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통건축 갤러리 ■/충 남 (58) 썸네일형 리스트형 전통건축-10363. 아산 외암 종택과 이간 사당 (2025.05.31.) 외암마을 외암종손댁 1. 외암종손댁의 역사와 배경외암마을 외암종손댁은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외암리에 위치한 외암민속마을의 대표적인 종가(宗家)입니다. 이 집은 조선 후기의 대표적 성리학자이자 예안이씨 집성촌의 중심 인물인 외암 이간(李柬, 1677~1727) 선생의 종손이 대대로 거주해온 가옥으로, 마을에서 ‘종손댁’ 혹은 ‘외암종택’이라고도 불립니다. 외암마을은 500여 년 전부터 예안이씨 집안이 대대로 정착해온 양반촌으로, 종손댁은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위치와 상징성을 갖고 있습니다.외암종손댁은 마을의 중심부에 자리하고 있으며, 마을의 사회적·공간적 중심축이 되는 종가와 사당이 바로 이 집에 연계되어 있습니다. 예안이씨 집안의 종손이 거주하는 집이기 때문에, 집안의 제사와 각종 의례, 마을의 중.. 전통건축-10362. 아산 외암마을 송화댁 (2025.05.31.) 외암마을 송화댁 **송화댁**은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외암리에 위치한 외암민속마을의 대표적인 양반가옥 중 하나로, 외암마을에서 가장 오래된 가옥으로 꼽힙니다. 이 집은 조선 후기 문신이자 송화군수(松禾郡守)를 지낸 이장현(李章鉉, 1779~1841)의 집으로, 그의 관직명에서 유래한 ‘송화댁’이라는 택호를 가지고 있습니다1. 역사적 배경송화댁의 주인 이장현은 예안이씨 집안의 9대손으로, 외암마을의 입향조인 이사종의 후손입니다. 그는 순조 10년(1810) 식년시에 진사시에 합격하여 벼슬길에 올랐고, 이후 황해도 송화군수로 부임하면서 그의 집이 ‘송화댁’이라 불리게 되었습니다외암마을은 500여 년 전부터 예안이씨 집안이 대대로 거주하며 번창해온 양반촌으로, 송화댁은 마을 형성과 공간구조의 중심적 역할을 .. 전통건축-10361. 아산 외암마을 참판댁 (2025.05.31.) 외암마을 참판댁 외암마을 참판댁(牙山 外岩마을 參判宅)은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외암민속길 42-15(외암리 88번지)에 위치한 전통가옥으로, 조선 후기와 근대 개항기(19세기 말)에 건립된 대표적인 한옥입니다. 1984년 12월 24일 국가민속문화재 제195호로 지정되었으며, 2021년 11월 19일 재지정되었습니다1. 역사와 배경참판댁은 1891년(고종 28년)에 문과에 급제해 규장각 직학사와 참판을 지낸 퇴호(退湖) 이정렬(李貞烈)이 고종황제로부터 자금을 하사받아 새로 짓고 거주한 집입니다. 이정렬은 충북 보은 출신으로, 아산 외암마을의 이상규의 양자가 되었고, 이상규의 어머니가 명성황후의 이모였던 인연으로 왕실과 밀접한 관계를 맺었습니다. ‘참판댁’이란 명칭도 이정렬이 이조참판(현 중앙부처 차관.. 전통건축-10360. 아산 외암마을 - 500년 전통이 살아 숨 쉬는 민속마을의 야행 (2025.05.31.) 아산 외암마을 아산 외암마을은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외암리에 위치한 조선시대 전통 한옥마을로, 약 500년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곳이다. 국가 지정 중요민속자료 제236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2011년에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잠정목록에 등재될 만큼 그 역사적·문화적 가치가 높다역사와 유래외암마을의 역사는 조선 중기부터 시작된다. 마을의 형성은 예안 이씨(禮安 李氏) 일가가 송악산(설화산) 아래에 정착하면서 본격화되었다. 이사종(李嗣宗)이 부친의 묘소를 송악산에 정한 후 온양에 정착하였고, 그 후손들이 대대로 터를 잡아 집성촌을 이루었다. 마을 이름 ‘외암’은 설화산 남서쪽 자락에 위치한 이 마을이 예전에는 ‘오양골’로 불렸던 것에서 유래한다. 이는 조선시대 시흥역의 말을 먹이던 곳이었기 때문이라는 .. 전통건축-1029. 서천 이하복고택 - 며느리에게 독립적인 공간을 배려한 사랑이 깃든 집(2025.02.16.) 서천 이하복 고택 이 집은 근대교육자이자 계몽운동가였던 이하복(1911-1987)이 살던 집이다.이하복은 일제강점기인 1939년 와세다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뒤 1943년까지보성전문학교(지금의 고려대학교)에서 근무하였다.일제가 한국 학생들을 강제로 태평양전쟁에 참전시키는 것에 격분하여 1944년 고향으로 돌아와농촌계몽운동을 전개하였다. 이 집은 19세기 후반에 처음 지어진 후 20세기 초에 증축되었고 이후 여러 차례 보수되었다. 이 집은 왼쪽 영역과 오른쪽 영역으로 나뉘어 진다.왼쪽 영역은 사랑채, 안채, 광채로 구성되어 있으며, 안마당을 중심으로 ㅁ자형을 이루고 있다.이러한 구조는 한반도 중부지방 전통 가옥의 전형적인 모습이다.오른쪽 영역은 아래채, 위채, 광채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래채와 위채는.. 예산 추사고택 - 3 (2024. 04. ) 예산 추사고택 만해 한용운과 김좌진, 윤봉길을 비롯해 무수한 애국지사를 배출한 충절의 고장 예산. 이곳에 추사 김정희 선생이 태어나고 자란 유적지가 있다. 신례원에서 당진으로 가다보면 사과향기 가득한 들판 사이로 추사고택秋史故宅 이정표가 나온다. 신암면 용궁리에 소재한 김정희 선생 유적지는, 추사고택을 중심으로 문화유적이 산재한 일대를 말하며 추사 집안의 묘역까지 포함된다. 고택을 중심으로, 오른쪽으로는 화순옹주와 부군인 월성위 김한신의 합장묘가 있고 그 옆으로는 정조대왕이 내린 화순옹주열녀정문和順翁主烈女旌門이 있다. 좀더 위로 올라가면 천연기념물인 예산의 백송白松과 추사의 고조부 김흥경의 묘가 있다. 좌측으로는 추사의 묘가 있고 뒤편으로는 추사의 수도장이었던 화암사라는 사찰이 있다. 이곳에는 추사 선생.. 아산 현충사 -2 (2019.03.23.) 아산 현충사 (顯忠祠) 사적 제155호. 1704년(숙종 30) 아산의 지방 유생들이 충무공(忠武公) 이순신(李舜臣)의 전공을 기리기 위해 사당건립을 상소함에 따라 1706년에 건립했으며, 그 이듬해 '현충사'로 사액되었다. 1865년(고종 2) 대원군의 서원철폐령 이후 황폐화되었다가, 1932년 6월 이충무.. 논산 명재고택 - 7 (2019. 03.) ...... 노성향교가 있는 곳이라 해서 교촌리라 불리는 이 동네는, 마을 뒤편의 노성산자락에, 윤증 선생 고택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노성향교, 우측 언덕너머에는 공자의 영정을 봉안한 영당인 노성 궐리사가 있다. 유림을 대표하는 학자의 주거지로서, 학문적인 교육환경이 셋팅 되어있는 .. 이전 1 2 3 4 ···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