부엌이 마련되어 있어 안채와의 동선을 연결합니다.- 직각으로 돌출된 누마루가 있어 독특한 형태를 띱니다.- 3량..
-
전시회.행사.공연
구례 운조루유물전시관-2 (2025.03.15.)
구례 운조루유물전시관은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오미리에 위치한 중요한 문화 시설로, 운조루 고택의 역사와 문화류씨가의 삶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공간이다 이 전시관은 300여 년간 구례 오미동에 터를 잡고 살아온 문화류씨 가문의 역사와 전통을 담고 있어, 조선시대 양반 가옥의 역사와 풍수지리적 의미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운조루 고택은 1776년(영조 52년)에 삼수부사를 지낸 유이주에 의해 건립되었다 이 고택은 조선시대 양반집의 전형적인 건축양식을 보여주는 귀중한 문화유산으로, 특히 호남지방에서는 보기 드문 건축양식에 속한다 운조루라는 이름은 '구름 속의 새집'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풍수지리설에 따르면 이곳은 산과 연못으로 둘러싸여 '금환락지(金環落地)'라 불리는 명당으로 여겨졌다 - 유물전시..
-
매화 기행
매화-2025-016. 구례 매천사 매화 - 빙혼(氷魂)과 설산의 흰빛이 봄꿈에 어우러진다 (2025.03.15.)
016. 구례 매천사 매화- 빙혼(氷魂)과 설산의 흰빛이 봄꿈에 어우러진다 (2025.03.15.) 구례 매천사(梅泉祠)는 전라남도 구례군 광의면 수월리에 위치한 사당으로, 한말의 대표적인 시인이자 애국지사였던 매천 황현(1855~1910) 선생의 위패를 모신 곳이다 1984년 2월 29일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37호로 지정되었으며, 매천 선생의 우국충절을 기리고 후세에 본보기가 되도록 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매천 황현 선생은 1855년 전라남도 광양에서 태어났다1886년, 32세의 나이에 구례 만수동으로 낙향한 매천 선생은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을 위해 구안실(苟安室)과 일입정(一笠亭)을 지었다'구안'이란 '넉넉하지는 않지만 편안하다'는 뜻으로, 이곳에서 그는 1천 수가 넘는 시를 지었고 주요 저술 활..
-
매화 기행
매화-2025-015. 구례 운조루 <위매>- '운조루의 봄'을 기원하다 (2025.03.15.)
015. 구례 운조루 위매> (2025.03.15.) '남한의 3대 명당중 하나'라고 알려진 구례 구만들 평야에인근 지역의 낙안군수를 지냈던 유이주 선생이 약 250년전에 지은명품 한옥이 '운조루雲鳥樓'이다 그 창건주 유이주 선생은 조선시대의 무장으로서북방의 여진족을 토벌하고 돌아오는 길에 위魏나라에 들러서한해에 두 번 꽃을 피운다는 유성류 나무와 매화 1그루위매魏梅>를 가져와서사랑채마당에 심었다고 한다 현재, 위매>의 원목은 고사하고 그루터기만 남아 있지만뿌리 곁의 곁가지 하나가 살아남아 이젠 터를 잡고 해마다 꽃을 피우고 있다비교적 꽃을 일찍 피우는 백색의 겹꽃 매화로서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명문가의 쇠락한 뜨락에서 오늘도'운조루의 영광과 정신'을 말해주고 있다 아울러, 사랑채 앞의 위매> 외..
-
매화 기행
매화-2025-014. 산청 남사마을 <이씨매>와 원리마을 매화 (2025.03.15.)
014. 산청 남사마을 (2025.03.15.) 남사마을(남사예담촌)의 중앙주차장 옆에근래 들어 전통염색 체험장과 갤러리 카페로 쓰이고 있는 남호정사에마을에서 가장 화려한 매화를 피우는 가 있다 남사마을의 이씨문중을 대표하는 는성주 이씨 문중의 서재인 남호정사에 있는 매화로원래 이씨고택에 있었던 400년 된 고매가 오래 전에 고사하여지금은 가 이씨 문중을 대표하고 있다 수령은 100년 정도의 키가 늘씬한 백매화로서나무높이 8m, 수관폭 8m로서 높이 1m 지점에서 두 개의 줄기로 갈라졌는데 아주 화사하게 흰 꽃을 피워 남사마을을 환하게 밝혀준다 3월 15일 현재, 남사마을 는 10 % 정도의 개화율을 보이고 있다 남사마을 는 아직 개화 초기라서인근 시천면의 의..
-
매화 기행
매화-2025-013. 산청 <남명매> - 봄비 속에 남명을 그리다 (2025.03.15.)
013. 산청 '산청3매' 중의 하나인 산천재 마당의 매화나무, 남명매南冥梅>는지리산 천왕봉이 보이는 이곳에선생이 61세이던 명종 16년(1561)에 산천재를 지으면서손수 심은 것으로 전해진다 남명매>는 수령 450여 년의 연륜과 역사를 자랑하는 고매로서크게 세 갈래로 갈라진 중심 줄기는 뒤틀리면서 하늘을 향해 뻗어 올랐고연한 분홍빛이 도는 소담한 반겹꽃을 피운다 안타까운 일이지만 '산청3매' 중에서 원정매>와 정당매>는 이미 오래전에 원목이 고사했다그렇지만 다행히 남명매>는 그 원목을 소중히 지켜서 450년 동안 숱한 사람들로부터 사랑을 받아왔다 하지만 남명매>도 세월을 이기지 못하고 원목이 노쇠하여2016년에 대대적인 외과수술을 받았다 일반적으로 나무의 외과수술은부패부제거 살..
-
매화 기행
매화-2025-012. 통도사 홍매화 트리오 - 봄비 속에 만개하다 (2025.03.16.)
일주문
-
매화 기행
매화-2025-011. 구례 <봉동매 > - 구례의 연분홍 랜드마크(2025.03.15.)
011. 구례 - 구례읍의 연분홍 랜드마크 (2025.03.15.) 는 전라남도 구례군 구례읍 봉동리에 있는 홍매화로서 '임규 한의원'의 아주 너른 정원 마당의 가장자리, 돌담 곁에 자리를 잡고서 구례읍의 중심지인 봉동리의 봄을 화사하게 밝혀주고 있다 수령이 80년 정도로 추정되며아주 부드러운 분홍 빛의 매화나무로서 홀꽃이 피며 꽃받침은 적갈색이다지상으로 부터 80cm 높이에서 세 개의 큰 가지로 갈라져서 키가 늘씬하면서도 화려한 수형을 가졌지만두 개의 가지가 잘려나가면서 수세가 많이 위축되었다 하지만, 아주 일찍 2월달에 꽃을 피우는 설중매 계열의 매화로호남을 대표하는 화엄사의 보다 한 달 이상이나 일찍 피우므로서 그 가치와 경쟁력을 충분히 보여주고 있다 '임규 한의원' 건물은일제강점기 ..
-
매화 기행
매화-2025-010. 산청 남사마을 <원정매> (2025.03.15.)
010. 산청 남사마을 원정매> (2025.03.15.) 진양 하씨가 32대째 살아온남사마을 분양고가의 원정매>는원정공 하즙 선생이 직접 심은 수령이 680여년이나 된,산청3매>중의 하나로서 유일한 홍매이다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매화나무로서분양고가인 고택 이름을 따서 분양매>라고도 불린다 원줄기는 2007년에 동사하였었는데몇 년 후에 뿌리쪽에서 곁가지 하나가 살아나서간신히 다시 꽃을 피우기 시작했는데다행히도 해마다 쑥쑥 자라서 점점 수세가 풍성해지고 있어서상당히 반갑고 고무적이다 원정공 하즙 선생은 고려 말, 충숙왕 때 문과에 급제한 후, 진천부원군에 봉해졌고 원정이란 시호를 받았다 후에, 단속사에 정당매>를 심었던 강회백이 그의 초상화를 보고 “도량이 존엄하며 성품이 화순하고 관..
