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 전통건축 갤러리 ■

(1026)
예천 의성김씨 남악고택 (2012.11.) 인조 14년(1637) 병자호란 때 척화신으로 이름난 불구당 김주(1606~1681)가 태어난 곳으로 1981년 지붕을 고칠 때 명문기와가 발견되어 1634년 이전에 건립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국사봉 지맥을 배경으로 동남향하여 배치된 이 고택은 정면9칸, 측면7칸의 'ㅁ'자형으로 평면이 구성되었다. 안..
문경 장수 황씨 종택 (2012.11.) 문경지방에 있는 양반가옥 중 하나로 장수 황씨의 종가이다. 장수 황씨 15대조인 황시간이 35세 때 이 집에서 거주하였다는 기록으로 보아 세운 시기를 18세기경으로 추정한다. 사랑채와 안채, 대문채로 구성되어 있는 이 집은 비교적 원형이 잘 남아 있고, 안채의 구성에 몇가지 특성이 남..
고성 송계리 함안 이씨고가 (2012. 10.) 이 고택의 건축연대는 확실히 알수 없으나 기록에 따르면 현 소유자 이겸수씨의 조부가 약 90여년 전에 지은 것으로 추정되어지며, 이 지방의 전형적인 토호의 가옥으로 건물 축대는 장대석으로 되어 있고 사랑채의 기둥은 원주로 느티나무이며 솟을대문에는 목조건물의 지붕틀을 짜 세울 때 마룻대를 올리는 상량의 명(銘)이 무오 9월로 기록되어 있다. 건물은 안채, 사랑채, 곳간채, 헛간채, 솟을대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대지를 넓게 잡고 안채와 사랑채를 별도의 건물로 하여 앞 뒤로 나란히 녿고 곳간채를 각각 ㄷ자형으로 배치한 전형적인 부농들이 소유한 남부형 민가이다. 안채(앞면 6칸, 옆면 2칸, 팔작지붕, 골기와), 사랑채(앞면 5칸, 옆면 2칸, 팔작지붕, 골기와), 곳간채(앞면 5칸, 옆면 2칸, 모임지붕 ..
함양 허삼둘 가옥(금천리 윤씨 고가) - 2 (2012.10.) 참으로 사랑스런 집이었다. 비록 사람의 온기가 끊긴 뒤 폐가처럼 방치되어 있기는 했지만 옛 살림의 속내를 그려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사랑스런 집이었다. 함양 허삼둘 가옥. 우리 고가(古家) 중 아마도 유일무이하게 안주인의 이름을 딴 특이한 이 집은 2004년 두 차례의 화재로 새까..
고성 학동마을 옛 담장 (2012. 10.) 세월이 빚어낸 멋스러움 가득한 ‘학동 돌담길’ 단아한 돌담길의 정취와 고즈넉한 시골마을의 넉넉한 풍경 통해‘느림의 미학’만끽 돌, 황토가 절묘한 조화를 이루며 돌담만이 가진 독특한 곡선미와 자연미 수려 오랜 세월 켜켜이 쌓인 돌담이 고향집에라도 들른 듯, 포근함으로 다가..
고성 학림리 최씨종가 (2012.10.) 서기 1600년대 후반에 전주 최씨 시조 문성공(文成公) 최아(崔阿)의 16세손이며 임란창의 공신 의민공 최균(義敏公 崔均)의 현손(玄孫) 형태(亨泰)께서 꿈에 하늘에서 학이 내려와 이곳에 알을 품고 있는 현몽을 해 날이 밝아 그 곳에 가보니 필연적으로 세세지장토(世世之庄土)를 누릴 수 ..
고성 학동마을 서비정 (2012.10.) 서 비 정(西扉亭) 서비정은 최우순(崔宇淳, 1832~1911)선생의 애국심을 기려 세운 정자이다. 최우순선생은 조선 말 일본에 의해 을사늑약이 강제로 체결되자, 집 동쪽에 일본이 있다고 해서 사립문을 서쪽으로 돌리고, 아호(雅號)를 청사(晴沙)에서 서비(西扉)로 고쳤다. 그리고 국권 회복을 ..
여주 김영구 가옥 - 3 (2012.10.) □ 소재지 : 여주군 대신면 보통리 190-2 □ 시 대 : 조선(1753년) □ 지정사항 : 중요민속자료 제126호 김영구 가옥은 1999년 5월 13일 개와(蓋瓦) 수리 공사중에 “숭정기원후(崇禎紀元後) 삼계유(三癸酉) 이월(二月) 이십칠일(二十七日) 사시(巳時) 상량(上樑) 임좌(壬坐) 병향(丙向)”이라는 상..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