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사는 이야기 ■/매화 기행

매화-2021-02 순천 금둔사 홍매화 (2021.02.06.)

 

 

 

 

 

 

 

002. 순천 금둔사 <납월매> (2021.02.06.)

 

 

새벽에 남해 창선면 추도에서

모처럼 황홀한 일출을 보고 내친김에 매화를 보러

순천 금둔사로 방향을 잡았다

며칠 전 인터넷에서 금둔사 <납월매>

12월 말쯤에 벌써 100송이 정도 꽃을 피웠다는 상당히 빠른

개화소식을 전해 들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납월홍매> 6그루 중에서,

화장실 앞에 있는 여섯째 나무만 어느 정도 개화가 진행되었고

나머지는 아직 필동말동 애매한 모습들 이었다

더욱이 꽃잎을 애써 피운 <납월매>

추위에 꽃잎이 얼어버려서 벌써 시들고 색깔도 많이 바랬다

 

3년 만에 다시 찾은 금둔사에는

부산 UN공원의 홍매와 거제도 구조라 초등학교의 <춘당매>를 제외하면

한반도에서 가장 먼저 피는 매화로 유명한 <납월홍매>가 있기 때문에

전국의 탐매객 들이 이른 봄이면 항상 남녘의 금둔사를 주시하게 되는

<납월홍매>의 성지와 같은 곳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개화시기는 매우 빠르지만 그 날자는 해마다 들쑥날쑥하여

그 적기에 맞추어 찾아가기란 상당히 어려운 일이고

그래서 항상 실망도 많이 하게 되는 탐매처가

금둔사이기도 하다

 

금둔사金芚寺부처가 싹을 틔우는 절이란

심오한 뜻을 가지고 있는 순천의 작은 사찰이다.

바로 옆 조계산 자락에 워낙 유명한 선암사와 송광사가 턱 버티고 있어

비교적 덜 알려져 있지만 그래도 아는 사람은 안다.

특히 사진작가들 사이에선 매화와 차로 유명한 절로서,

해마다 2월이면 <납월매>를 보려고 전국에서

카메라를 메고 몰려든다.

 

 

 

 

 

 

 

해발 679m의 금전산 서쪽에 위치한 금둔사는

신동국여지승람의 기록과 보물인 금둔사지석불비상과 금둔사지 삼층석탑으로 보아

금둔사의 창건연대를 통일신라 때로 추정해오다가

최근에 순천대학교 박물관측의 발굴유물을 토대로 9세기경 창건된

사찰임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정유재란(1597) 때 가람이 완전히 불에 타서

 금둔사는 오랜 세월 폐사지로 남아 있었는데,

1979년에 이르러 완전 도굴되어 흩어져 있는 삼층석탑을 복원하고

1984년부터 지허 선사가 대웅전과 일주문 선원, 약사전, 요사채,

홍교 등을 복원 중창하였다

 

금둔사를 다시 일으키면서 지허 선사가

산 아랫마을 낙안읍성 근처의 조씨 면장 집에서 600살의 나이로 고사한

<납월매>의 씨앗을 받아와 1985년에 금둔사 경내에 심었는데,

그 씨앗 중에서 6개가 살아남아서 오늘까지 <납월매>의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금둔사의 홍매화가 <납월매>로 불리는 까닭은

엄동설한인음력 12월에 꽃을 피우기 때문이다.

음력으로 12월을 납월(臘月), 혹은 섣달이라고 하는데,

온 세상 모두가 얼어붙어 있는 엄동설한이 채 끝나기도 전에,

매화가 꽃을 피우기 위해서는 엄청난 용기와 인내가 필요하다.

그래서 막상 꽃을 피워도 이내 꽃잎은

아직도 매서운 추위에 바로 얼어서 시들어 버리고,

꽃으로서의 생명을 다하고 만다.

꽃으로서의 화사함이나 우아한 자태는 찾아보기 힘들고,

오히려 메마르고 퇴색된 꽃잎만 남기고

하루살이처럼 장렬히 사라져 간다.

 

유아독존’ - 세상 모두가 숨죽인 눈 속에서 홀로 피어나지만

이내 얼어붙어 시들어 버리는 그 쿨한 모습은 이른바 상처뿐인 영광으로서,

오직 이 혹한에 꽃을 피워냈다는 강인한 정신과 맑은 기품만

오래토록 우리 곁에 향기로 남아 있을 뿐이다.

 

 

 

 

 

 

 

 

 

 

 

 

 

<금둔사 청매>

 

 

금둔사의 대웅전 근처에

제법 오래 된 청매화 2그루가 있다

<납월매>가 만개한 뒤, 지기 시작할 무렵에야

꽃망울을 열기 시작하여 금둔사의 봄을 이어가지만

<납월매>의 유명세에 가려

만개한 모습을 보는 기회를 항상 놓치게 되는 매화가

바로 <금둔사 청매>이다

 

금둔사 <납월홍매>

꽃잎의 크기가 상당히 작은 분홍색의 겹꽃으로서

20~30개의 꽃잎들이 겹겹으로

지름 1cm 안팎의 크기로 가지에 달리는데 반하여

<금둔사 청매>는 흰꽃에 푸른 꽃받침을 가진

100년생 내외의 꽃잎 5장 홑꽃 청매로서

청매 특유의 아주 우아한 자태를 자랑한다

 

 

 

                                           2021. 02. 06.

 

 

 

 

 

남해 창선면 추도 일출 (2021. 02. 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