-
스크랩 - 세계의 건축가
세계의 건축가 -124. 윌리엄 손튼 William Thornton
건축가 윌리엄 손튼 William Thornton 윌리엄 손튼(William Thornton)은 1759년 5월 20일에 태어난 미국의 저명한 건축가이자 발명가로, 미국 건축사에 중요한 족적을 남겼습니다. 그의 생애와 업적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초기 생활과 교육윌리엄 손튼은 영국령 서인도 제도의 토르톨라 섬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어린 시절과 초기 교육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제한적이지만, 그가 받은 교육이 그의 미래 경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음은 분명합니다. 건축 경력의 시작손튼의 건축 경력은 그가 아마추어 건축가로 시작했다는 점에서 특별합니다. 그의 재능은 곧 인정받아 미국 건축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미국 국회의사당 설계윌리엄 손튼의 가장 유명한 업적은 미국 국회의사당 설계입..
-
경 남 . 부 산
전통건축-1033. 양산 신흥사 (2025. 03.)
양산 신흥사 양산 신흥사는 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면 영축산에 위치한 역사적인 사찰입니다. 이 사찰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역사 ● 301년(신라 기림왕 4년)에 선사 신본(信本)이 창건했다고 전해집니다.● 1582년(선조 15년)에 성순(性淳)이 중창했습니다.● 1592년 임진왜란 때 대광전을 제외한 대부분의 건물이 소실되었습니다.● 1801년(순조 1년) 호명(浩溟)이 삼창하였습니다. 주요 건물 대광전 ● 1657년(효종 8년)에 창건된 보물 제1120호입니다.● 비로자나불을 모시고 있는 신흥사의 중심 법당입니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다포식 맞배지붕 구조입니다.● 내부에는 17세기 단청 원형과 다양한 벽화가 잘 보존되어 있습니다. 기타 건물 1983년 이후 화엄전, 지장전, 칠성각,..
-
매화 기행
매화-2025-009. 김해 상동강변매화축제 - 꽃이 없는 매화축제(2025.03.09.)
009. 김해 상동 용당나루 매화공원 경남 김해시 상동면 여차리용당나루터가 있었던 옛 용산마을 지역에 2022년에 매화공원이새로 조성되었다약 900 여평의 강변 부지에 산책로와 부대시설을 정비하고옛 마을 터에 매화단지를 새로 만들어 시민들의 휴식과 여가활동을 위한수변공원으로 꾸몄다 옛 용산마을은 4대강 사업으로 철거가 시작되면서2016년 주민들이 인근 지역으로 강제 이주를 해야만 했었던아픈 역사를 가진 전통마을이다 이주 과정에서 당시 마을의 자랑이었던 매화나무 군락지도 함께 사라졌고철거 과정에서 살아남은 매화나무 중 상태가 양호한 나무는인근 지역에 옮겨 심어 두었었는데,김해시는 이 관리가 부실했던 매화나무들을 다시 용산마을 옛터에 옮겨 심어매화공원을 조성한 것이다 무리하고 일방적이었던..
-
경 남 . 부 산
전통건축-1032. 양산 가야진사 (2025.03.09.)
양산 가야진사 양산 가야진사는 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면 용당리에 위치한 역사적으로 중요한 건축물입니다. 이 사당은 나루터신(津神)을 모시는 제당으로, 신라가 가야를 정벌할 당시 왕래하던 나루터가 있던 자리에 세워져 있습니다. 역사적 배경가야진사의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습니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가야진사는 대·중·소사 중 중사에 속하는 사독(四瀆)의 하나로, 국가에서 연 3회 이상 독신(瀆神)에게 제사를 지내던 중요한 장소였습니다. 이는 가야진사가 삼국시대부터 국가적인 차원에서 중요하게 여겨졌음을 보여줍니다. 현재의 사당 건물은 조선 태종 6년(1406년)에 세워진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건물의 역사는 더 오래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가야 시대부터 이미 이 지역에 나루터가 있었고, 그에 따..
-
매화 기행
매화-2025-008. 양산 통도사의 <홍매 삼총사> - 영취매와 통도매 (2025.03.09.)
009. 양산 통도사의 - 영취매와 통도매 (2025.03.09.) 통도사에는 영각 앞의 자장매> 외에도절 입구의 옛날 종무소 앞에 홍매화가 2그루 더 있다그래서 세가지 색의 분홍> 매화를서로 비교하며 감상할 수 있는 아주 좋은 탐매의 장소가통도사이기도 하다 사천왕문을 들어서서 바로 우측으로 꺽으면 옛 종무소 앞에 홍매화 2그루가 나란히 서 있는데먼저 보이는 짙은 분홍색의 우측 매화가 영취매>이고,옅은 분홍색의 좌측이 통도매>이다 수령 70년 정도 된 통도매>는일명 '자장분홍색매'로 불리는데 들매화계의 홑꽃으로꽃잎이 다소 크고 오목하며 꽃받침은 적자색이다꽃은 아주 연한 분홍색을 띄고 있어서담백하고 단아한 느낌을 준다 통도매> 우측의 영취매>는수령 150년 정도 되었고 겹꽃의 짙은 분..
-
매화 기행
매화-2025-007. 양산 통도사 자장매(2) - 영축산 청류동천의 빛 (2025.03.09.)
008. 양산 통도사 홍매화 - 영축산 청류동천의 빛 (2025.03.09.) 2025년, 통도사 의 개화상황은3월의 두번 째 주말 현재, 약 50% 정도의 개화율을 보이고 있다올해 2월 2일에 첫 개화소식을 전한 이래로 36일이 흘렀는데약 25일만의 짧은 기간 동안에 만개의 절정에 까지 이르렀던 2024년에 비하면 더디고도 더뎠다 올해 2월 달에 우리나라를 강타했던 폭설과 이상한파의 원인은 지구온난화가 그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지구온난화로 인해 북극의 기온이 상승하면서, 약해지고 더 불안정해진 제트기류가 남쪽으로 크게 휘어져 찬 공기가 남하하게 되었고이 과정에서 북극의 찬 공기가 남쪽으로 내려와 한반도를 비롯한 중위도 지역에 기록적인 폭설과 한파를 일으켰다고 한다 바로 '환경의 역습'이다'..
-
매화 기행
매화-2025-006. 김해건설공고 와룡매(2) - 이제 비상을 꿈꾼다 (2025.03.08.)
006. 김해건설공고 와룡매(2)- 이제 비상을 꿈꾼다 (2025.03.08.) 2주만에 와룡매>를 다시 찾았다그사이 뒤늦은 겨울 한파는 물러가고 봄빛이 완연해졌지만와룡매>의 개화상태는 생각보다 더디다 김해건설공고의 80여 그루의 와룡매>는백매가 60여 그루, 홍매가 20여 그루, 그리고 어린 청매가 서너그루 정도인데3월 8일 현재, 백매화 20여 그루 정도가 피었다그러나 홍매와 청매들은 아직도 꽃망울을 채 터뜨리지 못하고 있다하지만 다음 주 부터는꽃불이 급속하게 교정에 번질 것으로 보인다 이 김해건설공고의 와룡매>들은1927년에 김해농고가 이 자리에서 개교할 때당시 한 일본인 교사가 원예 실습용으로 매화나무를 심고학생들과 함께 정성으로 가꾸었다고 한다 그 후, 1945년 해방 뒤에 일본으로 돌아갔던 ..
