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해 불모산 성흥사
성흥사는 대한불교 조계종의 제14교구 본사인 범어사의 말사이다.
원래 신라시대 무염국사가 웅동지방에 침입한 왜구를 물리친 것을 보은하는 뜻으로
구천동 관남리에 지었다고 전해온다. 그뒤 장유화상이 중건하였으나 잦은 화재로 몇 차례
이건하였는데 창건한지 276년만에 대장동으로 옮겼고, 다시 322년만에 원래의 구천동으로
옮겼다. 그리고 현종 8년(1667년) 대장동으로, 숙종 39년 자리를 옮겼고, 정조 13년(1789년)에
비로소 지금의 위치에 이건하였다고 한다.
무염국사는 신라의 승려로 무열왕의 8대손인데 당나라에 유학하였으며, 이름이 널리 알려져
동방대보살이라 불리었다. 귀국한 뒤에는 충남 보령의 오합사에 있으면서 성주산문의 개조가
되었는데 무염국사가 창건한 사찰들의 이름에 대부분 성자가 붙는 것도 그 때문이다.
대웅전은 창건 연대를 정확히 알수없으나 현재의 건물은 조선후기에 다시 지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잡석으로 기단을 조성하여 자연석의 주춧돌(주초)을 놓아 둥근기둥(원주)을 세웠으며,
기둥머리(주두)에는 창방을 받치고 그 위에 다시 평방을 걸어서 기둥사이에도 공포를 1구씩 더
짜 올린 다포식 맞배지붕의 건물이다.
또한 공포의 장식이 나타나는 정면 3칸, 측면 3칸으로 된 건물로 조선시대후기 사찰 건축의
양식적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성흥사에는 고종 27년(1890년) 화주스님이 그린 섬세한 필치의 무염국사의 영정과 대불상,
나한상, 나한종관상, 제석상 등과 당간지주가 있고 사찰의 남서쪽 200M 지점에는 조선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부도군이 있다.
(글자료 : 문화재청)
대장동(성흥사)계곡
'■ 전통건축 갤러리 ■ > 경 남 . 부 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령 입산 문화역사마을 (2014. 10.) (0) | 2014.10.20 |
---|---|
진해 웅천도요지 ( 2014.10.) (0) | 2014.10.14 |
합천 영암사지 귀부와 이수 ( 2014. 05.) (0) | 2014.05.27 |
합천 영암사지 - 2 ( 2014. 05.) (0) | 2014.05.27 |
산청 정취암 (2014. 03.) (0) | 2014.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