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해외건축 갤러리 ■/아시아

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10) - 2025 경남건축사회 중국 건축답사 (상해 폴리그랜드 시어트 - 04.14.)

728x90

 

 



 

 

 

상하이 폴리 그랜드 시어터(Shanghai Poly Grand Theatre)

 

건축과 도시, 그리고 예술의 경계에서

상하이 폴리 그랜드 시어터(上海保利大剧院, Shanghai Poly Grand Theatre)는 중국 상하이시 자딩(Jiading)구에 위치한 대형 공연예술 공간으로, 세계적인 일본 건축가 안도 타다오(Tadao Ando)의 작품입니다. 이 극장은 단순한 공연장이 아니라, 도시와 자연, 예술과 일상의 경계를 허무는 새로운 공공 공간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1. 위치와 도시적 맥락

 

폴리 그랜드 시어터는 상하이 도심에서 북서쪽으로 약 20km 떨어진 자딩 신도시의 중심부, 두 개의 인공 수로 사이에 자리합니다  자딩은 최근 급격한 도시 개발로 인해 상하이의 새로운 교외 중심지로 부상한 지역입니다. 극장은 호수를 끼고 있으며, 주변에는 호텔과 리테일 시설이 함께 조성되어 일종의 복합 문화지구를 형성합니다

 

 

 

 

 

 

 

 

 

2. 설계 개념과 공간 구조

2-1. 평면과 매스

극장은 한 변이 100m인 정사각형 평면 위에, 대각선을 기준으로 십자가 형태의 1,600석 메인홀을 중심에 배치한 대칭적 레이아웃을 갖고 있습니다.  저층부에는 부대시설과 카페, 레스토랑, 다목적 회의실 등 다양한 편의시설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이 평면은 몬드리안의 로젠지 페인팅을 연상시키며, 정사각형을 45도 돌려 배치한 점이 특징적입니다

2-2. 터널과 튜브, 그리고 공간의 흐름

건물 내부에는 여러 개의 터널형 튜브가 관통하며, 이들은 북측과 동측을 연결하는 오픈 로비, 그리고 동쪽에서 남쪽 물가로 내려가는 계단 트러스 튜브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튜브들은 건물의 주요 동선이자, 관람객들이 자연스럽게 움직이며 다양한 시점에서 극장과 주변 풍경을 경험할 수 있게 합니다

2-3. 더블스킨(Double Skin) 시스템

폴리 그랜드 시어터의 외관은 노출 콘크리트 덩어리에 커튼월 유리벽을 입힌 더블스킨 구조로 설계되었습니다. 이 시스템은 안도 타다오가 포트워스 현대미술관, 독일 랑겐재단 미술관 등에서 성공적으로 적용했던 방식으로, 콘크리트의 무거움을 시각적으로 가볍게 만들고, 두 외피 사이 공간을 관람 동선으로 활용합니다 그러나 극장이라는 용도에서는 공간 활용의 비효율성과 공사비 증가 등 지속가능성에 대한 의문도 제기됩니다

 

 

 

 

 

 

 

 

 

 

 

 

 

3. 건축적 특징과 안도 타다오의 미학

3-1. 미니멀리즘과 자연광

폴리 그랜드 시어터는 안도 타다오 특유의 미니멀리즘, 노출 콘크리트, 자연광의 극적인 연출이 돋보입니다. 건물에는 5개의 커다란 구멍이 조각되어 있어, 실내외 경계가 흐려지고, 빛과 그림자가 드라마틱하게 공간을 채웁니다. 이 구멍들은 야외에 노출된 일련의 공공장소를 형성하며, 비가 내려도 사람들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합니다

3-2. 자연과의 조화

극장 옆에는 대형 인공 수로와 다수의 산책로, 다리가 조성되어 있어, 방문객들은 공연 관람뿐 아니라 주변 자연을 즐기며 여유롭게 산책할 수 있습니다 이는 안도 타다오가 추구하는 '자연과의 공존' 철학이 극장 전체에 녹아든 결과입니다.