-
스크랩 - 세계의 건축가
세계의 건축가 -123. 마시모 스콜라리 Massimo Scolari
건축가 마시모 스콜라리 마시모 스콜라리(Massimo Scolari)는 이탈리아의 저명한 건축가, 디자이너, 화가, 이론가입니다. 그의 다재다능한 능력과 깊이 있는 사상은 현대 건축과 디자인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스콜라리의 생애와 업적, 그리고 그의 작품 세계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생애와 교육 마시모 스콜라리는 1943년 이탈리아 노바라에서 태어났습니다. 어린 시절부터 예술과 건축에 관심을 보인 그는 1969년 베네치아 건축대학(IUAV)에서 건축학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이 시기 그는 알도 로시(Aldo Rossi), 카를로 스카르파(Carlo Scarpa) 등 당대 유명 건축가들의 가르침을 받았으며, 이는 후에 그의 작품 세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2. 건축가로서의 활동..
-
김광현의 건축으로 읽는 일상 풍경
김광현의 건축으로 읽는 풍경 - (28) 부르키나파소 간도 초등학교
주민이 기술 배워가며 함께 지은 학교… 교육·고용 동시에 쌓다 건축가 케레는 3만 달러의 기금을 모아 고향에 제대로 된 학교를 지어 주었다. 큰 지붕이 공기를 순환시켜 주고 비에 젖지 않게 진흙 벽돌 벽을 보호해 준다. @Erik-Jan Ouwerkerk ■ 건축과 일상김광현의 건축으로 읽는 풍경 - (28) 부르키나파소 간도 초등학교수도·전기도 없던 마을 출신의 유명 건축가… 고향에 보답하고자 전통적 진흙 벽돌로 건축여인들은 물항아리 7㎞ 나르고 아이들은 매일 돌 하나씩 들고 등교… 노하우 터득한 주민들 건설업 종사자로 건축물이 지어지면 그때부터 사회의 자산이 된다. 그리고 아주 오랫동안 사람의 생활을 규정한다. 이 ‘아주 오랫동안’이 건축물에 주어진 미래다. 따라서 건축물을 짓는 것은 미래를 짓는 것..
-
경 남 . 부 산
전통건축-1031. 밀양향교 대성전 - 시대별 건축 양식의 공존으로 역사적 가치 인정 (2025.03.01.)
밀양향교 대성전 밀양향교 대성전은 경상남도 밀양시 교동에 위치한 조선 후기 향교 제묘 공간으로, 공자와 유교 성현들의 위패를 모신 공간입니다. 1602년 최기(崔沂)가 중건하고 1821년 이현시(李玄始)가 중수하며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습니다2020년 12월 28일 보물 제2094호로 지정되었으나, 2021년 문화재보호법 개정으로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습니다 1. 역사적 배경 ● 창건: 고려 중기(1100년경) 창건된 밀양향교는 임진왜란(1592년)으로 소실된 후 1602년 최기가 현재 위치로 재건했습니다 ● 중수 기록: 1617년과 1820년 추가 중수가 이루어졌으며, 특히 1821년 이현시의 중수 작업에서 17세기 초와 19세기 초 건축 양식이 혼합되었습니다● 배치 변화: 초기 좌묘우학(左廟右學)에서..
-
경 남 . 부 산
전통건축-1030. 밀양향교(2) - 우묘좌학 배치와 시대별 건축 기법의 공존 (2025.03.01.)
밀양향교 밀양향교는 경상남도 밀양시 교동에 위치한 조선 후기 향교로, 고려 중기(1100년경) 창건된 후 임진왜란(1592년) 소실 후 1602년 최기(崔沂)가 재건했습니다. 1821년 이현시(李玄始)의 중수 작업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으며, 2021년 보물 제2094호로 지정되었습니다 1. 역사적 배경 ● 창건 및 재건: 고려 중기 창건된 후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자 1602년 최기가 현 위치로 재건했습니다. 이후 1617년, 1820년 중수를 거쳤으며, 특히 1821년 이현시의 중수 작업에서 17세기 초와 19세기 초 건축 양식이 혼합되었습니다● 배치 변화: 초기 좌묘우학(左廟右學)에서 우묘좌학(右廟左學)으로 변경되며 제향 공간과 교육 공간의 위계를 명확히 구분했습니다. 이는 전국 향교 중 유일..
-
국 내
밀양 < 볕뉘 > - 교동의 멋과 풍류를 현대식으로 재해석한 복합문화공간(2025.03.01.)
밀양 는경남 밀양 교동의 150년 된 손씨 고택을 디자인 리뉴얼한 고택 복합문화공간과 카페로서 2024년 가을에 새롭게 태어났다 는 틈새로 비치는 햇볕을 의미하는 순 우리말이다 밀양 교동한옥촌의 오래된 고택을 수리해 교동의 멋과 풍류를 현대식으로 재해석한 복합문화공간 '볕뉘'에서는 지역 예술가의 작품을 감상하고, 밀양아리랑을 계승하는 노부부의 신명 나는 공연을 관람하며, 밀양아리랑에 담긴 사적인 이야기를 들어볼 수도 있다 밀양 교동한옥촌은경상남도 밀양시 교동에 위치한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의한옥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집성촌이다 주요 건축물로는밀양 교동 근대 한옥과 교동 손씨고가등이 있으며, 전통과 근대적 요소가 혼합된 독특한 건축적 특징을 갖추고 있다교동한옥촌은 조선 후기 ..
-
매화 기행
매화-2025-005. 밀양향교 홍매화 - 선비의 뜰에 피다 (2025.03.01.)
005. 밀양향교 홍매화 (2025.03.01.) 삼일절 연휴 아침에밀양강 건너 벽곡재에 를 보러갔다혹시나 하고 찾아 갔지만 밀양의 역시지난 달 겨울의 끝자락에 몰아닥쳤던 강추위의 충격으로 전혀 꽃망울을 열지 못하고 있었다 실망하고 돌아나오다가정말 아주 오랫만에 밀양향교의 홍매화를 찾아갔다평소에, 보다 밀양향교 홍매화가 조금 더 일찍 피기 때문에밀양향교 홍매화는 피었을지도 모른다는 기대 때문이었다 밀양향교는 밀성(密城) 손(孫)씨 집성촌인 교동(校洞)마을의양지바른 언덕에 자리잡고 있는데오른쪽 관리사 뒷편 대나무 숲에 홍매화 1그루가 있다하얀색과 비슷한 아주 옅은 분홍색 홑꽃을 피우는약 100년 내외의 건장한 홍매화이다 관리인의 이야기에 따르면 일주일 후에 향교에서 아주 큰 행사가 있는데여태껏 꽃..
-
전시회.행사.공연
양산 평산책방 - 책과 자연이 어우러진 복합문화공간 (2025.02.16.)
양산 평산책방 양산 평산책방은 경상남도 양산시에 위치한 독특한 서점으로 이 서점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위치 및 환경● 경상남도 양산시 평산동에 위치● 평산마을이라는 한적한 농촌 마을에 자리잡고 있음● 주변의 자연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건축 디자인 2. 서점 컨셉● '책과 자연이 어우러진 공간'을 모토로 함● 단순한 서점을 넘어 문화공간으로서의 역할 추구 3. 건축 특징● 2층 규모의 목조 건물● 큰 창을 통해 자연 채광을 최대한 활용● 내부에 나무와 자연 소재를 많이 사용하여 편안한 분위기 조성 4. 도서 구성● 문학, 예술, 인문학 등 다양한 분야의 책 구비● 독립출판물과 지역 작가들의 작품도 취급 5. 부대시설● 카페 운영: 책을 읽으며 차를 마실 수..
