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통건축 갤러리 ■ (1026) 썸네일형 리스트형 여주 김영구 가옥 - 2 (2006.05.) 한강이 멀리 내다보이는 터전에 자리하고 있는 주택이다. 뒷산을 배경으로 정남향을 하고 있는 이 집은 1753년(영조 29년)에 지은 것을 상량문을 통해 알 수 있다. 안채·사랑채·작은사랑채·곳간채가 모여 'ㅁ'자를 이루고 있으며, 원래 대문은 바깥행랑채에 있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바.. 밀양 영남루. 천진궁. 아랑각 (2012.10.) 밀양 영남루 이 건물은 조선시대 밀양도호부 객사에 속했던 곳으로 손님을 맞거나 휴식을 취하던 곳이다. 고려 공민왕 14년(1365)에 밀양군수 김주(金湊)가 통일신라 때 있었던 영남사라는 절터에 지은 누로, 절 이름을 빌어 영남루라 불렀다. 그 뒤 여러 차례 고치고 전쟁으로 불탄 것을 다.. 밀양 무봉사 (2012.10.) 무봉사는 신라 혜공왕 9년(733)에 법조가 영남사의 부속암자로 창건하였다고 전해진다. 대웅전에 모셔진 높이 0.97m의 불상은 네모진 얼굴에 가는 눈과 입, 넓적한 코, 짧은 목 등이 다소 평판적으로 표현되기는 했으나 단정한 인상을 풍긴다. 어깨는 넓고 둥근 편으로 가슴이 다소 움츠러들.. 울주 석남사 (2012.10.) 석남사는 통일신라 현덕왕 16년(824) 도의국사가 창건하였으며, 지금은 비구니의 수도장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석남사 승탑은 석남사 동북쪽 언덕의 넓은 대지에 자리잡고 있으며, 일찍부터 석남사를 세운 도의국사의 사리탑으로 불려왔다. 전체적으로 8각의 형태을 취하고 있으며, 8각의.. 나주 도래마을옛집 (2012.09.) ...... 도래마을에는 마을 어귀의 양벽정과 영호정을 비롯하여 계은정, 서벽당, 귀래당 등의 문중 정자들이 곳곳에 흩어져 있고, 주거 문화재로는 홍기응 가옥을 비롯하여 홍기헌, 홍기창 가옥과 (사)한국내셔널트러스트에서 선정한 시민문화유산 제2호인 ‘나주도래마을옛집’이 있다. .. 나주 홍기응 가옥 - 2 (2012.09.) ...... 전체 건물의 배치는 서향을 기본으로 하였다. 집안의 가장 깊숙한 곳에 一자형 안채가 서향으로 자리를 잡았고, 안마당을 사이에 두고 ㄱ자형 사랑채가 안채 앞에 자리를 잡았는데, 축은 맞추면서 향은 직각으로 틀어서 남향으로 앉혔다. 집의 입구에는 一자형 대문간채를 두었고, .. 나주 도래마을 - 2 (2012.09.) ...... 도래마을의 형성과정을 살펴보면, 원래 고려시대에 남평 문씨가 터를 잡고, 이후 조선 초기에 강화 최씨가 들어와 마을을 이루고 살았는데, 성천부사를 지낸 홍수 선생이 수양대군이 왕위를 찬탈하는 계유정란을 일으키자, 아버지가 남평현령을 지낸 인연이 있는 이곳, 나주로 낙향.. 나주 홍기창 가옥 (2012.09.) 풍산 홍씨 집성촌인 도래마을 깊숙한 곳에 자리잡고 있는 살림집이다. 원래 안채, 사랑채, 행랑채를 갖춘 집이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안채만 남아 있다. 건물에서 발견된 기록(상량문)으로 미루어 1918년에 지은 것으로 추정한다. 안채는 6칸 크기의 一자형 집으로 부엌방과 부엌·안방·대.. 이전 1 ··· 64 65 66 67 68 69 70 ··· 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