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402) 썸네일형 리스트형 매화-2025-018. 마산 청연암 <무학매> (2025.03.21.) 매화-2025-018. 마산 청연암 무학매> (2025.03.21.) 마산 청연암은 무학산의 학봉 기슭에 자리잡은푸른 합포만이 잘 내려다보이는 조그만 절이다 무학산(舞鶴山)은 창원시 서쪽의 마산회원구와 마산합포구를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으며, 크고 작은 능선과 서원곡 계곡 등 여러 갈래의 계곡으로 이루어진 산이다신라 말기에 이곳에 머무르던 최치원 선생이 산을 보고는 학이 나는 형세라고 했다고 해서 이때부터 무학산으로 불렀다고 하며원래 이름은 풍장산이었다고 한다 청연암이 자리 잡은 자산동(玆山洞)은 완월동의 동쪽에 인접한 전형적인 주택 지역으로서, 취락은 무학산의 산록선을 따라 발달해 있다 깨끗한 자연환경, 산과 물이 좋아 거주선호 지역으로서 고개가 있는 산 밑이 되므로 자산(玆山) 또는 ‘척산’.. 매화-2025-017. 신안 서포 조선홍매화정원 - 임자도 <제1회 섬 홍매화 축제> (2025.03.22.) 신안 서포 조선홍매화정원 신안 서포 조선홍매화정원은 전라남도 신안군 임자도에 위치한 독특하고 아름다운 매화 정원입니다. 이 정원은 신안군의 '1섬 1정원' 정책의 일환으로 조성되었으며, 임자도를 '홍매화의 섬'으로 선포한 후 만들어졌습니다. 정원의 역사와 의의 서포 조선홍매화정원의 조성은 깊은 역사적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임자도가 홍매화의 섬으로 지정된 이유는 조선 시대 매화도의 대가인 우봉 조희룡 선생이 이곳에서 유배 생활을 했던 역사적 가치를 반영한 것입니다. 이러한 배경은 정원에 문화적 깊이를 더해주고 있습니다. 정원의 구성 서포 조선홍매화정원은 신안군 임자도의 1004섬 튤립공원 내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 정원은 기존의 5,000평 규모의 튤립정원에 추가로 조성된 7,000평 이상의 매화정.. 전통건축-1034. 구례 운조루(9) - 적선지가 필유여경(積善之家 必有餘慶) (2025.03.15.) 구례 운조루 구례 운조루 고택은 조선 후기 양반집의 전형적인 건축양식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건물로, 1776년(영조 52년)에 삼수부사를 지낸 유이주가 건립한 고택입니다. 이 고택은 풍수지리적으로 '금환락지(金環落地)'라 불리는 명당에 위치하며, 총 55칸의 목조기와집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운조루는 사랑채, 안채, 행랑채, 사당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건물은 독특한 구조와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주요 건물 건축 양식 및 특징 1. 사랑채● 형태: T자형 구조로 누마루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이는 전체 살림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특징:- 일반적인 사랑채와 달리 큰 부엌이 마련되어 있어 안채와의 동선을 연결합니다.- 직각으로 돌출된 누마루가 있어 독특한 형태를 띱니다.- 3량.. 구례 운조루유물전시관-2 (2025.03.15.) 구례 운조루유물전시관은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오미리에 위치한 중요한 문화 시설로, 운조루 고택의 역사와 문화류씨가의 삶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공간이다 이 전시관은 300여 년간 구례 오미동에 터를 잡고 살아온 문화류씨 가문의 역사와 전통을 담고 있어, 조선시대 양반 가옥의 역사와 풍수지리적 의미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운조루 고택은 1776년(영조 52년)에 삼수부사를 지낸 유이주에 의해 건립되었다 이 고택은 조선시대 양반집의 전형적인 건축양식을 보여주는 귀중한 문화유산으로, 특히 호남지방에서는 보기 드문 건축양식에 속한다 운조루라는 이름은 '구름 속의 새집'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풍수지리설에 따르면 이곳은 산과 연못으로 둘러싸여 '금환락지(金環落地)'라 불리는 명당으로 여겨졌다 - 유물전시.. 