-
경 남 . 부 산
통도사 성보박물관 ‘괘불탱화 특별전’ - 예산 대련사 비로자나불 괘불 (2025. 02.)
통도사 성보박물관 ‘괘불탱화 특별전’- 2025년 4월까지 박물관 1층 괘불전서 예산 대련사 비로자나불 괘불도가 2025년 4월6일까지 통도사 성보박물관 1층 괘불전에서 특별전으로 선보이고 있다영축총림 통도사 성보박물관은 2025년 4월6일까지 박물관 1층 괘불전에서 괘불탱화 특별전 ‘예산 대련사 괘불탱화’를 열고 있다. 통도사는 2016년부터 매년 개산대재에 맞춰 괘불탱화 특별전을 열어 괘불탱화에 담긴 역사·문화적 가치를 알리고 있으며, 이번 제42회 괘불탱화 특별전에서는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인 ‘예산 대련사 비로자나불 괘불도’를 선보인다. 대련사 비로자나불 괘불도는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문수·보현보살과 가섭·아난존자를 좌우 대칭으로 그린 괘불탱화로, 독특한 구도와 부드러운 색채 사용 등..
-
자 연
금강 성산지구 및 하구둑 - 람사르 협약에 등재된 철새도래지 습지 (2025.02.15.)
금강 성산지구와 하구둑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하천 관리 및 자연 보호 지역으로, 주로 금강의 하구와 주변 지역의 생태계와 환경 보호에 관련된 중요한 지구입니다. 1. 금강 성산지구위치 및 특징금강 성산지구는 충청남도 서천군과 보령시 일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금강의 하류 지역에 해당합니다.이 지역은 금강 하구에 인접한 곳으로, 다양한 습지와 갯벌, 그리고 하천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지역의 습지는 자연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다양한 식물과 동물들이 서식하는 중요한 생태적 가치가 있는 지역입니다.생태적 중요성성산지구는 철새들의 주요 중간 기착지로 알려져 있습니다. 금강 하구를 지나며 이동하는 많은 철새들이 이곳에서 휴식하고 먹이를 찾습니다. 특히 동아시아-호주 철새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고 있어 국..
-
철새 이야기
철새도래지 서천 동부(봉선)저수지와 가창오리 (2025.02.16.)
철새도래지 서천 동부저수지와 가창오리 서천 동부저수지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서천군에 위치한 중요한 철새 도래지로, 매년 많은 철새들이 이곳에서 휴식과 먹이를 얻고, 재충전을 하는 중요한 장소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곳은 특히 가창오리(Gadwall)의 주요 서식지로 유명하며, 다양한 철새들이 이 지역을 방문하는데 그 중에서도 가창오리는 그 대표적인 종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1. 서천 동부저수지의 중요성 서천 동부저수지는 서천군에 위치한 대규모 저수지로, 1970년대 초반에 건설되었습니다. 이 저수지는 농업용수 공급을 주 목적으로 만들어졌지만, 그 이후로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로 각광받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겨울철에는 많은 철새들이 이곳을 찾아와 겨울을 나거나 휴식을 취합니다. 이 저수지는 그 넓은 면..
-
여 행
무주리조트 - 스키로 유명한 종합 레저 리조트 (2025. 02.)
무주리조트 무주리조트는 대한민국 전라북도 무주군에 위치한 종합 레저 리조트로, 스키와 스노보드, 산악자전거, 등산 등 다양한 액티비티를 제공하는 복합 관광지입니다. 무주리조트는 특히 겨울 스포츠인 스키와 스노보드가 유명하며, 여름에도 산악 레포츠를 즐길 수 있어 사계절 내내 많은 관광객들이 방문하는 인기 있는 관광지입니다. 이 글에서는 무주리조트의 다양한 시설과 건물, 곤도라, 스키장 등의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1. 무주리조트 개요 무주리조트는 1998년에 개장했으며, 무주 구천동 계곡의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배경으로 한 리조트입니다. 이 리조트는 사계절 내내 다양한 액티비티를 제공하며, 특히 겨울철에는 스키와 스노보드를 즐길 수 있는 국내 대표적인 스키 리조트로 유명합니다. 또한 여름에는 산악자전..
-
자 연
서천 장항송림 자연휴양림 - 생물 다양성 확보와 조류 관찰 (2025. 02.)
장항송림 자연휴양림 1. 장항송림의 역사적 배경장항송림은 오랜 세월 동안 자연적으로 형성된 숲으로, 이 지역의 기후와 지형에 적합한 소나무가 자생적으로 자생하고 있습니다. 송림은 과거부터 지역 주민들에게 목재와 약재 등 다양한 자원을 제공해왔으며, 이로 인해 지역 경제에 기여해왔습니다. 또한, 장항송림은 조선시대부터 군사적 방어의 역할을 하기도 했으며, 그로 인해 지역 주민들에게는 중요한 자원으로 여겨졌습니다. 2. 생태적 가치장항송림의 생태적 가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생물 다양성: 송림 내에는 다양한 식물과 동물들이 서식하고 있으며, 이들은 서로 상호작용하며 생태계를 이루고 있습니다. 특히, 송림은 다양한 조류의 서식지로 알려져 있어 조류 관찰을 즐기는 이들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 ..
-
자 연
서천갯벌 - 갯벌의 가치를 보전하고 지속가능한 이용을 도모(2025.02.16.)
서천갯벌 서천갯벌은 충청남도 서천군의 서해안에 위치한 광활한 갯벌 지역으로, 한국의 대표적인 갯벌 생태계 중 하나입니다. 이 갯벌은 생태적, 경제적, 문화적으로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어 국내외적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서천갯벌의 다양한 측면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지리적 특성 서천갯벌은 충청남도 서천군의 서쪽 해안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금강 하구에서 비인만에 이르는 약 30km의 해안선을 따라 펼쳐져 있습니다. 총 면적은 약 68.4km²에 달하며, 이는 여의도 면적의 약 23배에 해당하는 크기입니다. 서천갯벌의 지형은 주로 평탄한 펄갯벌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부 지역에는 모래와 자갈이 섞인 혼합갯벌도 존재합니다. 이러한 다양한 지형적 특성은 다양한 생물들의 서식지를 제공합니다...
-
매화 기행
매화-2025-004. 양산 통도사 홍매화 - 마침내 <자장매> 피다, 그래서 한반도의 봄을 열다(2025.02.22.)
004. 양산 통도사 홍매화- 마침내 피다, 그래서 한반도의 봄을 열다 2025년, 통도사 의 첫 개화소식은2월 2일에 있었다‘드디어 통도사 홍매화 한 송이가 피었다!’는 의실시간 개화상황이 SNS에 올라왔었다 2023년에는 지구온난화의 심각한 휴유증으로예년보다도 1달 이상이나 빨리 1월 8일쯤에자장매가 꽃망울을 터뜨리는 기상이변도 있었지만일반적으로 통도사 의 개화시기는 2월 중순 무렵이다 소한, 대한을 거친 뒤에, 입춘을 전후하여그 해의 추위와 기온에 따라서 2~3주 내외의 시간 차이를 보이면서꽃망울이 터지는 경향을 보여 왔다 그런데 올해는 입춘 하루 전에 꽃망울 하나를 터뜨렸지만이후에 뒤늦게 몰아친 강추위와 폭설로 전국이 꽁꽁 얼어 붙어버리고 말았다그래서 의 개화는 더 이상 진척이 없었고의 개화..