3-3. 상징성과 도시적 의미

폴리 그랜드 시어터는 단순한 공연장이 아니라, 자딩 신도시의 랜드마크이자, 지역사회와 예술을 연결하는 플랫폼 역할을 합니다. 중국 정부의 지원을 받는 폴리그룹이 전국적으로 건설하는 극장 체인 중 하나로, 각 도시의 문화적 위상을 높이고 글로벌 건축가들과의 협업을 통해 중국 현대 건축의 위상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4. 내부 프로그램과 기능

  • 메인홀: 1,600석 규모의 대공연장으로, 오페라, 뮤지컬, 클래식 콘서트 등 다양한 장르의 공연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부대시설: 카페, 레스토랑, 다목적 회의실 등 방문객의 편의를 위한 공간이 메인홀 주변에 밀집해 있습니다
  • 공공 공간: 대형 아트리움 로비, 그랜드 계단, 오픈 튜브형 로비 등 다양한 공공 공간이 건물 내외부를 관통하며, 공연이 없는 날에도 시민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5. 아트리움 로비의 기능

*상하이 폴리그랜드 시어터의 아트리움 로비*는 단순한 입구 공간을 넘어, 극장 전체의 동선과 경험, 그리고 도시와 자연을 연결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 주출입구 및 동선의 중심
    아트리움 로비는 극장의 주출입구에 위치하며, 전 층 높이의 원통형 실린더 공간으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 공간을 통해 관객들은 파리 오페라 스타일의 그랜드 계단을 따라 2층 메인홀 그랜드 로비로 진입하게 됩니다. 즉, 극장 내 주요 동선의 시작점이자, 관객의 동선을 자연스럽게 유도하는 역할을 합니다
  • 공공성과 문화 교류의 장
    이 로비는 단순한 이동 공간을 넘어, 다양한 연령과 배경의 사람들이 모여 자연과 풍경, 그리고 서로 소통할 수 있는 문화적 교류의 장으로 기능합니다. 극장과 도시, 자연을 연결하는 매개체로서, 빛과 풍경이 유입되는 열린 공간이 되어 시민들의 기대와 설렘을 담아내는 특별한 장소입니다
  • 건축적 상징성과 공간의 다양성
    아트리움 로비는 건물을 관통하는 터널 튜브로, 북측과 동측을 연결하는 오픈 로비 역할도 합니다. 동쪽에서 남쪽 호수로 내려가는 계단 트러스 튜브와 교차하며, 건물 내부에 다양한 시각적·공간적 경험을 제공합니다. 이는 단순한 복도나 홀을 넘어, 건축적 상징성과 공간의 깊이를 부여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 자연 요소의 도입
    로비 공간은 빛, 물, 바람 등 자연 요소가 극장 내부로 자연스럽게 유입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는 안도 타다오의 ‘자연과의 대화’라는 설계 철학을 반영하며, 관객들이 극장에 들어서는 순간부터 자연과 건축, 예술이 어우러진 경험을 할 수 있게 합니다
  • 문화적 만남과 이벤트 공간
    아트리움 로비는 공연 전후에 관객들이 모여 대화하고, 휴식하며, 다양한 이벤트와 전시가 열릴 수 있는 다목적 공간으로도 활용됩니다. 이는 19세기 파리 오페라하우스처럼, 관객 모두가 주인공이 되는 ‘비일상적이고 화려한 무대’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6. 더블스킨 시스템 작동 방식

상하이 폴리그랜드 시어터의 더블스킨 시스템은 노출 콘크리트 박스 구조의 외벽 위에 투명 유리 커튼월을 한 겹 더 두른 이중 외피(façade) 구조입니다. 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작동합니다.

