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통건축 갤러리 ■ (1027) 썸네일형 리스트형 안동 이우당 고택 ( 2012. 04.) 안동 권씨 부정공파 이우당 권환의 종택으로 인조 18년(1640)에 지었다고 한다. 1963년에 건물 전체를 수리하였으며, 지금 있는 건물은 1994년에 일부분을 고친 것이다. 앞면 5칸·옆면 5칸의 안채는 목조기와집으로 ㅁ자형 구조를 하고 있다. 대청은 6칸이며 우물마루를 깔았다. 사랑채는 영.. 안동 국탄댁 ( 2012. 04.) 조선 후기 문신 지촌 김방걸 선생의 후손 김시정 공이 분가하면서 조선 영조 33년(1757)에 지은 집이다. ㅁ자형 평면을 갖추고 있는 집으로 안채는 앞면 4칸·옆면 3칸이며 사랑채는 앞면 4칸·옆면 1칸 규모이다. 안채와 사랑채 모두 비교적 간편한 구조로 지었는데 건물 안쪽을 훌륭하게 .. 창덕궁 낙선재 - 4 (2012.04.) 낙선재가 위치한 곳은 궁의 동쪽 건양문(建陽門) 밖으로 이곳은 원래 태조가 임종한 광연정(廣延亭)이 있던 자리이며, 뒤에 왕세자인 동궁의 처소인 저승전(儲承殿)이 있던 곳이기도 하다. 건물 구성은 낙선재·석복헌(錫福軒)·수강재(壽康齋) 세 건물이 옆으로 길게 붙어 있고, 그 뒤편.. 거창 수승대 구연서원 (2012. 04.) 구연서원은 요수 신권, 석곡 성팽년, 황고 신수이 세 분의 행의와 학덕을 경모하고 계승하기 위하여 사림들이 세운 서원으로 1540년 신권이 구연재를 완성하였으나 1694년 구연서원으로 개칭하였다.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사당이 훼철(1868년)되었으나, 강당과 문루인 관수루는 그대로 .. 거창 동계고택과 반구헌 - 2 (2012. 04.) 동 계 고 택 동계고택은 대문채, 큰사랑채, 중문간과 중사랑채, 곳간채, 안채, 아래채, 사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랑채마당에는 이끼 낀 자연석을 이용한 화단을 세군데나 조성하였고, 단정하고 위엄이 있는 ㄱ자형 사랑채는 정면 6칸, 측면 2칸 반, 그리고 ㄱ자로 꺽여져 나온 부분이 1칸 .. 장성 백양사 - 2 ( 2012. 04.)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 약수리의 내장산 국립공원內에 자리하고 있는 백암산 자락의 백양사는 1400여년전 백제시대의 천년고찰로 주변의 경관과 애기단풍으로 유명한 곳이다, 백양사는 백제 무왕33년(서기 632년)에 세워졌다고 전해지는 유명사찰로 창건 당시의 이름은 백암사였으며 지.. 담양 소쇄원 - 2 ( 2012. 04.) 소쇄원(瀟灑園)은 양산보(梁山甫)(1503∼1557)가 은둔생활을 하던 조선시대 선비의 별서원(別墅園)이다. 양산보(梁山甫)의 호가 소쇄옹(瀟灑翁)이었기에 원(園)의 이름을 소쇄원이라 한 것이다. 소쇄원의 조성연대는 1520년부터 1557년까지 양산보(梁山甫)의 은둔생활(隱遁生活) 기간 중에 조.. 담양 명옥헌 원림 - 1 ( 2012. 04.) 조선 중기 명곡(明谷) 오희도가 자연을 벗 삼아 살던 곳으로 그의 아들 오이정이 선친의 뒤를 이어 이곳에 은둔하면서 자연경관이 좋은 도장곡에 정자를 짓고, 앞뒤로 네모난 연못을 파서 주변에 적송, 배롱나무 등을 심어 가꾼 정원이다. 시냇물이 흘러 한 연못을 채우고 다시 그 물이 아.. 이전 1 ··· 72 73 74 75 76 77 78 ··· 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