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 전통건축 갤러리 ■

(1026)
청도 만화정 ( 2006. 06.) 청도 운강고택의 부속 건물로 박시문(1814∼1875) 선생이 조선 철종 7년(1856)에 지은 후 공부하며 강론하던 곳이다. 정자인 만화정과 행랑채·하당·곳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만화란 뜻의 요지는 본래 운문들판 이름이 만화평(萬花坪)인 것과 관련이 있다. 이 집은 만화평을 굽어보는 자리에..
삼척 죽서루 (2012.08.) 이 건물은 창건자와 연대는 미상이나 <동안거사집>에 의하면, 1266년(고려 원종 7년)에 이승휴가 안집사 진자후와 같이 서루에 올라 시를 지었다는 것을 근거로 1266년 이전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 뒤 조선 태종 3년(1403)에 삼척부의 수령인 김효손이 고쳐 세워 오늘에 이르고 있..
영양 서석지 - 4 ( 2012.05.) ......서석지의 전체적인 공간구성은 공경하는 마음을 나타내는 강학처인 정자, 경정敬亭과 소나무松, 대나무竹, 매화梅, 국화菊 등 선비의 네 가지 벗을 심어놓은 사우단四友壇, 한가지 뜻을 받드는 서재라는 뜻의 주일재主一齋, 경정 뒷담 너머에 있는 자양재(紫陽齋)와 아래채, 서고인 ..
괴산 김기응가옥 - 3 ( 2012.05.) ...... 김기응 가옥의 전체적인 구성은, 경사가 완만한 뒷동산을 배경으로 대문채, 중문간채, 사랑채, 행랑채, 안채, 광채, 헛간채로 이루어지는 규모가 상당히 큰 부농의 집이다. 긴 바깥행랑채의 대문을 밀고 들어서면 서쪽에는 또 하나의 광채가 길게 배치되었고, 광채 위쪽으로 중문간..
봉화 계서당 - 2 (2012. 05.) ...... 춘향전의 로맨스와 청백리의 정신이 살아 숨 쉬는 유서 깊은 가평리 계서당은, 안채와 사랑채, 사당채 그리고 대문간채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영남지역 양반가의 구조를 갖추고 있다. 종가집치고는 규모가 그리 큰 편은 아니지만, 대문간채가 딸린 ㅁ자 집으로, 매우 아담하고 짜임..
함양 일두(정여창)선생 고택 - 4 ( 2012.07.) 앞으로 남계천이 흐르는 도숭산 자락의 지곡면 개평마을은, 하동 정씨와 풍천 노씨의 집성촌이다. 마을 주민의 대부분이 이 두 성씨의 후손들이고, 개평마을의 중심 위치에 정여창 선생의 고택이 자리를 잡고 있다. 정여창 고택은, 문간채, 사랑채, 행랑채, 아래채, 안채, 사당, 고방채, 별..
함양 거연정 ( 2012.07.) 거연정(居然亭, 경남 유형문화재 제433호)은 조선중기 화림재 전시서(全時敍)가 이 곳에 은거하여 지내면서 억새로 만든 정자를 그의 7대손인 전재학 등이 1872년 재건한 것으로, 거연(居然)은 주자의 시 정사잡영(精舍雜詠)12수 중에 ‘거연아천석(居然我泉石)’에서 딴 것으로 물 과 돌이 ..
함양 동호정 ( 2012.07.) 임진왜란 때 선조의 의주몽진을 도와 공을 세운 동호 장만리를 기리기 위하여 그의 9대손으로 가선대부오위장을 지낸 장재헌 등이 중심이 되어 1895년 건립한 정자이며 1936년에 중수가 있었다. 동호정은 함양군 안의면에서 26번 국도를 따라 전주방향으로 7km 정도의 거리에 국도와 연접하..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