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전통건축 갤러리 ■/경 북

(347)
칠곡 성 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 성당 - 기도하고 일하라 (2024.11.10.) 성 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 성당 [한국의 아름다운 성당 50선⑩]  정문으로 들어가면 아담하고 조그만 성당이 보인다. 명동성당과 비슷한 모습의 구 성당으로 1928년에 지어진 왜관 최초의 성당이다. 20세기 초반에 프랑스에서 온 선교사들이 붉은 벽돌을 사용하여 건축한 것이다. 1952년 7월 6일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에 있던 베네딕도 덕원수도원과 중국에 있던 베네딕도 연길수도원 수도자들이 월남하여 경북 칠곡군 왜관읍에 수도원을 설립하였다. 1967년 읍내로 ‘왜관 성당’을 더 크게 지어 이전하면서 이 건물은 ‘구성당’으로 불린다. 구성당 왼쪽의 단층 건물은 1935년에 지어져 본당 사무실로 사용되다 현재는 기념품을 판매하고 있다. 수도원 대성전은 2007년 4월 6일 갑작스러운 화재로 큰 위기를 맞았으나 ..
칠곡 가실성당 (2024. 11.) 칠곡 가실성당漆谷 佳室聖堂  요약 일제강점기에 건립된 신로마네스크 양식의 벽돌조 건물로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에 위치한 성당건물. 개설낙산리 가실마을에 있는 성당으로, 당초 칠곡낙산성당(漆谷洛山聖堂)으로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으나 2006년 2월 칠곡가실성당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본당과 사제관 등 2동의 건물로, 2003년 4월 14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역사적 변천가실성당은 초대 주임으로 부임한 까밀로 빠이야스(하경조) 신부가 5칸 규모의 기와집 한 채를 매입하여 본당으로 사용한 것이 시초이다. 그 후 신자의 증가로 본당이 비좁아 1923년 5대 주임으로 부임한 투르뇌(여빅돌) 신부가 미사답 중 약 20두락을 매각한 대금과 신자 헌금, 투르뇌 신부 본가의 원조금 수만원..
경주 양동마을의 가을 - 3 (2024.11.03.) 경주 양동마을은2010년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역사마을로서 600년의 전통과 때묻지 않은 자연환경, 향토성 등 160여 호에 거주하는 400여명 주민들의 생활상에 전통문화가 고스란히 전승되고 있다 월성 손씨와 여강 이씨의 양대문벌로 이어 내려온 동족마을로  경주에서 형산강 줄기를 따라 동북 포항쪽으로 40리 정도 들어간 곳에 자리잡고 있다. 넓은 안강평야에 풍수지리상 재물복이 많은 지형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제법 큰 양반 가옥들이 집단을 이루고 있다. 종가일수록 높고 넓은 산등성이 터에 양반들의 법도에 따라 집을 배열하고 있는데 오랜 역사를 지닌 큰 집들을 잘 보존하고 있다. 집들의 기본구조는 대개 ㅁ자형이거나 튼ㅁ자형을 이루고 있고 간혹 대문 앞에 행랑채를 둔 예도 있다. 혼합배치 양식으로 ㄱ자형이나 ..
경주 용담정 - 천도교의 발상지 (2024.10.05.) [종교건축 이야기](31) 천도교 발상지 경주 ‘용담정’  경주시내에서 북동쪽으로 10㎞쯤 떨어진 구미산 자락에 앉은 용담정(경주시 현곡면 가정리).7평 남짓 크기의 아담한 단층 목조 건물이지만 천도교 1세 교조인 수운 최제우(1824∼1864) 대신사(大神師)가 득도해 동학 천도교를 일으킨 천도교의 발상지이자 최고 성지이다. 지금은 교적 교인 10만명에 불과한 군소 종단으로 쇠락했지만 1919년 3·1만세운동이 있었던 무렵엔 교인이 300만명이나 됐을 만큼 번창했던 민족종교 천도교. 그 대표 성지인 용담정엔 역사의 숨결과 민족혼을 느끼려 찾아드는 교인은 물론 일반인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사람은 물론 이 세상 만물이 모두 한울님을 모시고 있다.’는 시천주(侍天主).‘사람을 한울님같이 섬기자.’는 ..
