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사는 이야기 ■/매화 기행

매화-2024-029 순천 선암사 매화 - 무우전 매화 지기 시작하다 (2024.03.23.)

 

 

 

 

 

 

 

 

 

029. 순천 선암사 매화 - 무우전 매화 (2024.03.23.)

 

 

 우리나라 '매화의 보물창고'인 선암사 경내에는

최소 수령 350년이 넘는 약 50여 그루의 고매들이

전각 곳곳에 자리를 잡고 있다

그 중에서 원통전 담장 뒤편의 백매화와 무우전 돌담길의 홍매화가

천연기념물 제488호로 2007년에 지정되었다

 

 특히 무우전 돌담길의 20여 그루의 고매 군락은

우리나라 토종 매화의 정수精髓를 보여준다.

어느 이른 봄날 그 매화터널에 들어서면

시린 겨울과 속세에서 벗어나 환상적이고 달콤한 봄을 체험할 수 있는

환상적인 공간이 '무우전 매화길'이다

 

2024323일 현재,

선암사 경내 매화의 개화상황은

무우전 돌담길의 홍매화와 백매화는 만개 후에 벌써  지기 시작하였고

원통전 담장 옆의 백매는 이미 많이 졌다

그리고 대웅전 뒷 편의 홍매, 그리고 요사채인 무량수전 홍매도

지기 시작하였다

 반면, 첨성각 연못 옆의 백매와 공양간인 적묵당 담장의 홍매와 백매,

해천당 담장과 마당의 고매, 그리고 뒤깐 옆과 뒷 편의 매화는

지금이 절정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일 년 내내 꽃이 지지 않는다는 선암사는

예로부터 100종이 넘는 꽃나무들이 자생하고 있어서

한국의 정원수들을 총 망라했다는 찬사를 듣는 

꽃절로도 유명하다

 

 무량수각 앞의 600살 된 누운 소나무,

지장전 위의 영산홍과 자산홍

칠전차밭의 700살 넘은 차나무 등이 유명하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단연 백미는 매화나무라고 할 수 있다

 천년고찰 선암사에는 그 오랜 시간을 전설처럼 함께 살아 온

매화나무들이 있다

 

칠전선원과 원통전 사이

그 통로 한가운데 자리 잡은 ‘선암백매仙庵白昧

무우전 돌담길 중간쯤의 

선암홍매仙庵紅昧 600살이 넘은 천연기념물로서

선암사의 역사와 그 향기를 우리에게 전해준다

 

 1,500년이 넘은 완숙한 절집에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두 그루 말고도 많은 고매화들이 살고 있다.

대웅전 뒷 계단에 자리한 수령 450년의 매화와

첨성각 앞의 홍매화는 수령 400년이 넘었지만

아직도 건강한 매실을 생산해 내고 있고,

그 외에도 수령 300년 내외의 매화들이 곳곳에 포진해있다

그 중에서도 무우전 돌담길의 20여 그루의 고매 군락은

선암사 매화의 진수이자 나라의 보물이다

 

 

 

 

 

 

 

 

 

 

 

 

 

 

 

 

 

 

 

 

 

 

 

 

 

 

 

 

 

 

 

 

 

 

 

 

 

 

 

선암사의 고매화들은

요즘 우리 주위에 흔한 매화마을의 일본산 개량종이 아니라

우리의 토종매화이다.

개량종의 수명이 수십 년인 데 비하여

우리의  토종 매화는 수명이 수백 년에 이르고,

고목의 구부러진 등걸마다 몇 백 년의 세월을 이고 있다

 

 우리나라 토종매화의 특징은 꽃잎은,

일반 매화에 비해 작고 꽃도 듬성듬성 피지만

그 기품과 향은 감히 그 누구도 따라오지 못한다

죽은 듯이 메마른 등걸에서 한 송이 꽃을 피우는 그 고아한 멋과

끝을 알 수 없는 그 깊은 향기는

이 세상 모든 꽃 중에서 단연 으뜸으로 꼽기에

부족함이 없다

 

그런데 벌써  선암사의 봄이 저물기 시작하였다

미처 언제 왔는지도 모르고 있었는데

꽃이 많이 졌다

 나는, 해마다 겨울이면 선암사 쪽만 바라보고 살지만,

그 찬란한 매화의 계절은 결코 길지가 않다

보통 1주일에서 길어야 2주일 정도로 아주 짧아서

금새 찰나처럼  지나간다

 

 ‘짧은 만남, 긴 아쉬움......’이지만

<선암사 매화>가 있어서 선암사의 겨울은 깊고도 깊고,

그리고 아름답다라고 할 것이다!

 

 

 

 

 

 

 

 

 

 

 

 

 

 

 

 

 

 

 

 

 

 

 

 

 

 

 

 

 

칠전선원과 원통전 사이, 통로 한가운데 자리 잡은 ‘선암백매仙庵白昧는 이미 져 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