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통건축 갤러리 ■ (1024) 썸네일형 리스트형 안동 하회마을 -3 (2014.04.) 하회 마을 [河回 ] 브리태니커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에 있는 민속마을. 민속적 전통과 건축물을 잘 보존한 풍산 류씨(柳氏)의 집성촌이다. 1984년 중요민속자료 제122호로 지정되었고, 2010년 경북 양동 마을과 더불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유네스코는 등재 결의.. 순천 송광사 - 6 (2014. 03.) 송광사는 지금 남아 있는 기록에 의하면 신라말 혜린(慧璘)선사에 의해 창건되었다고 한다. 창건 당시의 이름은 송광산 길상사(吉祥寺)였으며 100여 칸쯤 되는 절로 30, 40명의 스님들이 살 수 있는 그리 크지않은 규모의 절이었다고 한다. 그 뒤 고려 인종때 석조(釋照)대사께서 절을 크게 .. 구례 화엄사 - 5 (2014. 03.) 화엄사 창건 연혁 백제 성왕 22년(544)에 인도 스님이신 연기조사께서 대웅상적광전과 해회당을 짓고 화엄사를 창건 후, 백제법왕(599)때 3천여 명의 스님들이 계시면서 화엄사상을 백제 땅에 꽃피웠습니다. 신라시대는 신라 선덕여왕 14년(645)에 자장율사가 부처님 진신사리 73과를 모시고 4.. 밀양 표충사-3 (2014. 03.) 표충사(表忠寺)는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재약산에 있는 사찰이다. 654년(태종무열왕 1) 원효대사가 창건하여 죽림사(竹林寺)라 하였다. 1286년(고려 충렬왕 12)에는 《삼국유사》의 저자인 일연(一然) 국사가 1,000여 명의 승려를 모아 불법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1839년(조선 헌종 3) .. 밀양 금시당 및 백곡재-2 (2014. 03.) 금시당(今是堂) 및 백곡재(栢谷齋) 조선조 명종 때의 승지(承旨)였던 금시당(今是堂) 이광진(李光珍)선생이 만년에 은퇴하여 학문을 닦고 수양을 하기 위해 1566년 (명종 21)에 창건한 별업(別業)의 정당(正堂)이다. 창건 당시 건물은 임진왜란 때 불타버려서 1744년(영조 20년) 선생의 5대손 백.. 양산 통도사 서축암 ( 2014. 03.) 영축산(1,081m)은 그다지 높지 않지만 품이 넓어서 통도사는 무려 19개의 산내 암자를 거느리고 있다. 서축암은 자장암으로부터 가는 길목 150m정도 되는 길목에 있고 1996년도에 대시주자 수련화보살님과 입적하신 월하 큰스님, 현 감원이신 원행스님에 의해 창건된 신형 암자이다. 서축암은.. 양산 통도사 극락암 ( 2014. 03.) 양산 통도사 극락암을 찾아서 극락암은 통도사의 암자로 경봉스님이 주석하셨던 곳으로 고려 충혜왕5년에 창건 되었으며 1968년 경봉스님이 중수를 하였는데 암자로는 큰규모로 극락선원이 있어서 많은 수행승이 머물고 있으며 특히 경봉스님이 조실로 온 뒤로 많은 수행승들이 몰려들.. 밀양 표충비 (2014. 02.) 표충비 (表忠碑) 무안지서 바로 옆에 자리하고 있는 비로, 현재는 돌담이 둘러진 비각안에 보존되어 있다. 사명대사의 충절을 기리고 있는 비로, 일명 ‘사명대사비’라고도 불리운다. 비는 네모난 받침돌 위로 비몸을 세우고, 맨 위에 머릿돌을 얹은 구조로, 특이하게도 비몸은 까만 대.. 이전 1 ··· 45 46 47 48 49 50 51 ··· 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