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 전통건축 갤러리 ■

(1026)
담양 김선기가옥 ( 2013.04.) 장산리 마을 맨 위쪽에 자리잡은 옛집으로, 조선 선조 36년(1603)에 처음 지었으며 순조 25년(1825)에 수리를 하였다고 한다. 집은 크게 안채와 사랑채, 사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채는 앞면 5칸·옆면 2칸 규모의 ㄷ자형 집이다. 왼쪽부터 부엌·골방·큰방·대청·작은방을 배치하였다. 사..
담양 미암종가 연계정 (2013.04.) 담양 남쪽 대덕면 장산리에 양옆 야트막한 산 능선이 병풍처럼 둘리어진 곳에 ‘노루골’이란 마을이 있다. 이곳은 창평면 소재지에서 북쪽으로 오리 길에 매봉에 안겨 고즈넉한 곳에 20여 호가 사는 동네이다. 마을 어귀에 다다르면 숲쟁이가 보인다. 백호등에 기댄 미암이 후학들을 가..
담양 하심당 ( 2013.04.) 하심당(下心堂) 담양 창평에 위치한 150년 된 전통 한옥 고택(古宅)을 말한다. 하심당은 일반 사람에게는 알려 있지 않지만 매화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든지 옛것을 찾아다니는 역사가들에겐 꽤나 알려져 있는 곳이다 지난 360년 역사 속에 12대 종손인 송영종님이 지난 50여년동안 방치되어 ..
담양 죽림재 - 1 (2013.04.) 창녕 조씨 문중 사람들이 공부하던 곳으로 죽림재를 지은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죽림 조수문(1426∼?)이 세웠다고 전한다. 처음 세운 건물은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인조 원년(1623)에 죽림 선생의 6대손인 삼청당 조부가 다시 지었다. 그 뒤 고종 5년(1868)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
밀양 금시당 및 백곡재-1 ( 2013.03,) 금시당과 백곡재 2채로 된 건물이다. 금시당은 조선시대 문신인 금시당 이광진 선생이 말년에 고향으로 돌아와 제자들을 교육시키기 위해 지은 건물이다. 이광진(1517∼?)은 명종 1년(1546)에 문과에 급제하여 『중종실록』, 『인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후에 벼슬이 좌부승지에..
밀양 표충사 - 2 ( 2013.03.) 표충사는 재약산 남쪽 기슭에 있는 절로 원래 이곳에는 신라 무열왕 1년(654)에 원효대사가 지은 죽림사가 있었는데, 통일신라 흥덕왕 4년(829)에 왕의 셋째 아들이 병으로 고생할 때 이곳의 영정약수를 먹고 병이 나았다고 해서 영정사라 이름을 바꾸었다고 한다. 그 후 조선 숙종 41년(1715)..
구례 운조루 - 4 ( 2013.03.24.) ...... 지리산 노고단이 형제봉을 타고 내려오다가 섬진강 줄기와 만나 만들어낸 기름진 평야 구례는, 이중환의 「택리지」에서 ‘나라 안에서 가장 살만한 곳’으로 꼽았을 정도로 지리적 혜택이 뛰어난 고장인데, 구례 시내에서 경남 하동 쪽으로 섬진강을 따라 19번 국도를 달리다 보면..
구례 곡전재 - 2 ( 2013. 03.) 건축물 안내 및 내력 본 건축물은 1910년경부터 승주 황전면에 사는 7천석의 부호 박승림이란 분이 明堂을 찾기 위해 십여년을 많은 地官과 함께 수색 끝에 토지면 오미리 環洞(환동)이 금환락지다 확정짓고 李 敎臣(호 穀田:병주의 曾祖父)씨와 함께 건축하게 되었다 그후 박승림씨가 사..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