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통건축 갤러리 ■ (1027) 썸네일형 리스트형 장흥 오헌고택 (2012. 05.) 남도 대농 반가의 대표적 사례로서 안채, 사랑채, 사당, 문간채, 연못 등 축조당시 공간구성을 고루 갖추고 있으며 보존관리 상태도 양호하여 남도 건축문화 연구에 중요하다. 다양한 민속생활사 관련 유물과 자료가 소장되어 있으며, 지역 양반문화 및 향촌 생활사 연구 등과 관련 역.. 안동 귀봉종택 (2012. 04.) 귀봉 김수일 선생의 종택으로 현종 1년(1660)에 최초로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 조선 중기의 전형적인 종가집이다. 'ㅁ'자형으로 대문채·사랑채·안채·사당채 건물이 있고, 사당에는 운천 '김용'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으며, 종택 내 보물 484호인 ‘운천 호종일기’가 보관되어 있다. 인접.. 안동 의성김씨 대종가 - 3 ( 2012. 04.) 대종가의 평면배치와 구성은, 一자형 사랑채와 ㅁ자형 안채를 ㄴ자의 서고 누다락과 행랑채로 연결시켜서 두 채를 서로 잇고 있는 특이한 평면배치로 몸 기(己)자형을 이루고 있다. 안채 내부는 사랑채와 안채의 중간에 난 계단을 올라 우측으로 들어간다. 안채로 들어가는 출입문은 판.. 안동 치헌 ( 2012. 04.) 국탄 김시정의 셋째 아들 김영운이 정조 9년(1785) 분가하면서 지은 집이다. 집의 이름은 김영운의 호를 따라 치헌이라 부른다. 원래는 임동면 지례동에 있었으나, 임하댐 건설로 물에 잠겨 1988년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겨 지었다. 건물은 二자형으로 앞면 4칸·옆면 1칸의 규모이며, 지붕은 .. 안동 제산고택 ( 2012. 04.) 제산종택은 조선 후기 학자 제산 김성탁(1684∼1747)이 18세기 초에 지어 거주한 살림집이며, 우곡초당은 그가 1718년에 건립하여 후학을 양성하던 곳이다. 제산종택은 ㅁ자형의 맨 앞쪽 채는 사랑채와 중문간채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채는 5칸으로 우측 두 번째 칸에 중문을 내고 그 좌측에는 .. 안동 백하구려 - 2 ( 2012. 04.) 「백하구려(白下舊廬)」는 김대락(金大洛)(호 백하(白下))이 42세 때인 1885년 4월 19일에 건축한 것으로 보이는 고가에 향유인 금상기(琴相基)가 김대락의 사후에 쓴 현액이다. 이 현액에 따라 이름붙여진 이 고가의 중요성은 협동학교(協東學校)를 출범시킨 산실(産室)이라는 점인 동시에 .. 안동 오류헌 고택 ( 2012. 04.) 지례리 천곡의 서북쪽에서 뻗어내린 산세에 의지하여 반변천이 바라보이는 곳에 동남향으로 자리잡은 조선 후기의 주택이다. 조선 숙종 때 대사성을 지낸 지촌의 셋째 아들 김원중이 천곡에 분가할 때 지은 것이다. 안채는 1700년대에 지은 것으로 보이며, 사랑채는 1920년에 크게 고쳐지.. 안동 지례동 양동댁 ( 2012. 04.) 지촌 김방걸(1623∼1695) 선생의 형인 김방형 선생이 살던 집이다. 현종 4년(1663)에 처음 지었고 수산재라고도 부르는데, 여러 차례의 수리를 거쳐 현재는 안채와 사당 그리고 외양간이 남아 있다. 안채는 전체적으로 ㅁ자형을 이루면서 앞면 왼쪽으로 사랑채가 돌출되어 있다. 안채는 대청.. 이전 1 ··· 71 72 73 74 75 76 77 ··· 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