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해외건축 갤러리 ■/아시아

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4) - 2025 경남건축사회 중국 건축답사(닝보 한링 아트뮤지엄 - 04.13.)

728x90

 

 

 

 

 

 

 

닝보 한링 아트뮤지엄(宁波韩岭美术馆)

 

닝보 한링 아트뮤지엄(Hanling Museum of Art)은 중국 저장성 닝보시 동첸호(Dongqian Lake) 반도에 위치한 현대 미술관으로, 세계적 건축가 쿠마 켄고(Kengo Kuma)가 설계한 대표적인 문화예술 공간이다. 이 미술관은 한링(韩岭) 마을의 풍부한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고,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건축적 접근을 통해 지역의 정체성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1. 건축적 특징과 설계 철학

 

● 자연과의 조화

미술관은 동첸호의 수려한 자연경관 속에 처럼 자리잡고 있다. 건축가는 건물이 주변 지형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도록 설계했으며, 인공적인 구조물이 아닌 자연의 일부처럼 보이도록 했다.

 

여러 개의 작은 지붕이 모여 하나의 큰 산을 형성하는 듯한 외관은, 한링 마을의 전통 가옥을 연상시키며 지역의 건축적 맥락을 현대적으로 해석했다.

 

● 재료와 질감

외부 마감은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전통 기와와 따뜻한 색감의 타일을 사용해, 자연의 색채와 질감을 건물에 담았다. 이는 한링 마을의 오랜 역사와 건축적 유산을 현대에 계승하는 의미를 지닌다.

 

내부는 동굴같은 공간으로, 유기적 곡선과 흐르는 듯한 동선이 특징이다. 이는 전통적인 박스형 미술관과 달리, 관람객이 마치 자연을 탐험하듯 전시를 경험하도록 유도한다.

 

● 빛과 공간

내부 공간은 빛과 그림자의 변화에 따라 분위기가 달라진다. 자연광이 다양한 각도로 스며들며, 시간의 흐름과 역사적 깊이를 암시한다.

전시실과 중정(中庭) 공간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관람객은 실내외를 자유롭게 넘나들며 예술과 자연, 건축을 동시에 체험할 수 있다.

 

 

 

 

 

 

 

 

 

 

 

 

2. 미술관의 문화적·역사적 맥락

 

● 한링 마을과의 연결

한링 마을은 닝보 동쪽 약 20km 지점에 위치한 고대 수향(水乡) 마을로, 당나라 시기(서기 744)부터 사람이 거주해온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이 마을은 과거 닝보와 샹산항을 잇는 교통·상업의 요충지였으며, 전통 시장과 고가옥, 고대 다리, 우물 등 역사적 유산이 잘 보존되어 있다.

미술관은 이러한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지역민과 방문객 모두에게 열린 문화 플랫폼 역할을 한다.

 

● 지역사회와의 협업

미술관 건설 과정에서 지역 건설사와 디자인 연구소 등 다양한 주체가 협업하여, 지역적 맥락과 전통을 깊이 이해한 건축이 완성되었다.

이는 단순히 외래 건축가의 작품이 아닌, 지역사회와 함께 만들어낸 문화적 자산임을 의미한다.

 

 

 

 

 

 

 

 

 

3. 주요 공간 및 전시 구성

 

● 전시 공간

내부는 유기적으로 연결된 여러 전시실과 중정, 메자닌(2) 구조 등 다양한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전시실은 미술관의 주요 테마인 자연’, ‘역사’, ‘현대성을 반영한 작품들로 채워진다.

임시 전시와 상설 전시가 병행되어, 지역 예술가와 국제적 작가의 작품을 폭넓게 소개한다.

 

● 체험 및 교육 프로그램

미술관은 전시 외에도 워크숍, 강연, 지역 아티스트와의 협업 프로젝트 등 다양한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지역 주민과 방문객이 예술을 직접 체험하고, 창의적 영감을 얻을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 기능한다.

 

 

 

 

 

 

 

 

 

4. 건축적·문화적 의의

 

● 현대성과 전통의 융합

한링 아트뮤지엄은 전통 마을의 건축적 언어와 현대적 디자인을 조화롭게 결합했다. 이는 쿠마 켄고의 설계 철학인 자연과의 공존’, ‘맥락적 건축을 잘 보여준다.

건물 자체가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담는 그릇이자, 새로운 문화적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했다.

 

● 지역 활성화와 문화관광

미술관 개관 이후 한링 마을과 동첸호 일대는 문화관광지로 각광받으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미술관 주변에는 고가옥, 전통 골목, 상업지구 등이 조성되어, 방문객들에게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독특한 경험을 제공한다.