  • 구조적 구성
    건물의 주 구조체는 대형 철근 콘크리트 박스 형태로, 그 외부를 따라 투명한 유리 커튼월이 둘러싸고 있습니다. 이 두 외피 사이에는 일정한 ‘중공층’(cavity, 버퍼 공간)이 형성됩니다
  • 에너지와 환경적 기능
    더블스킨의 유리 외피는 여름철 직사광선을 반사하거나 산란시켜 콘크리트 벽체가 과도하게 가열되는 것을 막아줍니다. 콘크리트는 대용량의 열을 저장하는 특성이 있어, 외부 유리벽이 태양열을 1차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실내 온도 상승을 억제하고, 에너지 효율을 높입니다
    중공층은 자연환기와 열 완충 역할을 하며, 계절에 따라 상하부 개구부를 통해 공기의 흐름을 유도해 내부 열을 빼내거나, 단열층 역할을 하여 냉난방 에너지 절감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시각적·심미적 효과
    더블스킨 시스템은 콘크리트 덩어리의 묵직함을 유리 커튼월이 감싸면서 시각적으로 가볍고 투명한 인상을 줍니다. 낮에는 반투명한 외관, 밤에는 내부 조명이 외부로 비치며 다양한 야간 경관을 연출할 수 있습니다
    또한, 두 외피 사이 공간은 일부 구간에서 관람객 동선이나 휴게 공간으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 한계와 특징
    폴리그랜드 시어터의 더블스킨은 박물관 등에서 성공적으로 적용된 시스템을 공연장에 도입한 사례로, 미적·상징적 효과가 크지만, 공간 활용의 비효율성(중공층의 활용 제한), 높은 공사비 등 현실적 한계도 지적됩니다

 

 

 

 

 

 

 

 

 

7. 폴리 그랜드 시어터의 설계 철학

상하이 폴리 그랜드 시어터의 설계 철학은 안도 타다오의 일관된 건축적 신념과 실험정신이 집약된 결과로, 다음과 같은 핵심 요소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 장소성의 존중과 맥락성

안도 타다오는 "그 장소에만 할 수 있는 건축을 만든다"는 원칙을 강조합니다. 폴리 그랜드 시어터 역시 자딩 신도시의 인공 호수와 도시 맥락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단순한 공연장이 아니라 주변 환경과 어우러지는 공공 공간으로 설계되었습니다. 건축이 자연과 도시, 그리고 인간의 삶을 연결하는 매개체가 되어야 한다는 철학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자연과의 조화, 빛과 물의 활용

이 극장은 자연광, 물, 바람 등 자연 요소가 건축의 일부로 스며들도록 설계되었습니다. 거대한 구멍과 터널형 튜브, 더블스킨 구조 등은 빛과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며, 실내외 경계를 흐리게 하여 자연과 건축, 사람의 경험이 하나로 이어지도록 합니다. 안도는 "건축은 인간이 자연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장치"라고 밝히며, 자연의 생명력을 건축에 담아내는 것을 중요한 가치로 삼습니다

 

  기하학적 순수성과 미니멀리즘

정사각형 평면, 원통형 아트리움, 십자가 형태의 메인홀 등 폴리 그랜드 시어터는 기하학적 질서와 대칭, 그리고 미니멀한 형태미를 추구합니다. 이는 몬드리안의 회화, 이탈리아 합리주의, 루이스 칸 등 근대 건축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안도만의 해석으로 재탄생한 결과입니다. 외형의 단순함 속에서 내부 공간의 깊이와 체험을 중시하는 태도가 드러납니다

 

  노출 콘크리트와 더블스킨

안도 타다오의 트레이드마크인 노출 콘크리트와 유리 커튼월의 더블스킨 구조는, 무거운 콘크리트 덩어리를 시각적으로 가볍게 만들고, 두 외피 사이 공간을 관람 동선으로 활용하는 실험적 시도입니다. 이로써 건물은 견고함과 투명함, 폐쇄와 개방이라는 상반된 개념을 동시에 구현합니다