안동 계상서당 (2024. 04.) 스토리로 만나는 경북의 문화재 안동 계상서당  - 환경을 배려하고 생명을 중시한 퇴계 선생을 그리다 경북 안동시 도산면 온혜리에 위치한 계상서당은 퇴계종택 맞은 편에 위치해있다.  계상서당을 다시 찾아 나섰다. 지난 1998년 계상서당 복원을 위한 기본계획서 초안 작성을 위해 방문한 후 4년 만이다. 계상서당이 복원한 뒤 이곳을 찾지 못한 터라 사뭇 기대에 차 있었다.안동시청에 들러 손상락 학예연구원을 만나 계상서당에 대한 설명을 듣고 안동시 도산면 온혜리로 차를 몰았다. 매미 소리 산천을 울리고 달구어진 아스팔트 아지랑이는 우리의 발목을 잡았지만 퇴계 선생의 정신과 철학이 담겨 있는 공간을 더듬는 일이라 걸음은 가벼웠다.  퇴계 선생은 알려진 대로 학자이면서 훌륭한 건축가였다.당시 고 권오봉 교수의 자..
안동 퇴계종택 - 2 (2024. 04.) 안동 퇴계종택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백운로 268 (토계리) 문화재지정 : 경상북도 기념물 제42호 종택이란 한 가문에서 맏이로 이어 온 가족이 대대로 사용해 온 집을 말한다. 퇴계종택은 조선시대의 학자 퇴계 이황(退溪 李滉) 가문의 종택으로, 이황의 장손인 이안도(李安道, 1541~1584)가 처음 지었다. 그러나 이안도가 지은 원래의 건물은 1907년에 불에 타 소실되었다. 지금의 가옥은 이황의 13대손 이충호(李忠鎬)가 1926년부터 3년에 걸쳐 새로 지은 것이다. 퇴계종택은 정침, 정자, 사당 영역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 영역은 담장으로 구분되어 있다. 정침 영역은 정침과 행랑채로 이루어져 있다. 정침은 'ㅁ'자형으로 사랑채와 안채가 배치되어 있으며, 행랑채로 통하는 솟을 대문에는 ..
안동 도산서원 -2 (2024. 04.)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도산서원 2019년 7월 아제르바이잔의 바쿠에서 열린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한국의 서원’이 드디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됐다. 현재도 영향력이 있는 한국 성리학의 문화적 증거이며, 그 변화의 역사적 과정을 보여 준다는 ‘탁월한 보편적 가치’가 인정을 받았기 때문이다. 대상은 총 9곳으로 대구 도동서원, 함양 남계서원, 경주 옥산서원, 안동 도산서원과 병산서원, 영주 소수서원, 장성 필암서원, 논산 돈암서원, 정읍 무성서원 등이다. 이 가운데 도산서원과 병산서원은 서원건축의 특징을 이해하기에 가장 적합한 사례이다. 여기에 모신 이황과 류성룡은 사제지간으로, 두 서원은 퇴계학파의 사상을 잘 드러내는 정신적인 건축이기도 하다. ●퇴계 이황과 도산서원 퇴계 이황(1501~1570)은..
성주 회연서원 (2024. 03.) 회연서원 한자 檜淵書院 영어공식명칭 Hoiyeonseowon 이칭/별칭 성주 회연서원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동강한강로 9[신정리 258]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소연 [상세정보] [정의]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신정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위치] 회연서원(檜淵書院)은 성주군 수륜면 동강한강로 9[신정리 258번지]에 있다. 대가천 변에 자리하며, 서쪽으로 연감산이 보인다. 대가천을 사이에 두고 성주 오토 캠핑장과 마주하고 있다. 가람 마을에서 대가천을 따라 남쪽으로 약 1.8㎞ 가다가, 신전 교차로에서 굴다리로 좌회전한 후 암전 삼거리에서 직진하면 좌측에 회연서원 주차장이 보인다. 성주군청에서 가야산 방향으로 약 17㎞ 떨어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