 

 

 

 

 

 

 

 

 

5. 쿠마 켄고(Kengo Kuma)의 건축 스타일 및 특징

 

1) 자연과의 조화, ‘네거티브 건축

닝보 한링 아트뮤지엄은 세계적인 일본 건축가 쿠마 켄고(Kengo Kuma)의 설계로, 그의 대표적 건축 철학인 '네거티브 건축'이 구현된 작품이다. 쿠마 켄고는 건축은 사실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없어졌으면 좋겠다고 말할 만큼, 건축이 자연과 주변 환경에 스며들어 존재감을 드러내지 않는 미학을 추구한다. 한링 미술관 역시 주변의 호수, , 마을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며, 방문객이 건물의 인공성을 느끼기보다는 자연의 일부처럼 경험하도록 설계됐다.

 

2) 지역성과 전통의 현대적 해석

외관은 한링 옛거리의 전통 건축에서 영감을 받은 타일로 마감되어 있다. 이 타일은 동양적 미와 함께, 연약하면서도 강인한 아름다움을 상징한다. 미술관의 건축은 한링 마을의 건축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지역성과 현대성이 공존하는 공간을 만든다.

 

3) 풍경과의 일체감

미술관은 동첸호와 한링촌 사이, 시골과 산에 둘러싸인 해안가에 위치해 있다. 건물의 형태와 배치는 주변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설계되어, 멀리서 보면 마치 풍경의 일부처럼 보인다. 이로써 건축 자체가 자연의 일부가 되며, 방문객은 자연과 건축의 경계를 넘나드는 경험을 하게 된다.

 

4) 동양적 미학과 아시아적 인식

쿠마 켄고는 아시아 미학의 근간을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의 한계와 인간의 취약함에 대한 인식에서 찾는다. 한링 아트뮤지엄은 이러한 아시아적 미학을 바탕으로, 건축이 자연에 순응하고, 자연의 힘이 건축을 압도하는 듯한 겸손한 태도를 보여준다.

 

5) 간결하고 절제된 형태

한링 아트뮤지엄은 화려한 장식이나 과시적 구조 대신, 단순하고 절제된 형태로 자연스럽게 주변에 녹아든다. 이는 쿠마 켄고의 건축이 지향하는 겸손한 건축’, ‘비움의 미학을 잘 보여준다.

 

6) 요약

닝보 한링 아트뮤지엄의 건축 스타일은 자연과의 조화, 지역 전통의 현대적 해석, 동양적 미학, 절제된 형태, 그리고 쿠마 켄고 특유의 네거티브 건축 철학이 어우러진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이 미술관은 건축이 자연과 경쟁하지 않고, 오히려 자연에 스며들어 그 일부가 되도록 설계되어, 방문객에게 특별한 공간적 경험을 제공한다.

 

 

 

 

 

 

 

 

 

 

 

 

'보이지 않는 건축' 쿠마 켄고

 

 

쿠마 켄고(隈研吾, Kengo Kuma, 1954~)는 일본을 대표하는 현대 건축가이자, 도쿄대학교 명예교수로 세계 건축계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인물입니다. 그는 자연과의 조화, 전통적 재료의 현대적 해석, 그리고 ()객체(anti-object)’라는 독특한 건축 철학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일본 내외에서 수백여 건의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수해왔습니다.

 

1. 성장 배경과 교육

 

쿠마 켄고는 1954년 요코하마에서 태어났으며, 도쿄대학교에서 건축을 전공하고 1979년 졸업했습니다. 졸업 후 일본의 건축설계사무소에서 실무 경험을 쌓았고, 1985~86년에는 뉴욕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방문 연구원으로 활동하며 국제적 시각을 넓혔습니다.

1987년에는 스페이셜 디자인 스튜디오(Spatial Design Studio), 1990년에는 자신의 이름을 딴 ‘Kengo Kuma & Associates’를 설립하며 본격적으로 독립 건축가의 길을 걷기 시작했습니다.

 

2. 건축 철학과 스타일

 

자연과의 조화, 장소성의 존중

쿠마 켄고의 건축은 자연과의 공존을 핵심 가치로 삼습니다. 그는 건축물이 주변 환경을 지배하거나 과시하기보다는, 자연스럽게 녹아들고, 장소의 맥락과 조화를 이루는 것을 추구합니다.

이러한 철학은 건축물의 형태, 배치, 재료 선정 등 전반에 걸쳐 드러나며, 건물과 자연, 인간이 서로 교감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데 집중합니다.

 

전통 재료의 현대적 해석

쿠마는 목재, 대나무, , 종이 등 자연에서 얻은 재료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사용합니다. 특히 목재는 그의 시그니처 소재로, 따뜻함과 인간적인 감성을 공간에 불어넣는 데 주력합니다.

그는 콘크리트와 강철로 만든 건축이 싫다고 밝히며, 손으로 다룰 수 있는 부드럽고 유기적인 재료를 선호합니다. 이는 일본 전통 건축의 정신과도 맞닿아 있습니다.

 

빛과 투명성, 다공성

쿠마 켄고는 빛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공간에 리듬과 깊이를 부여합니다. 그의 건축은 전통 일본 건축의 쇼지’(종이문)에서 영감을 받은 투명성과, 내부와 외부의 경계를 흐릿하게 만드는 다공성(permeability)이 특징입니다.

