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 전통건축 갤러리 ■

(1026)
달성 낙빈서원 (2012. 05.) ❏소 재 지: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묘리 795 ❏배향인물: 하위지(河緯地) 박팽년(朴彭年) 이 개(李 塏) 성삼문(成三問) 유성원(柳誠源) 유응부(兪應孚) ❏창건연도: 1679년(숙종 5) ❏사액연도: 1694년(숙종 20) ❏향 사 일: 불향(육신사에서 제향) 연 혁 하빈면 묘리 소재의..
달성 태고정 - 2 (2012. 05.) 이 건물은 조선 성종 10년(1479) 사육신의 한사람인 박팽년의 유복손 박일산이 건립한 정자인데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일부만 남아있던 것을 광해군 6년(1614)에 중건하였다. 일명 일시루(一是樓)라고도 하며 장방형의 축단위에 세워진 건물은 원래는 정면 3칸 규모였으나 좌측..
달성 도곡재 - 2 (2012. 05.) 조선정조(朝鮮正祖) 2年(1778) 대사성(大司成)인 서정공 박문현(西亭公 朴文鉉)이 제택(第宅)으로 건립한 건물이나 1800년대에 와서는 도곡 박종우(陶谷 朴宗佑)의 재실(齋室)로 사용 되면서 그의 호(號)를 따서 도곡재(陶谷齋)라 하였다. 박종우는 인조(仁祖)때의 사람으로 문장(文章), 절의(..
달성 육신사 - 1 (2012. 05.) 육신사는 조선 세조 때 사육신으로 일컫는 박팽년,성삼문,이개,유성원,하위지,유응부 등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처음 에는 충정공 박팽년 선생만을 그 후손들이 모셔 제사지냈으나, 선생의 현손인 박계창이 선생의 제삿날 사육신이 함께 사당문 밖에서 서성거리는 꿈을 꾼 뒤부터 나머..
예산 추사고택 - 2 (2012.05.) 집의 전체 구성은 안채, 사랑채, 문간채와 사당채로 이루어져 있다. 솟을대문을 들어서면 'ㄱ'자 평면의 사랑채가 남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그 후면에 '口'자 모양의 안채가 동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사당은 안채 후면에 축대를 높이 쌓아 앉혔는데 사랑채와 안채의 축선을 벗어나 북편으..
홍성 조응식 가옥 - 2 (2012. 05.) 전체 구성은 문간채·사랑채·안채를 일직선으로 중심축선 상에 배치하고 동측에 안사랑채, 창고가 있고, 서측에 외양간과 헛간이 배치되어 있었다. 우화정 정면의 문간채를 들어서면 횡으로 긴 사랑마당이 있고, 사랑마당 동측 토지광 앞에 안채로 통하는 중문이 있고, 서측에도 안채 ..
보성 이금재가옥 -2 (2012.05.) 바다에 면한 조그만 골짜기에 오봉산을 바라보면서 여러채의 집들이 자리하고 있고, 마을 한가운데에는 연못이 있다. 연못의 동쪽 탱자나무 울타리 골목을 들어서면 동향한 문간채와 남쪽으로 향한 헛간채가 있다. 대문간을 들어서면 안마당이 있고 마당 북쪽으로 남향한 안채가 있으며..
보성 강골마을 열화정 (2012.05.) 아름다운 분위기를 간직한 마을 뒤 깊숙한 숲 가운데 자리하는 정자로 강골마을의 공동소유이다. 작은 개울을 따라 올라가다 보면 2개의 기둥을 세워서 만든 작은 문이 있고, 그 뒷쪽 마당을 지나면 높은 곳에 정자가 있다. 정자는 앞면 4칸·옆면 2칸으로 'ㄱ'자형의 누마루집이다. 집의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