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 전통건축 갤러리 ■

(1026)
함양 군자정 ( 2012.07.) 서하면 봉전마을은 정여창 선생의 처가가 있는 마을로서 선생이 처가에 들러 유할때는 군자정이 있는 영귀대에서 유영하였다. 정선전씨 입향조인 화림재 전시서 공의 5대손인 전세걸, 세택이 일두선생을 기념하기 위해 1802년 이곳에 정자를 짓고 군자가 머무르던 곳이라 하여 군자정으..
충주 최함월 고택 ( 2012. 06.) 조선 숙종(재위 1674∼1720) 때의 문장가인 최응성이 살던 옛집이다. 서재로 사용하였다는 염선재와 함월정이라는 정자가 남아있다. 1720년경 집 앞에 정자를 지었는데, 제자인 권상하가 최응성의 호를 따서 정자이름을 ‘함월정’이라 하였다고 전한다. 1983년 충주댐 건설로 인하여 지금의 ..
충주 중앙탑 ( 탑평리 칠층석탑 2012. 06.) 남한강의 아름다운 경관과 잘 어우러져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으로, 당시에 세워진 석탑 중 가장 규모가 크다. 우리나라의 중앙부에 위치한다고 해서 중앙탑(中央塔)이라고도 부르는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7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높은 탑신을 받치기 위해 넓게 시..
봉화 설매리 3겹 까치구멍집 (2012. 05.) 상운면 설매리는 깊은 산속에 숨겨져 있는 산골마을로 예전에는 까치구멍집이 주류를 이루었던 것으로 보인다. 약 170여년 전에 건립된 것으로 추측되는 이 건물은 정면3칸 측면3칸 규모인데 입구의 봉당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외양간을 우측에는 부엌을 두었는데 외양간 상부에는 다락을..
봉화 도암정 - 2 (2012. 05.) 이 건물은 1650년(효종 원년) 무렵에 문신 황파 김종걸(黃坡 金宗傑)(1628~1708)이 건립한 정자이다. 당시 유림들이 교유하며 시를 읊으며 즐기던 곳이다. 바로 앞에 연못을 둔 좁은 대지에 남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연못 중앙에는 소나무를 심은 인공섬인 당주(當洲)가 있고 오른편에는 큰 바..
봉화 설매리 겹집 (2012. 05.) 설매리 큰마을에 자리잡은 민가로 건축연대는 정확하지 않지만 약 150년 전에 지은 것으로 보인다. 앞면 4칸·옆면 2칸 규모로 내부의 공간이 2줄로 배치된 겹집이다. 왼쪽부터 앞줄은 마구간·봉당·부엌이고, 뒤줄에는 방·마루·고방을 두었다. 봉당과 외양간의 바깥벽·봉당마루의 ..
안동 정재종택 및 만우정 (2012. 05.) 퇴계 이황의 학문을 계승한 정재 유치명(1777∼1861)의 종가이다. 증조부인 유관현이 조선 영조 11년(1735)에 세운 이 집은 원래 임동면에 있었으나 임하댐 건설로 1987년 지금 있는 자리에 옮겨 세운 것이다. 대문채, 정침, 사당으로 구성되었는데, 정침은 안채와 사랑채를 포함한 건물로 ㅁ자..
달성 하목정 - 2 (2012. 05.) 이 건물(建物)은 임진왜란(壬辰倭亂)때 의병장(義兵將)이었던 낙포 이종문 현감(洛浦 李宗文 縣監)이 조선선조(朝鮮 宣祖)37년(1604)에 세운 정자다. 인조(仁祖)가 왕위에 오르기전 이곳에 머문적이 있어 그후 이종문(李宗文)의 장자(長者)인 이지영(李之英)에게 하목정(霞鶩亭)이라는 정호(..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