이로 인해 그의 건축물은 시간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표정과 분위기를 연출합니다.

 

반객체(anti-object)’와 인간 중심성

쿠마는 반객체(anti-object)”라는 개념을 주창합니다. 이는 거대하고 과시적인 건축 대신, 주변 환경과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겸손한 건축을 지향한다는 뜻입니다.

그의 건축은 인간의 몸과 감각에 친화적이며, 방문자가 공간을 경험할 수 있도록 설계됩니다. 거대한 조형적 상징물보다, 사람과 자연, 장소가 어우러지는 작은 건축에 더 큰 가치를 둡니다.

 

3. 주요 작품과 국제적 영향력

 

쿠마 켄고는 일본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해왔으며, 그의 건축은 지역성과 국제성을 동시에 갖추고 있습니다.

 

도쿄 올림픽 국립경기장(2020)

2020 도쿄 올림픽의 주경기장으로, 목재와 철골을 결합한 목강 하이브리드 구조를 사용해 자연과 어우러지는 디자인을 선보였습니다. 경기장 외관에는 일본 각지의 목재를 활용했으며, 지역성과 지속가능성을 강조했습니다.

 

도쿄 산토리 미술관 & 네즈 미술관

두 미술관 모두 자연광과 목재, 유리 등 자연 친화적 재료를 적극적으로 사용해 쾌적하고 조용한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주변 정원과의 연결성, 빛과 그림자의 활용이 돋보입니다.

 

타카나와 게이트웨이 역(2020)

JR 야마노테선의 새로운 역으로, 곡선형 지붕과 넓은 유리창, 목재 구조가 어우러져 밝고 개방적인 공간을 연출합니다. 철강과 목재를 결합한 구조로 기술적 실험도 이루어졌습니다.

 

아사쿠사 문화관광센터

도쿄 아사쿠사 지역에 위치한 이 건물은, 에도시대 목조 단층 건물을 수직으로 쌓은 듯한 형태로 디자인되어, 전통과 현대가 조화된 독특한 외관을 자랑합니다.

 

유스하라 프로젝트(마키노에키 유스하라, 쿠모노 우에노 호텔, 도서관 등)

일본 고치현 유스하라 산간마을에만 6채의 건축물을 설계했습니다. 전통 초가지붕, 일본 삼나무, 지역 목공 기술 등 지역의 역사와 자연환경을 반영한 디자인이 특징입니다. 예를 들어, 마키노에키 유스하라는 볏짚을 외벽에 사용해 전통적 상식을 비틀었고, 쿠모노 우에노 호텔은 구름 위의 마을이라는 별명에 걸맞게 자연과 어우러진 형태를 띱니다.

 

안데르센 박물관(덴마크 오덴세)

114년 된 기존 박물관을 새롭게 디자인하며, 목재와 자연광, 야외 정원 등 동화적 세계관과 자연의 조화를 강조했습니다.

 

밴쿠버 알베르니(Alberni)

캐나다 밴쿠버에 위치한 고층 주거 빌딩으로, 곡선형 외관과 자연 친화적 재료,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중시한 북미 첫 프로젝트입니다.

 

이외에도 쿠마 겐고는 일본과 세계 각지에 400여 개가 넘는 건축물을 설계했으며, 대형 공공건축뿐 아니라 작은 호텔, 도서관, 시장, 복지시설, 심지어 스타벅스 리저브 로스터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그의 건축은 장소와의 조화”, “자연에 대한 존중”, “전통의 현대적 재해석이라는 공통된 철학을 바탕으로,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현대적으로 풀어내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4.  교육자, 저술가로서의 활동

 

쿠마 켄고는 도쿄대학교, 게이오대학교, 일리노이 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 양성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또한, 그는 건축 이론과 자신의 작업을 다룬 다수의 저서를 펴냈으며, 대표적으로 자연스러운 건축, 작은 건축, 패배의 건축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저술 활동을 통해 건축의 사회적, 철학적 의미를 넓게 조명하고 있습니다.

 

5. 평가와 수상

 

쿠마 켄고는 2016년 글로벌 지속가능 건축상(Global Award for Sustainable Architecture) 등 다수의 국제적 상을 수상했으며, 2021년에는 미국 타임지 선정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100에 유일한 건축가로 이름을 올렸습니다.

그의 건축은 보이지 않는 건축”, “지우는 건축등으로 불리며, 건축이 자연과 인간, 사회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6. 결론

 

쿠마 켄고는 자연과 인간, 전통과 현대, 지역성과 세계성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건축가입니다. 그의 작품은 단순한 구조물이 아니라, 장소의 기억과 자연의 흐름, 인간의 감각이 어우러진 ‘경험의 공간’으로서, 현대 건축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합니다.

쿠마 켄고의 건축은 앞으로도 전 세계적으로 지속가능하고 인간적인 공간을 창조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