 

  인간의 감정과 체험을 중시하는 공간

안도는 "건축이 인간의 감정을 흔드는 공간이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형태나 장식보다 빛, 소리, 공기, 물 등 보이지 않는 요소들이 사람의 마음에 남는다고 믿으며, 폴리 그랜드 시어터 역시 내부에서의 체험, 공간의 흐름, 자연과의 만남이 관객에게 잊지 못할 감동을 주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도전

폴리 그랜드 시어터는 미술관에서 성공적으로 적용한 더블스킨 시스템을 공연장에 도입하는 등, 안도 타다오의 실험정신이 반영된 작품입니다. 공간 효율성, 지속가능성 등 현실적 한계에 대한 비판도 있지만, 그는 건축이 도시와 예술,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해야 한다는 신념을 실천하고자 했습니다

 

 

 

 

 

 

 

8. 비평과 의의

폴리 그랜드 시어터는 안도 타다오의 건축적 실험정신이 집약된 작품으로, 콘크리트와 유리, 자연광, 물과의 조화 등 다양한 건축적 요소가 어우러진 공간입니다. 그러나 더블스킨 구조의 비효율성, 공간 활용의 한계, 높은 건설비 등 실용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극장은 자딩 신도시의 문화적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하며, 건축과 도시, 예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안도 타다오(安藤忠雄, Tadao Ando)

 

 

안도 타다오(安藤忠雄, Tadao Ando, 1941년 9월 13일~)는 일본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건축가로, 독학으로 건축을 배워 세계 건축계에 큰 족적을 남긴 인물입니다. 그의 삶과 건축은 도전, 열정, 자연과의 조화, 그리고 인간에 대한 깊은 성찰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어린 시절과 성장 과정

안도 타다오는 1941년 일본 오사카에서 태어났습니다. 어린 시절부터 집안 형편이 넉넉하지 않아, 스스로 생계를 책임지며 성장했습니다. 고등학교는 오사카 부립 조토 공업고등학교를 졸업했으며, 이 시기에는 프로 권투선수로 활동하기도 했습니다. 실제로 2년간 권투선수로 활약했으나, 자신보다 뛰어난 동료를 보고 권투를 그만두고 새로운 길을 모색하게 됩니다

건축과의 만남, 독학의 길

권투를 그만둔 후, 안도 타다오는 트럭 운전사, 목수, 건설 현장 인부 등 다양한 일을 하며 생계를 이어갔습니다. 그러던 중 우연히 중고서점에서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의 건축 작품집을 접하게 되었고, 이때부터 건축에 강한 흥미를 느끼게 됩니다. 그는 정규 건축 교육을 받은 적이 없으며, 오로지 독학과 세계 각지의 답사를 통해 건축을 배웠습니다

1962년부터 1969년까지 일본, 유럽, 아프리카, 미국 등 세계 여러 나라를 여행하며 고전 건축과 현대 건축을 직접 보고, 오감으로 공간을 체험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그는 "책으로 배우는 것보다 직접 공간을 체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믿었고, 이 경험들이 그의 건축 철학의 밑거름이 되었습니다

건축가로서의 출발과 성장

1969년, 안도 타다오는 '안도 타다오 건축연구소(Tadao Ando Architects & Associates)'를 설립하며 본격적인 건축가의 길에 들어섰습니다. 그의 첫 대표작은 오사카의 '스미요시의 연립주택'(1976)으로, 이 작품으로 일본건축학회상을 수상하며 건축계에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습니다

이후 그는 일본은 물론 세계 각지에서 미술관, 교회, 주택, 공공건물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명성을 쌓았습니다. 1980년대 이후에는 '빛의 교회', '물의 교회', '물의 절' 등 자연과의 조화, 빛과 물의 활용이 두드러지는 작품들을 선보였고, 그의 건축은 점차 세계적 주목을 받게 됩니다