매화-2025-016. 구례 매천사 매화 - 빙혼(氷魂)과 설산의 흰빛이 봄꿈에 어우러진다 (2025.03.15.) 016. 구례 매천사 매화- 빙혼(氷魂)과 설산의 흰빛이 봄꿈에 어우러진다 (2025.03.15.) 구례 매천사(梅泉祠)는 전라남도 구례군 광의면 수월리에 위치한 사당으로, 한말의 대표적인 시인이자 애국지사였던 매천 황현(1855~1910) 선생의 위패를 모신 곳이다 1984년 2월 29일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37호로 지정되었으며, 매천 선생의 우국충절을 기리고 후세에 본보기가 되도록 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매천 황현 선생은 1855년 전라남도 광양에서 태어났다1886년, 32세의 나이에 구례 만수동으로 낙향한 매천 선생은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을 위해 구안실(苟安室)과 일입정(一笠亭)을 지었다'구안'이란 '넉넉하지는 않지만 편안하다'는 뜻으로, 이곳에서 그는 1천 수가 넘는 시를 지었고 주요 저술 활.. 매화-2025-015. 구례 운조루 <위매>- '운조루의 봄'을 기원하다 (2025.03.15.) 015. 구례 운조루 위매> (2025.03.15.) '남한의 3대 명당중 하나'라고 알려진 구례 구만들 평야에인근 지역의 낙안군수를 지냈던 유이주 선생이 약 250년전에 지은명품 한옥이 '운조루雲鳥樓'이다 그 창건주 유이주 선생은 조선시대의 무장으로서북방의 여진족을 토벌하고 돌아오는 길에 위魏나라에 들러서한해에 두 번 꽃을 피운다는 유성류 나무와 매화 1그루위매魏梅>를 가져와서사랑채마당에 심었다고 한다 현재, 위매>의 원목은 고사하고 그루터기만 남아 있지만뿌리 곁의 곁가지 하나가 살아남아 이젠 터를 잡고 해마다 꽃을 피우고 있다비교적 꽃을 일찍 피우는 백색의 겹꽃 매화로서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명문가의 쇠락한 뜨락에서 오늘도'운조루의 영광과 정신'을 말해주고 있다 아울러, 사랑채 앞의 위매> 외.. 매화-2025-014. 산청 남사마을 <이씨매>와 원리마을 매화 (2025.03.15.) 014. 산청 남사마을 (2025.03.15.) 남사마을(남사예담촌)의 중앙주차장 옆에근래 들어 전통염색 체험장과 갤러리 카페로 쓰이고 있는 남호정사에마을에서 가장 화려한 매화를 피우는 가 있다 남사마을의 이씨문중을 대표하는 는성주 이씨 문중의 서재인 남호정사에 있는 매화로원래 이씨고택에 있었던 400년 된 고매가 오래 전에 고사하여지금은 가 이씨 문중을 대표하고 있다 수령은 100년 정도의 키가 늘씬한 백매화로서나무높이 8m, 수관폭 8m로서 높이 1m 지점에서 두 개의 줄기로 갈라졌는데 아주 화사하게 흰 꽃을 피워 남사마을을 환하게 밝혀준다 3월 15일 현재, 남사마을 는 10 % 정도의 개화율을 보이고 있다 남사마을 는 아직 개화 초기라서인근 시천면의 의.. 매화-2025-013. 산청 <남명매> - 봄비 속에 남명을 그리다 (2025.03.15.) 013. 산청 '산청3매' 중의 하나인 산천재 마당의 매화나무, 남명매南冥梅>는지리산 천왕봉이 보이는 이곳에선생이 61세이던 명종 16년(1561)에 산천재를 지으면서손수 심은 것으로 전해진다 남명매>는 수령 450여 년의 연륜과 역사를 자랑하는 고매로서크게 세 갈래로 갈라진 중심 줄기는 뒤틀리면서 하늘을 향해 뻗어 올랐고연한 분홍빛이 도는 소담한 반겹꽃을 피운다 안타까운 일이지만 '산청3매' 중에서 원정매>와 정당매>는 이미 오래전에 원목이 고사했다그렇지만 다행히 남명매>는 그 원목을 소중히 지켜서 450년 동안 숱한 사람들로부터 사랑을 받아왔다 하지만 남명매>도 세월을 이기지 못하고 원목이 노쇠하여2016년에 대대적인 외과수술을 받았다 일반적으로 나무의 외과수술은부패부제거 살.. 이전 1 2 3 4 5 ··· 4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