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1. <전남대 홍매> - (2025.03.22.)
전남대학교 홍매는
광주 전남대학교 민주마루(옛 대강당) 앞에 위치한 매화나무로,
호남 지역의 대표적인 매화 중 하나로 꼽히며 역사적, 문화적 으로
가치가 높은 매화이다
이 나무는 조선시대 의병장 고경명 장군의 손자인 월봉 고부천이
1621년(조선 광해군 13년) 명나라 특사로 갔을 때 희종 황제로부터 받은
매화나무에서 유래한다
그는 이 나무를 전남 담양 창평면 유천리에 심고
'대명매(大明梅)'라 불렀다
이후 월봉의 11대손인 고재천 전남대 농과대학 교수가
이 나무의 후계목을 키워 1952년 전남대학교에 기증하여 농대 앞에 심었고
1972년에는 현재의 위치로 옮겨졌습니다.
원래 <대명매>로 불렸으나,
명나라 황제를 높이는 사대주의적 의미가 담겨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면서
2022년 전남대학교는 이 나무를 <전남대 홍매 (紅梅)>로 바꾸어
공식 명명했다
<전남대 홍매>는
장성 백양사 고불매, 담양 지실 계당매,
순천 선암사 선암매, 고흥 소록도 수양매와 함께
‘호남 5매’ 중 하나로 꼽힌다
전남대학교는 홍매의 체계적 보존을 위해
후계목을 번식시키고 지역민에게 분양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진행해왔다
최근에는 후계목을 담양 창평면 유천리에 다시 심어
고향으로 돌려보내는 뜻 깊은 행사도 이루어졌다
3월 22일 현재, <전남대 홍매> 개화상태는
꽃잎이 딱 1장 피었다
<전남대 홍매> 옆의 백매화
항상 <전남대 홍매> 보다 일찍 꽃을 피우고
막상 <전남대 홍매>가 한창일 때는
흔적 없이 지고 만다
'■ 사는 이야기 ■ > 매화 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화-2025-023. 구례 화엄사 홍매화 <흑매(화엄매)> - 지리산 골짜기에 화엄의 빛으로 만개하다 (2025.03.22.) (1) | 2025.03.31 |
---|---|
매화-2025-022. 전남대 민주마루 백매화 -1,2,3 (2025.03.22.) (4) | 2025.03.27 |
매화-2025-020. 김해 봉하마을 <민주매 民主梅> (2025.03.23.) (1) | 2025.03.25 |
매화-2025-019. 창원시 북면 달천구천 매화 (2025.03.23.) (1) | 2025.03.24 |
매화-2025-018. 마산 청연암 <무학매> (2025.03.21.) (2)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