건축 철학과 미학

안도 타다오의 건축은 단순함, 정확성, 그리고 공간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합니다. 그는 "형태는 기능을 따라야 한다"는 원칙을 강조하며, 기하학적 형태와 깔끔한 선, 실용적 목적을 중시합니다. 특히, 노출 콘크리트의 미학을 극한까지 끌어올려, 차가운 재료에 따뜻한 생명력을 불어넣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자연과의 조화 역시 그의 건축에서 중요한 요소입니다. 물, 빛, 바람, 나무, 하늘 등 자연 요소를 적극적으로 공간에 끌어들여, 건축과 자연이 하나가 되는 경험을 추구합니다. '물의 교회', '물의 절', '빛의 교회' 등은 이러한 철학이 집약된 대표작입니다

또한, 르 코르뷔지에의 영향을 받아 투명한 소재와 노출 콘크리트를 결합한 미니멀리즘을 구현하면서도, 일본 전통의 정서와 현대성을 동시에 담아냅니다. 그의 건축은 단순하지만 차갑지 않고, 오히려 경건함과 평온함, 그리고 깊은 사색을 불러일으키는 공간을 만듭니다

세계적 명성과 사회적 기여

안도 타다오는 1995년 건축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프리츠커 건축상을 수상하며 세계적 거장 반열에 올랐습니다. 그는 이 상금 전액을 1995년 고베 대지진으로 부모를 잃은 고아들에게 기부해 사회적 책임감도 보여주었습니다

이 외에도 일본 내외에서 수많은 상을 수상했으며, 도쿄대학 등에서 교수로도 활동했습니다. 그의 건축은 일본을 넘어 전 세계 건축계에 큰 영향을 미쳤고, 수많은 후배 건축가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습니다

대표작과 최근 활동

안도 타다오는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일본 현대 건축가로, 다음과 같은 대표작들이 있습니다.

  • 빛의 교회(Church of the Light, 1989, 일본 오사카)
    안도 타다오의 대표적 초기 작품으로, 십자가 모양의 창을 통해 들어오는 자연광이 공간을 상징적으로 완성합니다. 벽체가 교차하는 평면 구조와 빛의 연출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그의 건축 철학이 집약된 작품으로 평가받습니다
  • 물의 교회(Church on the Water, 1988, 일본 홋카이도)
    자연과 건축, 종교적 의미를 결합한 작품으로, 대형 반사 수영장과 지하로 내려가는 계단 등 독창적인 공간 구성이 특징입니다. 물을 매개로 한 명상적 분위기가 인상적입니다
  • 혼푸쿠지 물의 절(Honpukuji, Water Temple, 1991, 일본 효고)
    경사진 오르막길과 물웅덩이, 계단을 통한 공간 체험 등 자연과의 조화, 명상적 분위기를 강조한 사찰 건축입니다
  • 베네통 커뮤니케이션 연구센터 파브리카(Fabrica, 2000, 이탈리아)
    이탈리아 트레비소에 위치한 미디어 연구센터로, 기존 빌라를 리노베이션하고 현대적 요소를 결합한 작품입니다
  • 퓰리처 아트 재단(Pulitzer Arts Foundation, 2001, 미국 세인트루이스)
    콘크리트와 자연광, 반사 수영장 등 안도 타다오 특유의 미니멀리즘과 공간미를 보여주는 미술관입니다
  • HE 아트 뮤지엄(He Art Museum, 2020, 중국 포산)
    나선형 계단과 노출 콘크리트, 중국 전통 건축의 요소를 결합한 현대 미술관으로, 최근작 중 하나입니다

한국에서는 '뮤지엄 산', '본태박물관', '유민미술관', '지니어스 로사이' 등도 그의 작품입니다

최근까지도 활발히 작품 활동을 이어가며, 자연과 인간, 도시와 예술의 경계를 넘나드는 실험적이고 깊이 있는 건축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