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5. 순천 선암사 매화 - 무우전 매화 (2025.03.29.)
일 년 내내 꽃이 지지 않는다는 선암사는
예로부터 100종이 넘는 꽃나무들이 자생하고 있어서
한국의 정원수들을 총 망라했다는 찬사를 듣는
‘꽃절’로도 유명하다
무량수각 앞의 600살 된 누운 소나무,
지장전 위의 영산홍과 자산홍,
칠전차밭의 700살 넘은 차나무 등이 유명하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단연 백미는 매화나무라고 할 수 있다
천년고찰 선암사에는 그 오랜 시간을 전설처럼 함께 살아 온
매화나무들이 있다
칠전선원과 원통전 사이
그 통로 한가운데 자리 잡은 ‘선암백매仙庵白昧’와
무우전 돌담길 중간쯤의
‘선암홍매仙庵紅昧’는 600살이 넘은 천연기념물로서
선암사의 역사와 그 향기를 우리에게 전해준다
1,500년이 넘은 완숙한 절집에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두 그루 말고도 많은 고매화들이 살고 있다.
대웅전 뒷 계단에 자리한 수령 450년의 매화와
첨성각 앞의 홍매화는 수령 400년이 넘었지만
아직도 건강한 매실을 생산해 내고 있고,
그 외에도 수령 300년 내외의 매화들이 곳곳에 포진해있다
그 중에서도 무우전 돌담길의 20여 그루의 고매 군락은
선암사 매화의 진수이자
나라의 보물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매화의 보물창고'인 선암사 경내에는
최소 수령 350년이 넘는 약 50여 그루의 고매들이
전각 곳곳에 자리를 잡고 있다
그 중에서 원통전 담장 뒤편의 백매화와
무우전 돌담길의 홍매화가
천연기념물 제488호로 2007년에 지정되었다
특히 무우전 돌담길의 20여 그루의 고매 군락은
우리나라 토종 매화의 정수精髓를 보여준다
어느 이른 봄날 그 매화터널에 들어서면
시린 겨울과 속세에서 벗어나 환상적이고 달콤한 봄을 체험할 수 있는
환상적인 공간이 '무우전 매화길'이다
2029년 3월 29일 현재,
선암사 경내 매화의 개화상황은
무우전 돌담길의 홍매화와 원통전 담장 옆의 백매는
만개 후에 벌써 지기 시작하였고
그리고 대웅전 뒷 편의 홍매, 그리고 요사채인 무량수전 홍매도
지기 시작하였다
반면, 첨성각 연못 옆의 백매와
공양간인 적묵당 담장의 홍매와 백매,
해천당 담장과 마당의 고매, 그리고 뒤깐 옆과 뒷 편의 매화는
지금이 절정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 사는 이야기 ■ > 매화 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화-2025-027. 선암사 <대웅전 매화> (2025.03.29.) (0) | 2025.04.03 |
---|---|
매화-2025-026. 순천 선암사 매화 - 원통전 <선암백매> (2025.03.29.) (0) | 2025.04.02 |
매화-2025-024. 백양사 <고불매> - 선·매.향·(禪·梅·香) 축제 개최(2025.03.29.) (3) | 2025.04.01 |
매화-2025-023. 구례 화엄사 홍매화 <흑매(화엄매)> - 지리산 골짜기에 화엄의 빛으로 만개하다 (2025.03.22.) (1) | 2025.03.31 |
매화-2025-022. 전남대 민주마루 백매화 -1,2,3 (2025.03.22.) (4) | 202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