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통건축 갤러리 ■ (1026) 썸네일형 리스트형 함안 무기연당 - 3 ( 2012. 11.) ...... 함안에서 마산 쪽으로 난 국도 5호선을 따라 가다가, 구고사 이정표가 보이는 구성교 앞에서 좌회전하여 무기천을 거슬러 안쪽으로 들어가면 청룡산 자락의 아담한 마을, 무기리舞沂里가 나온다. 지금은 마을 주위로 공장들이 무분별하게 들어서서 동네 분위기가 많이 망가졌지만 .. 창원 성주사 ( 2013.01.) 성인이 머무는 절이란 이름을 가진 성주사는 경남 창원시와 김해시 사이에 있는 불모산(해발 801.7m)의 서편 자락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한불교조계종 제14교구 범어사 말사이다. 성주사는 신라 42대 흥덕왕 2년(827년)에 창건되었다고 전해지고 있는데, 최근에 찾아진 1746년에 지은 ‘성주사.. 계룡시 사계 김장생고택 (2013. 01.) 사계고택의 은농재는 연산에서 낳은 예학(禮學)의 대가 김장생(1548∼1631)이 말년에 살았던 사랑채 건물로 앞으로 구봉산이 바라다 보이는 전망이 좋은 곳에 자리잡고 있다. 2,800여 평의 넓은 대지에 남에서부터 대문채, 사랑채인 은농재, 중문과 사랑채가 달린 안채, 그리고 그 뒤로 집안.. 대전 우암사적공원 (2013. 01.) 우암사적공원은 대전시동구 가양동의 숲이 우거진 야산 기슭의 골짜기에 자리잡고 있으며, 조선 숙종 때의 명유(名儒)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이 학문을 닦던 곳이다. 이곳에는 선생의 영정이 모셔진 남간사, 조선 효종 임금 때 만주 요동땅을 되찾기 위한 북벌을 주창했던 남.. 고령 점필재(김종직) 종택 (2013.01.01) 이 건물은 선산 김씨(善山金氏) 문충공파(文忠公派)의 종택으로서 안채는 1800년경에, 사랑채는 1812년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문충공(文忠公) 점필재 김종직(金宗直, 1431~1492)은 고려 말 정몽주·길재의 학통을 이은 아버지 김숙자(金叔滋)로부터 학문을 익히면서 조선시대 도학의 정맥.. 장흥 보림사 - 2 ( 2012.12.) 신라 선문구산(禪門九山) 중에서 제일 먼저 개산(開山)한 가지산파(迦智山派)의 중심 사찰이었으며, 현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1교구 본사인 송광사의 말사이다. 이 절은 가지산파의 법맥을 이어받은 체징(體澄)에 의하여 창건되었다. 신라 헌안왕의 권유로 체징은 이 산에 들어와 터를 .. 안동 임청각과 군자정 - 3 (2012.11.) ...... 임청각의 구성은 1000여 평의 넓은 대지에, 안채, 사랑채, 중랑채, 행랑채, 사당 그리고 별당형 정자, 군자정으로 이루어져 있고, 헐려 사라진 대문간채의 2층 누각에서는 집 앞 낙동강에 낚싯대를 드리울 수 있을 정도로 운치 있고 대단한 집이었다 한다. 집의 방향은 동남향이고, 대.. 청도 운강고택 - 3 (2012. 10.) ...... 운강고택은, 소요당 선생이 벼슬을 사양하고 낙향하여 서당을 지어 후학을 양성하였던 그 옛터에, 1809년(순조9), 선생의 11대손 박정주 선생이 살림집으로 가옥을 처음 신축하였다. 시간이 흘러 운강 박시묵 선생이 1824년(순조24)에 대규모로 증축하여 고택의 체계를 갖추었고, 1905년.. 이전 1 ··· 60 61 62 63 64 65 66 ··· 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