-
충 남
전통건축-1029. 서천 이하복고택 - 며느리에게 독립적인 공간을 배려한 사랑이 깃든 집(2025.02.16.)
서천 이하복 고택 이 집은 근대교육자이자 계몽운동가였던 이하복(1911-1987)이 살던 집이다.이하복은 일제강점기인 1939년 와세다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뒤 1943년까지보성전문학교(지금의 고려대학교)에서 근무하였다.일제가 한국 학생들을 강제로 태평양전쟁에 참전시키는 것에 격분하여 1944년 고향으로 돌아와농촌계몽운동을 전개하였다. 이 집은 19세기 후반에 처음 지어진 후 20세기 초에 증축되었고 이후 여러 차례 보수되었다. 이 집은 왼쪽 영역과 오른쪽 영역으로 나뉘어 진다.왼쪽 영역은 사랑채, 안채, 광채로 구성되어 있으며, 안마당을 중심으로 ㅁ자형을 이루고 있다.이러한 구조는 한반도 중부지방 전통 가옥의 전형적인 모습이다.오른쪽 영역은 아래채, 위채, 광채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래채와 위채는..
-
전시회.행사.공연
서천 이하복고택전시관 - 미래를 향한 지혜를 얻을 수 있는 문화 공간 (2025.02.16.)
서천 이하복고택전시관 서천 이하복고택전시관은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에 위치한 문화시설로, 청암(靑菴) 이하복(李夏馥) 선생의 생애와 업적을 기리고 그의 유물을 전시하기 위해 건립되었습니다. 이 전시관은 2018년 11월 8일에 개관하였으며, 같은 해 5월에 충남공립박물관으로 지정되었습니다. 1. 위치 및 시설전시관은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신막로 57번길 32-3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하복 선생의 생가인 이하복 고택 옆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전시관의 주요 시설로는 전시실, 영상실, 체험실이 있으며, 장애인을 위한 휠체어 리프트와 주차장도 갖추고 있습니다. 2. 운영 정보전시관은 매주 월요일과 1월 1일, 설날, 추석을 제외한 모든 날에 개방되며, 관람 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입니다. 입장료..
-
자 연
무주리조트에서 덕유산 향적봉으로 가는 길 (2025.02.15.)
덕유산 향적봉 등산은 한국의 대표적인 산악 체험 중 하나로, 다양한 코스와 풍광을 자랑합니다. 향적봉은 덕유산의 최고봉으로, 해발 1,614m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 등산에 대한 주요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등산 코스] ● 향적봉 1코스 (설천봉 → 향적봉)소요시간: 약 20분거리: 0.6km난이도: 초급특징: 무주덕유산리조트의 관광곤돌라를 이용하여 쉽게 접근 가능이 코스는 관광곤돌라를 이용하여 설천봉까지 쉽게 올라간 후, 향적봉까지 짧은 거리를 걸어 오르는 방식입니다.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코스로, 연간 약 60만 명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은동계 시즌에는 곤돌라 사전예약이 필요하고평일은 현장접수가 가능하지만, 대기 시간이 있을 수 있습니다 [향적봉 ..
-
철새 이야기
서천군 동부저수지 가창오리 군무(群舞) - 자연과 인간이 함께 공존하는 삶의 방식 (2025.02.16.)
가창오리 군무( 群舞) 가창오리 군무는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관찰되는 자연 현상으로, 그 규모와 장관이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줍니다. 이 군무가 발생하는 장소들은 주로 가창오리들이 겨울철에 머무르기 위한 철새 도래지입니다. 이러한 지역들은 오리들의 생존과 번식에 필수적인 자원을 제공하며, 자연의 아름다움을 감상할 수 있는 장소로 유명합니다. 가창오리 군무를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장소들을 중심으로, 각 지역의 생태적 특성과 가창오리 군무의 의미를 심도 있게 살펴보겠습니다. 1. 가창오리 군무( 群舞)의 중요성 가창오리 군무는 가창오리들이 수백, 수천 마리씩 모여 하늘을 나는 장면을 뜻합니다. 이는 철새들의 중요한 이동 방법 중 하나로, 각종 천적을 피하고 에너지를 절약하며, 식량을 확보하는 등의 생태적..
-
철새 이야기
서천 조류생태전시관 - 지속가능한 조류 보호와 생태환경 교육 (2025.02.16.)
서천조류생태전시관 1. 전시관의 설립 배경 서천은 다양한 조류가 서식하는 지역으로, 특히 서천 갯벌은 많은 migratory birds의 중간 기착지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자연환경을 보호하고, 조류에 대한 연구 및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기 위해 서천 조류생태전시관이 설립되었습니다. 이곳은 지역 주민뿐만 아니라 관광객들에게도 조류의 생태와 보존의 중요성을 알리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1F COEX-topia다양한 체험과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공간 2F Bird Philia서천의 자연환경, 새들의 생활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디오라마와 실물전시 연출한 공간 3F Enjoy U-topia새들의 생태를 어린이 눈높이에 맞춘 놀이식 생태체험으로 놀이를 통해 학습하는 공간(자료출처 - 홈페이지..
-
김광현의 건축으로 읽는 일상 풍경
김광현의 건축으로 읽는 풍경 - (27) 베네수엘라 ‘토레 다비드’
세계最高 빈민가의 생동하는 삶… ‘죽은 건축’ 살린 불법거주자들문화일보입력 2020-01-22 11:1845층의 토레 다비드를 불법 점거한 거주자들. 스스로 난간도 두고 외벽을 쌓았으나 모양이 같은 것이 하나도 없다. ⓒ Iwan Baan■ 건축과 일상김광현의 건축으로 읽는 풍경 - (27) 베네수엘라 ‘토레 다비드’금융센터 짓다 중단된 45층짜리 빈 빌딩에 집 없는 이들 찾아와 무단점유… 2014년엔 750여가구 3000여명 거주식품점·이발소·교회 차리고 청소·방범 등 자율규칙 시행… 버려진 공간을 삶의 무대로 꾸민 ‘공동체의 힘’ 그리스의 금욕주의 철학자 디오게네스는 나무로 만든 통에서 살았다. 아니, 이미 있던 통을 무단 점유했다는 것이 더 맞는 표현일 것이다. 그는 출입이 자유로운 아테네 공공건물..
-
스크랩 - 세계의 건축가
세계의 건축가 -122. 클라우스 & 카안 Claus en Kaan Architecten
건축가 클라우스 & 카안 Claus en Kaan 클라우스와 카안은 현대 건축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건축가들로, 그들의 생애와 작품은 건축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 두 건축가는 각기 다른 배경과 경험을 가지고 있지만, 그들의 작업은 종종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현대 건축의 다양한 측면을 탐구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1. 클라우스의 생애와 작품클라우스는 독일 출신의 건축가로, 그의 경력은 20세기 중반부터 시작되었습니다. 그는 베를린에서 건축학을 공부한 후, 여러 유명한 건축 사무소에서 경력을 쌓았습니다. 클라우스는 특히 기능주의와 미니멀리즘을 강조하는 디자인 철학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의 작품은 간결한 형태와 실용성을 중시하며,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그의 대..
