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통건축 갤러리 ■ (1026) 썸네일형 리스트형 영주 부석사 조사당 ( 2013. 06.) 봉황산 중턱에 있는 부석사는 신라 문무왕 16년(676)에 의상대사가 왕명을 받들어 화엄의 큰 가르침을 펴던 곳이다. 무량수전 뒤에는 ‘부석(浮石)’이라고 새겨져 있는 바위가 있는데, 『삼국유사』에 있는 설화를 보면, 의상대사가 당나라에서 유학을 마치고 귀국할 때 그를 흠모한 여인.. 영주 부석사 -3 ( 2013. 06.) 부석사 [浮石寺] | 브리태니커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봉황산 중턱에 있는 절.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孤雲寺)의 말사이다. 〈삼국사기〉·〈삼국유사〉에 의하면 의상대사가 신라 문무왕의 뜻을 받들어 676년에 창건하고 화엄종을 널리 전했다고 한다. 〈송고승전 宋高.. 원주 법천사지 (2013.07.) 『고려사』, 『신증동국여지승람』, 『동문선』 등 문헌에 전하는 법천사(法泉寺)는 신라말에 산지 가람으로 세워져 고려시대에 이르러 대대적으로 중창된 사찰이다. 특히 화엄종과 더불어 고려시대 양대 종단이었던 법상종의 고승 정현이 주지로 있어 법상종 사찰로 번성하였으며, 국.. 원주 거돈사지 (2013.07.) 원주 거돈사지 현계산 기슭의 작은 골짜기를 끼고 펼쳐진 곳에 있는 절터이다. 발굴조사 결과 신라 후기인 9세기경에 처음 지어져 고려 초기에 확장·보수되어 조선 전기까지 유지된 것으로 밝혀졌다. 절터에는 중문터, 탑, 금당터, 강당터, 승방터, 회랑 등이 확인되었는데, 금당의 규모.. 원주 흥법사지 (2013.07.) 원주 흥법사지 흥법사는 『고려사』에 기록된 내용으로 보아 신라 때 세워진 것을 알 수 있으며, 임진왜란 때 없어진 것으로 추측된다. 이곳에는 염거화상탑(국보 제104호), 진공대사탑 및 석관(보물 제365호)이 있었는데, 1931년 일본인들에 의해 강제로 반출되었다가 지금은 국립중앙박물.. 양평 택풍당 (2013.07.) 백아곡 선산과 택풍당을 사랑한 이식(李植) 경기도 양평군 양동면 소재지에서 319번 도로를 따라 1㎞ 가면 오른쪽으로 쌍학리 안골로 들어가는 길이 나온다. 이 길을 따라 다시 1㎞정도 들어가면 안골마을이 나온다. 마을 입구 오른쪽 길가에는 덕수이씨세장지비가 있고 뒤 능선으로 덕수.. 횡성 풍수원 천주교회 (2013.06.) 한국인 신부가 지은 최초의 성당 오랜 세월 갖은 박해를 이겨내며 피워 올린 성숙된 신앙을 배우고 그 유산을 묵상하게 만드는 풍수원성당은 잠시 잊고 살았던 우리의 모습을, 삶의 의의를 비추는 거울처럼 자연 속에 그렇게 자리를 지키고 있다. 서울에서 6번 국도를 타고 양평을 지나 .. 홍천 성당 (2013.06.) 춘천교구 / 홍천 성당 1950년대 석조 성당의 전형을 보여주는 건축물 홍천성당은 1925년 김루수 신부가 현 홍천본당 마당에 50평의 목조건물을 신축하였다가 1953년 한국전쟁으로 파손된 것을 재건하였다. 1954 년 석조공사를 시작하여 1955년 4월 새로운 성당건축을 완성하였으며, 동시에 사제.. 이전 1 ··· 55 56 57 58 59 60 61 ··· 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