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 전통건축 갤러리 ■

(1024)
의령 입산리 탐진안씨 종가 (2014. 10.) 의령 입산리 탐진안씨 종택 지정번호 :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437호 지정일자 : 2008년 2월 5일 소 재 지 : 경남 의령군 부림면 입산로2길 15-5 고조부 안영제가 1906년(광무 10, 병오)에 건립한 근대한옥으로, 입산마을에 세거하는 탐진안씨의 종가로 안채의 대청 종도리 받침장여 밑면에 “大..
의령 입산 문화역사마을 (2014. 10.) 역사와 전통문화 자원이 풍부한 입산마을은 경상남도 의령군 부림면에 있는 마을로 마을 앞에는 유곡천이 흐르고, 뒤쪽에는 장백산으로 둘러쌓인 전형적인 배산임수형 전통마을이다. 입산마을에 가면, 호국역사와 전통문화 그리고 농촌다움을 함께 보존하고 있는 아름다운 우리 민족의..
진해 웅천도요지 ( 2014.10.) 진해 웅천도요지전시관 '웅천도요지'는 창원시 진해구 두동 산147번지 일원에 소재하고 있으며, 16세기 말 임진왜란 전기의 가마터입니다. 이곳은 남부지역에서만 제작된 분청사기의 일종인 '막사발'이 제작된 곳으로 한·일간 도자기 문명 발달사를 조명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적지입니다...
진해 성흥사 ( 2014.10.) 진해 불모산 성흥사 성흥사는 대한불교 조계종의 제14교구 본사인 범어사의 말사이다. 원래 신라시대 무염국사가 웅동지방에 침입한 왜구를 물리친 것을 보은하는 뜻으로 구천동 관남리에 지었다고 전해온다. 그뒤 장유화상이 중건하였으나 잦은 화재로 몇 차례 이건하였는데 창건한지 ..
삼척 준경묘 (2014. 09.) 삼척 준경묘·영경묘 (三陟 濬慶墓·永慶墓) 준경묘·영경묘의 묘역(墓域)과 재실(齋室), 목조대왕구거유지(舊居遺趾)등으로 구성된 ‘삼척 준경묘·영경묘’는 조선 태조의 5대조(목조의 부모, 즉 양무장군과 그 부인 이씨)의 능묘로 비록 왕의 능침은 아니지만 조선 왕조가 인정한 선..
삼척 대금굴 (2014. 09.)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 (三陟 大耳里 洞窟地帶)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는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에서 북쪽으로 약 12㎞ 떨어진 두타산 부근에 위치한다. 동굴은 물이 석회암을 녹이는 용식작용에 의해 만들어졌다. 현재 10개의 동굴이 발견되었으며, 대표적인 동굴인 대금굴, 관음굴, 환선굴..
경주 안강 옥산서원-2 ( 2014.07. ) [이야기가 있는 옛懸板을 찾아서 .17] 경주 안강 ‘옥산서원’ 글 = 영남일보 김봉규기자 bgkim@yeongnam.com 퇴계 이황(1501~1770)은 조선 성리학의 최고봉이자 조선 성리학을 세계적 철학의 반열에 올려놓은 인물이다. 공자나 주자처럼 ‘이자(李子)’로도 불리던 퇴계는 타고난 자질에다 깊은 ..
경주 안강 독락당-3 ( 2014.07. ) 옥산서원 부근에 있는 독락당(獨樂堂)은 회재가 살던 집의 사랑채로, 보물 제413호로 지정된 건물이다. 벼슬길에서 밀려나 고향으로 내려온 회재는 옥산계곡에서 자연과 책을 벗 삼으며 수도(修道)하는 은둔자의 삶을 살았다. 독락당을 지은 것은 그의 나이 42세가 되던 해인 1532년. 회재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