-
스크랩 - 세계의 건축가
세계의 건축가 -121. 존 웰본 루트 John Wellborn Root
건축가 존 웰본 루트 John Wellborn Root 존 웰본 루트(John Wellborn Root, 1850–1891)는 미국 시카고에서 활동했던 건축가이자, 시카고 학파(Chicago School)의 중심 인물 중 하나입니다. 그는 건축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한 인물로 평가받으며, 그의 혁신적인 건축 아이디어는 현대 건축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그는 철강 구조와 유리, 벽돌 등의 건축 재료를 적절히 조화시키는 방법을 선보이며, 당시 시카고의 도시 풍경과 건축계를 변화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존 웰본 루트의 생애, 주요 작품, 그리고 그의 건축 철학과 유산을 심도 있게 다룰 것입니다.1. 생애와 초기 경력존 웰본 루트는 1850년 9월 20일, 미국 루이지..
-
국 내
국립김해박물관 - 가야의 멋을 담다 (2025. 02.)
국립김해박물관 국립김해박물관은 가야의 문화유산을 집대성하기 위해 1998년 7월 29일에 개관하였습니다. 가야의 건국 설화가 깃든 김해시 구지봉 기슭에 위치하며, 가야의 문화유산을 집중적으로 전시하고 있습니다. 박물관은 가야의 역사적 중요성을 전 세계에 알리고, 관람객들에게 가야 문화를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건축되었습니다 1. 박물관의 설립과 역사 국립김해박물관은 가야의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연구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가야는 기원전 1세기경부터 6세기까지 낙동강 하류 지역에 존재했던 고대 국가로, 다른 고대 국가들에 비해 역사 기록이 거의 남아 있지 않아 유물과 유적을 통해 그 실체를 복원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2. 건축 개요 및 규모 박물관 건물은 지상 3층, 지하 1층 ..
-
전시회.행사.공연
부산박물관 - "우리가 인디언으로 알던 사람들" (2025. 02.)
부산박물관에서 전시하는 "우리가 인디언으로 알던 사람들"은 미국 원주민(인디언) 문화를 다룬 특별 전시로, 전통적인 관념에 갇힌 ‘인디언’에 대한 오해를 풀고, 그들의 다양한 문화적, 사회적 특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 전시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인디언’이라는 이미지를 넘어, 실제 원주민들이 겪어온 역사적 현실과 그들의 삶의 방식을 조명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1. ‘인디언’에 대한 오해와 고정관념‘인디언’이라는 용어는 Christopher Columbus가 아메리카 대륙에 도달했을 때, 그가 아시아에 도달했다고 착각하며 붙인 명칭입니다. 그러나 ‘인디언’이라는 이름은 대륙의 원주민들에 대한 정확한 명칭이 아니며, 원주민들의 문화적, 민족적 다양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단..
-
경 남 . 부 산
김해 대성동고분박물관 (2025.02.08.)
김해 대성동고분박물관 김해시는 2001년부터 가야문화 환경정비사업의 일환으로 대성동고분군을 정비하고 2003년 8월 대성동고분박물관을 개관하였다. 이웃한 국립김해박물관이 가야 전체의 역사와 문화를 다룬다면 대성동고분박물관은 금관가야 최고 지배계층의 무덤인 대성동고분군을 대상으로 하여 보다 특화된 전시를 구성하였다. 이후 대성동고분군에 대한 학술발굴조사가 꾸준히 진행 된 결과 새로운 자료들이 많이 등장하였다. 대성동고분박물관은 관람객들에게 최신 발굴 자료들과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열린 박물관으로 다가가고자 노후화된 박물관 시설을 리모델링하여 2017년 5월 재개관하였다. 재개관한 대성동고분박물관은 상설전시관과 야외전시관을 관람하고 대성동고분군을 산책할 수 있도록 기획하였다. ..
-
매화 기행
매화-2025-003. 김해건설공고 <와룡매> - 용트림을 시작하다(2025.02.08.)
003. 김해건설공고 - 용트림을 시작하다 올해 새해초의 날씨는예년보다 온화하고 포근했지만, 1월말의 엄청 길었던 설연휴 이후로는폭설과 한파로 한반도가 꽁꽁 얼어붙어 있다그래서 2025년의 매화 개화의 기상도도전반적으로 늦어지고 움츠러들어 있는 상황이다 그렇지만, 토요일 오후에 김해박물관에 들렀다가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바로 근처에 있는 김해건설공고를 들렀다추측대로 김해건설공고 교정의 들도이 마지막 겨울 한파에 채 꽃망울을 터뜨리지 못하고 있었다 김해건설공고 교정에는수령 약 100년 정도의 오래된 고매화(古梅花) 80여 그루가매화터널을 이루고 있다교문에서부터 본관까지 이어진 약 200m 남짓한 '매화로' 양 옆으로 도열해 수문장처럼 학교를 지키고 있다 그 '매화로'에는 아직도 찬바람이 씽..
-
국 내
부산박물관 - 전통건축의 요소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공공건물 (2025. 02.)
부산박물관 부산박물관은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에 위치한 시립박물관으로, 1978년 7월 11일에 개관했습니다. 이 박물관의 건축개요와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건축 개요설계자: 이희태 건축가착공 연도: 1975년준공 연도: 1978년개관일: 1978년 7월 11일대지 면적: 8,296평 (약 27,425m²)연면적: 1,613평 (약 5,332m²) 건축 디자인의 특성 ● 전통의 현대화부산박물관은 이희태 건축가의 설계로, 전통건축의 아이콘을 적극적으로 현대화한 건축물입니다. 이희태 건축가는 국립극장(1969), 경주박물관(1972), 공주박물관(1974) 등을 설계한 바 있으며, 전통건축의 요소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 종묘를 연상시키는 외관박물관의 외관은..
-
철새 이야기
철새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 방지대책
철새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 방지대책 1. 서론조류인플루엔자(AI)는 조류에게 주로 영향을 미치는 전염성 높은 바이러스 질병이다. AI는 고병원성(HPAI)과 저병원성(LPAI)으로 구분되며,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는 특히 사람과 다른 동물들에게도 전염될 수 있어 공공보건과 농업에 심각한 위협을 가한다. 철새들은 AI의 주요 전파 경로로 알려져 있으며, 겨울철에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겨울철에 수많은 철새들이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북아시아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철새들로부터 국내 가금류로의 바이러스 전파 위험이 증가한다. 본 논문에서는 철새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 방지대책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2. 조류인플루엔자(AI)의 특성 및 전파 경로조류인플루엔자는 조류의 호흡기 및 소화기..
-
스크랩 - 세계의 건축가
세계의 건축가 -120. 윌리엄 르바론 제니 William LeBaron Jenney
윌리엄 르바론 제니(William Le Baron Jenney)는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의 미국 건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건축가입니다. 그는 **시카고 학파(Chicago School)**의 핵심 인물로, 현대 고층 건축의 아버지로 불리며 철강 구조를 도입하여 고층 건축의 발전에 기여한 인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제니는 철강 골조와 같은 혁신적인 기술을 활용하여 고층 건물을 짓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고, 이로써 현대 건축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한 인물입니다. 1. 윌리엄 르바론 제니의 생애 윌리엄 제니는 1832년 9월 25일, 뉴욕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어렸을 때부터 수학과 과학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고, 이를 바탕으로 건축이라는 분야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제니는 185..
-
철새 이야기
국내 최대 철새도래지 창원 주남저수지(6) - 주남저수지에서 관찰되는 주요 철새들 (2025.02.02.)
