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전통건축 갤러리 ■

(1022)
영주 무섬마을 (2018. 06. 02.) 국가민속문화재 제278호 영주 무섬마을 (榮州 무섬마을) 영주 무섬마을은 조선 중기 17세기 중반 입향 시조인 박수(朴燧)와 김대(金臺)가 들어와 자리를 잡은 이래 반남박씨와 선성김씨의 집성촌으로써 유서 깊은 전통마을이다. 또 일제 강점기에 뜻있는 주민들에 의해 건립된 아도서숙은 ..
괴산 김기응가옥 (2018. 06. 02.) 괴산 김기응가옥 (槐山金璣應家屋) 낮은 동산을 배경으로 양지바르고 터 좋은 곳에 자리잡고 있는 집으로 '칠성고택'이라고도 부른다. 안채는 조선 후기(1800년대 초반)에 지은 것이고 사랑채, 중문채, 대문채 등은 나중에 지은 것들이라 한다. 대문채, 중문채, 사랑채, 행랑채, 안채, 광채, ..
공주 마곡사 (2018. 05.20.) 마곡사 麻谷寺 요약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로 현재 충청남도 70여 개 사찰을 관리하고 있다. 640년(신라 선덕여왕 9)에 중국 당나라에서 돌아온 자장 율사가 통도사·월정사와 함께 창건한 절로 여러 차례 화재가 있었으나 고려 중기에 보조국사 지눌에 의해 중건되었다고 한다. 이 ..
안동 고성이씨 탑동파 종택(2018. 05.05.) 국가민속문화재 제185호 안동 고성이씨 탑동파 종택 (安東 固城李氏 塔洞派 宗宅) 안동 영남산의 동쪽 기슭에 작은 계곡을 끼고 있는 넓은 대지에 자리한 옛집이다. 현 소유자의 11대 조상인 이후식(1653∼1714)이 조선 숙종 때 안채를 짓고 이어 사랑채를 짓다가 완성하지 못한 것을, 손자 이..
안동 임청각 - 4 (2018. 05.05.) 보물 제182호 안동 임청각 (安東 臨淸閣) 임청각은 형조좌랑(刑曹佐郞)을 지낸 바 있는 이명이 1515년(중종 10)에 건립한 주택이며, 상해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을 지낸 이상룡의 집이기도 하다. 이 집은 영남산(映南山) 동쪽 기슭에 앉아 낙동강을 바라보는 배산임수한 명당에 남향하여 자리..
안동 의성김씨 종택 - 4 (2018. 05.05.) 보물 제450호 안동 의성김씨 종택 (安東 義城金氏 宗宅) 의성 김씨의 종가로 지금 있는 건물은 임진왜란 때 불에 타 버렸던 것을 김성일(1538∼1593) 선생이 다시 지은 것이라고 한다. 건물은 사랑채, 안채, 행랑채로 구분되는데, 사랑채는 바깥주인이 생활하면서 손님을 맞이하는 공간으로 ..
안동 예안이씨 충효당 - 4 (2018. 05.05.) 보물 제553호 안동 예안이씨 충효당 (安東 禮安李氏 忠孝堂) 이 집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하다가 순국한 이홍인 부자의 충과 효가 얽혀있는 유서 깊은 집이다. 이홍인 공의 후손들이 사는 집으로서 명종 6년(1551)에 지은 것으로 보아 조선 중기 건축으로 추정되며 ‘충효당’이라 ..
부여 정림사지5층석탑 (2018. 04.07.)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扶餘 定林寺址 五層石塔) 부여 정림사터에 세워져 있는 석탑으로, 좁고 낮은 1단의 기단(基壇)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이다. 신라와의 연합군으로 백제를 멸망시킨 당나라 장수 소정방이 ‘백제를 정벌한 기념탑’이라는 뜻의 글귀를 이 탑에 남겨놓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