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통건축 갤러리 ■ (1026) 썸네일형 리스트형 구례 쌍산재 ( 2013.03.) 구례 쌍산재 - 명당에 인품이 더해져 명가를 이루다 글 조용헌 백두산에서 3천 리를 굽이굽이 내려온 산자락이 남쪽에 와서 그 장정을 마친 지점이 지리산이다. 그 지리산은 다시 다섯 자락으로 내려와 남쪽으로 가로지르는 섬진강과 조우한다. 더 이상 내려가지 못하고 그 여정을 멈추었.. 구례 매천사 ( 2013.03.) 매천 황현(1855~1910) 선생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황현 선생은 한말의 순국지사이자 시인이며 문장가이다. 전라남도 광양에서 태어났으며 어려서부터 시를 잘 짓고 재질이 뛰어났다. 1894년 동학농민운동·갑오경장·청일전쟁이 연이어 일어나자 위기감을 느끼고, 경험과 견문한 바를 기.. 구례 천은사 ( 2013.03.) 지리산 서남쪽 기슭에 있는 천은사는 지리산 3대 사찰 중 하나이다. 통일신라 흥덕왕 3년(828)에 인도 승려 덕운이 짓고, 앞뜰에 있는 샘물을 마시면 정신이 맑아진다고 하여 감로사라 하였다가 후에 천은사로 고쳤다. 임진왜란 (1592) 때 불에 타서 없어진 것을 조선 숙종 4년(1678) 다시 지었.. 벌교 홍교 ( 2013.03.) 홍교란 다리 밑이 무지개같이 반원형이 되도록 쌓은 다리를 말하며, 아치교·홍예교·무지개다리라고도 한다. 이 다리는 현재 남아 있는 홍교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크며, 현재도 주민들이 사용하고 있다. 예전에는 이 자리에 뗏목을 이은 다리가 있어 벌교(筏橋)라는 지명이 생겨났으며, .. 양산 통도사 - 3 ( 2013.03.) 통도사 [通度寺] | 브리태니커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영취산(靈鷲山)에 있는 신라시대 절.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본사로 법보(法寶) 해인사, 승보(僧寶) 송광사와 함께 불보(佛寶)로 삼보사찰(三寶寺刹)의 하나이다. 646년(선덕왕 15) 자장율사가 중국 당나라에서 가져온 부처의 .. 부안 내소사 - 2 ( 2013. 3.) 내소사는 백제 무왕 34년(633)에 혜구두타(惠丘頭陀)가 세운 절로 원래 이름은 소래사였다고 한다. 이 대웅보전은 아미타여래를 중심으로 우측에 대세지보살, 좌측에 관세음보살을 모신 불전으로 조선 인조 11년(1633) 청민대사가 절을 고칠 때 지은 것이라 전한다. 규모는 앞면 3칸·옆면 3.. 합천 영암사지 - 1 ( 2013. 02.) 당당히 버텨선 천년왕국 자존심 유 홍 준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국토박물관 순례의 진수는 뭐니뭐니 해도 아무런 해설 없이 그 자체로서 예술적 감동을 불러 일으켜주는 문화유산의 명작을 찾아가는 것이다. 그것을 보는 순간 눈이 번쩍 뜨이고 가슴이 설레며 깊은 감흥에 젖어 차마 그.. 함안 무기연당 - 4 ( 2012. 12.) ...... 대문을 들어서면서 만나게 되는 좌측의 주거영역과 우측의 별당영역은 상당히 대조적이다. 우아한 별당공간에 비하여 사랑채와 안채는 너무나 소박하다. 그래서 오히려, 살림채를 별당채의 부속채로 보려는 시각도 있지만, 근검절약을 미덕으로 삼았던 선비정신의 결과물로 해석.. 이전 1 ··· 59 60 61 62 63 64 65 ··· 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