창원 주남저수지는 경상남도 창원시에 위치한 중요한 철새 서식지로, 매년 겨울철에 많은 수의 철새들이 이곳을 찾습니다. 이 지역은 그 자연경관과 생태적 가치 때문에 환경 보호와 생태 연구의 중요한 장소로 꼽히며, 철새들의 중간 기착지나 겨울철 주요 서식지로 기능합니다. 주남저수지는 그 특성상 다양한 수생 식물과 생물들이 서식하고 있어 철새들의 먹이와 휴식처를 제공합니다. 1. 주남저수지의 자연 환경 주남저수지는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에 위치해 있으며, 면적은 약 4.3㎢에 달합니다. 이곳은 원래 농업용으로 조성된 저수지였지만, 주변 환경과 습지 생태계가 발달하면서 철새들의 중요한 서식지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주남저수지의 수질은 비교적 깨끗하고, 그 주변에는 다양한 식물들이 자생하고 있어 철새들에게 좋은..
-
철새 이야기
철새란?
철새란?철새는 주기적으로 일정한 시기에 따라 이동하는 새들을 말합니다. 이러한 새들은 계절적인 변화에 따라 서식지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며, 이를 이동성(migration)이라고 합니다. 철새의 이동은 특정 지역에서 번식하고, 다른 지역에서 겨울을 보내는 형태로 이루어집니다. 철새의 주요 특징은 이처럼 ‘이동’에 있다는 점이며, 이는 여러 환경적 요인과 생리학적 특성에 의해 결정됩니다.철새의 이동 이유철새들이 이동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식량 확보와 기후 변화입니다.식량 확보: 많은 철새는 겨울철에 식량이 부족해지는 지역을 피하고, 더 따뜻하고 식량이 풍부한 지역으로 이동합니다. 여름철에는 북쪽의 온대 지방이나 북극 지역에서 번식하면서 충분한 먹이를 찾을 수 있지만, 겨울이 오면..
-
경 남 . 부 산
부산 유엔기념 공원 (3) - 유엔군의 영혼의 빛 (2025. 01.)
부산 유엔기념공원 부산유엔기념공원(釜山UN기념公園)은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위치한 공원으로, 한국전쟁 동안 유엔군을 포함한 다국적 군대의 희생자를 기리기 위해 조성된 특별한 기념공원이다. 이 공원은 유엔군과 한국 전쟁 참전국들의 희생자들을 추모하며, 국제적 평화와 화해의 상징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부산유엔기념공원은 1951년 11월 1일에 설립되었다당시 한국전쟁은 1950년에 시작되어 1953년까지 이어졌고, 전쟁 중 유엔군을 비롯한 여러 국가들이 한국을 지원하기 위해 참전했다특히, 유엔군은 여러 국가의 병력들이 함께 참여한 다국적 군이었고, 그들의 희생은 한국전쟁에서..
-
소나무 기행
소나무 기행 -71. 의령군 운곡리 자송령 소나무 - 경남을 대표하는 미인 소나무 (2025.01.28.)
의령 자송령(嵫松靈) 경남 의령군 가례면 상촌마을 치유숲 둘레길 입구, 들판 오른쪽 가장자리에 소나무자송령이 자리잡고 있다 의령을 대표하는 천년기념물 ‘정곡면 성황리 소나무'에 비하면 나무의 크기는 좀 작은 편이지만, 수령이 약 450년 이상으로 더 오래되었고높이가 10m, 직경 20~30m, 흉고 둘레 3.3m, 수관 폭 18m의 건장한 모습이다 나무의 앉음새가 상당히 안정적이고 뿌리에서부터 상단까지 이어지는 선이 부드럽고 자연스럽고 기품이 있다 또한, 자송령의 수피는 전형적인 한국 소나무 특징인 붉은빛을 띄고 있고오랜 세월을 묵은 소나무들만이 드러내는 용비늘의 두꺼운 껍질은나무의 연륜과 강인함을 드러낸다 자송령(嵫松靈)은 이 소나무의 이름으로 '송령(松靈)'은 나이 든 소나무에 이름을 붙일 ..
-
매화 기행
매화-2025-002. 부산유엔공원 홍매화 : 부산의 봄은 오륙도 앞까지 왔건만...... (2025.01.30.)
002. 부산유엔공원 홍매화 - 부산의 봄은 오륙도 앞까지 왔건만...... (2025.01.30.) 부산 UN기념공원에는 1월 중순쯤에 양산 통도사의 보다 일주일 정도 일찍 꽃을 피우는홍매화가 있다. 광양의 소학정매, 거제도의 , 금둔사의 함께 우리나라에서 개화시기가 가장 빠른 대표적인 매화에 속한다 그 유엔공원 홍매화가지난 해에는 정확히 1월 20일에 개화 소식을 전했었는데올해는 1월말이 되도록 꽃소식이 들리질 않는다2025년 을사년 연초의 날씨가 큰 추위 없이 예년보다 비교적 포근했었고 섬진강의 광양는 2주전에 이미 피었건만아직도 감감 무소식이라 직접 확인을 해보기로 했다그래서 기나 긴 설연휴 중에 허탕을 무럽쓰고 유엔공원을 찾았다 부산 UN기념공원 홍매화는 1월 30일 현재, ..
-
경 남 . 부 산
의령군 부자 전설의 솥바위와 정암진의 곽재우 의병장 (2025.01.28.)
의령군은 지리적으로 경상남도의 중앙지점에 위치한 역사적인 지역으로, 이곳에는 솥바위, 정암루와 정암진, 그리고 의병 곽재우와 관련된 여러 전설이 남아 있습니다. 의령 솥바위는 경상남도 의령군에 위치한 유명한 자연 경관으로, 솥처럼 생긴 바위입니다. 이곳은 전설과 관련된 이야기가 많아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있습니다. 특히, '부자 3명'의 전설이 유명한데, 이는 솥바위와 관련된 이야기로, 세 명의 부자가 솥바위에서 재물을 얻었다는 전설입니다. 이 이야기는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 전해 내려오며, 솥바위가 부의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합니다. 또한, 정암진과 정암루는 역사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의령은 삼국시대부터 중요한 지역으로, 백제와 신라, 고구려의 세력 다툼이 일어난 곳이었습니다. 이 지역에서 정암진..
-
소나무 기행
소나무 기행 -70. 의령군 성황리 소나무 - 마을을 지켜주고 보호하는 서낭나무 (2025. 01.28.)
의령군 성황리 소나무 성황리 소나무는 경상남도 의령군 성황리에 위치한 유명한 소나무로, 그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매우 높다이 소나무는 지역 주민들에게 오랜 세월 동안 신성한 존재로 여겨져 왔으며, 그로 인해 많은 전설과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소나무는 한국의 대표적인 침엽수로, 강한 생명력과 적응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성황리 소나무는 특히 그 크기와 형태가 독특하여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성황리 소나무는마을 뒷산의 경사면에서 자라고 있으며,나무의 나이는 300년 정도로 추정하고 있다.높이 13.5m, 둘레 4.8m의 크기로 1∼2.7m 높이에서 가지가 4개로 갈라져 옆으로 넓게 퍼졌으나, 그 가운데 하나는 죽어버렸다. 성황리 소나무에 대한 유래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북편으로 의령남씨..
-
국 내
광양 전남도립미술관 - 미구엘 슈발리에, 이이남의 미래가 된 산수 & 오지호와 인상주의 (2025. 01.)
전남도립미술관(全南道立美術館)은 전라남도 광양시에 위치한 도립 미술관이다. 2021년 3월 개관하였다. 2021년 4월 28일 이건희 컬렉션의 기증대상 미술관으로 선정되어,전라남도 출신 한국 근현대 미술 작가의 작품 21점을 기증받았다.진도 출신 허백련, 화순 출신 오지호, 신안 출신 김환기,고흥 출신 천경자 등이 대표 작가들이다미술관은 옛 광양역이 있던 자리에 2018년부터 사업비 414억원을 들여서 건립됐다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로 다수의 전시실을 갖췄으며, 구입작품 164점과 기증작품 18점 등 모두 182점이 상설 전시되어 있다 전남도립미술관의 설계는서울의 에스아이(SI) 건축사사무소와 광주의 디아이지(DIG) 건축사사무소가2016년 전남도립미술관 설계 공모에서 당선작으로 선정되어공동으로 설계..
-
게시판
2025 을사년, 즐겁고 행복한 설날 되세요
주남저수지(2024.01.19.)
-
철새 이야기
경남도 조류인플루엔자(AI) 발생, 철새도래지 13곳 통제 (2025. 01.20.)
경남도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AI) 발생으로 철새도래지 13곳 통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 방지를 위한 경상남도의 대응은 철새 도래지 통제 외에도 여러 가지 중요한 조치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AI는 철새를 통해 쉽게 전파되며, 철새 도래지와 가축 농가가 밀접하게 연결된 지역에서는 빠르게 확산될 위험이 큽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경남도는 철새 도래지 13곳을 통제하고, 방역 활동을 강화하는 등의 종합적인 대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주남저수지 탐방로 폐쇄 1. 철새 도래지 통제경상남도는 철새들이 많이 찾아오는 도내 13곳의 도래지를 철저히 통제하고 있습니다. 철새들이 도래하는 시기는 보통 겨울철로, 이때 철새들이 국내로 이주하면서 지역 내 AI 바이러스를 옮길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국 내
마산 문신미술관(3) - 문신원형미술관 30년의 기록 (2025. 01.)
[ 창원시립마산문신미술관 개요 ] 창원시립마산문신미술관은 예술가 문신의 작품을 효과적으로 전시하고,관람객들에게 풍부한 예술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공간으로 설계되었으며다음과 같은 건축 디자인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부지 규모 : 미술관은 약 1,500여 평(약 4,960m²)- 제1전시관 : 상설전시관으로, 문신의 브론즈, 나무, 회화 등의 작품을 전시- 제2전시관 : 기획전시관으로 활용- 야외조각미술관 : 대형 스테인리스 스틸, 브론즈 작품을 주로 전시- 문신원형미술관 : 2010년 10월에 증축 개관하여 문신의 석고원형 작품 및 유품을 전시- 건축 특징 : 미술관은 여러 동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1990년에 2개 동의 건물이 완공되었습니다야외 공간을 활용한 조각 전시 영역이 포함되어 있습니..
-
매화 기행
매화-2025-001 광양 소학정 매화 - 전국에서 가장 먼저 희망을 꽃 피우다(2025.01.25.)
001. 광양 소학정매(消鶴亭梅) ‘한반도의 봄은 섬진강에서 시작되고, 광양의 봄은 소학정에서 시작된다’는 말이소학정마을에 전해져 온다 소학정마을은 광양매화마을에서 구례방면으로 약 2km 정도 윗 쪽, 다압면 도사리에 있는데마을 입구에 수령 약 130년 정도의 하얀 꽃을 피우는 설중매 계통의 토종 매화나무, 소학정매(消鶴亭梅)가 있다 섬진강에서 아니, 우리나라에서 가장 빨리 꽃을 피우는 매화로서 보통 12월말에서 1월초에 꽃을 피우기 시작한다 그러나 워낙 엄동설한에 꽃을 피우다보니인근 마을들에 매화가 피기 시작하여 가 열릴 무렵이면소학정매는 이미 지고 만다 '학들이 노니는 정자'라는 뜻을 가진 소학정(消鶴亭) 마을에 '매화가 꽃망울을 터트리기 시작하면 지리산과 백운산에는 고로쇠 수액이 흘러..
-
국 내
마산문신미술관(2) - 그리움의 바다위에 영혼을 조각하다 (2025. 01.)
[ 창원시립마산문신미술관 제1전시관 ] 제1전시관은 문신의 다양한 작품을 통해그의 예술 세계를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중요한 공간으로,미술관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 위치 : 미술관 정면- 규모 : 2층 - 기능 : 주전시관- 전시 내용 : 문신의 브론즈, 나무, 회화 등의 작품을 상설 전시 현재 제1전시관 1층에서는"문신이 사랑한 마산" 전시의 일부인 "나의 마산" 전시가 진행되고 있습니다.이 전시에서는 1940~1950년대와 1980~1990년대의문신의 회화와 조각 작품들을 볼 수 있습니다 [ 제1전시관 전시 주요 작품 ] 창원시립마산문신미술관의 제1전시관에서는주로 문신의 다양한 조각 작품과 회화 작품이 상설 전시됩니다특히, 다음과 같은 주요 작품들이 포함됩니다 - ..
-
국 내
창원시립 마산 문신미술관(1) - 노예처럼 작업하고 신처럼 창조하다 (2025. 01.)
창원시립문신미술관(昌原市立文信美術館)은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추산동에 위치한 시립 미술관입니다이 미술관은 마산 출신의 세계적인 조각가 문신(文信)의 작품을 전시하고그의 예술 세계를 기리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 미술관 개요 ] 창원시립문신미술관은 1994년 5월 27일에 개관했으며, 총 면적은 약 7,500m²(2,300여 평)에 달합니다 미술관은 문신의 다양한 작품을 전시하고 있으며, 특히 스테인리스와 청동 등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진 조각 작품들이 주를 이룹니다 [ 미술관 구성 ] 미술관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 제1전시관: 2층 규모의 주전시관으로, 문신의 주요 작품들을 상설 전시- 제2전시관: 단층 규모로, 문신 관련 특별전과 초대전 작품을 주로 전시- 야외조각장 : 대형 스테인리스..
-
국 내
창원시립 마산박물관 - 마산의 근대 산업화와 민속문화 유물 전시 (2025. 01.)
창원시립 마산박물관 마산시립박물관은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에 위치한지역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전시하는 중요한 박물관으로,지역 역사와 문화를 깊이 이해할 수 있는 장소입니다.마산시는 한때 활발한 항구 도시였으며,산업화와 근대화의 중요한 중심지로서 여러 역사적 사건과문화적 발전을 겪어왔습니다.이러한 마산의 역사와 문화를 체계적으로 전시하고 연구하는 역할을 하는마산시립박물관은 지역 주민과 방문객들에게 중요한 교육적 가치와문화적 경험을 제공합니다. 1. 마산시립박물관의 설립과 역사마산시립박물관은 1985년에 개관하였으며,마산 지역의 역사적, 문화적 자산을 보존하고 연구하는중요한 기관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박물관의 설립 목적은마산과 그 주변 지역의 역사적 유물과 자료들을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보존하여,..
-
철새 이야기
국내 최대 철새도래지 창원 주남저수지 -5 (2025.01.19.)
창원 주남저수지 철새도래지 주남저수지는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에 위치한 대규모 저수지로,주로 농업용수와 수질 관리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동시에중요한 철새 서식지로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곳은 특히 겨울철에 다양한 철새들이 몰려드는 장소로,철새 관찰을 원하는 많은 사람들이 찾는 명소입니다.주남저수지는 그 지역의 자연환경 덕분에 수많은 철새들에게중요한 생태적 서식지를 제공하며,다양한 종류의 물새들이 이곳을 거쳐가거나 서식하게 됩니다. 주남저수지는 1970년에 완공된 이후로 주변 환경을 조성하여수많은 철새들의 도래지로 명성을 얻었습니다.저수지와 그 주변의 논밭, 습지 등의 자연 환경은철새들에게 중요한 서식지와 먹이 자원을 제공합니다.철새들은 겨울철에 더 따뜻한 기후를 찾아 북쪽에서 남쪽으로 이동하는데,주남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