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자료실 ■/스크랩 - 세계의 건축가

세계의 건축가 -039. 피터 아이젠먼 Peter Eisenman

 

 

1. 건축가 피터 아이젠먼 Peter Eisenman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피터 아이젠먼

피터 아이젠먼(Peter Eisenman, 1932년 8월 11일 ~ )은 미국의 건축가이다. 코넬 대학교에서 학사, 컬럼비아 대학교 건축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하버드 대학교프린스턴 대학교오하이오 주립 대학교의 교수를 역임했다. 현재는 예일 대학교의 교수이다.

주요 작품

 

 

 

 

 

 

 

 

 

2. 스테이트팜 스타디움

 
위키백과
 

 

스테이트팜 스타디움
State Farm Stadium
카디널스 경기장 (2006년)
유니버시티 오브 피닉스 스타디움 (2006년~2018년)
 미국 애리조나주 글렌데일
북위 33° 31′ 39″ 서경 112° 15′ 45″
2003년 4월 12일
2006년 8월 1일
애리조나 스포츠&관광 당국
글로벌 스펙트럼
설계  피터 에이센먼 / 파퓰러스
4억 5,500만 달러
(2021년 기준 6억 1,200만 달러)
천연 잔디
수용  63,400
(72,200까지 확장 가능,
스탠딩 룸은 78,600)
애리조나 카디널스 (NFL) (2006년~현재)
피에스타 볼 (NCAA) (2007년~현재)
코파 아메리카 센테나리오 (2016년)
 

 

스테이트팜 스타디움(State Farm Stadium)은 미국 애리조나주 글렌데일에 있는 다목적 경기장이다. NFL 애리조나 카디널스의 홈구장이자 매년 피에스타 볼을 개최한다. 2007년 2월 7일 미국대 멕시코 축구 경기를 열었고 총 62,462명이 입장해 애리조나주에서 최고로 많은 관중이 입장한 축구 경기장이 되었다.

피닉스 대학교가 명명권을 획득했지만 피닉스 대학교의 홈구장은 아니고 법인 스폰서의 역할만 했었다.

2010년 3월 28일, WWE 레슬매니아 26이 개최되었다. 관객 수는 72,219명

 

갤러리

  • The playing field outside and lined for the Arizona Cardinals.

  • The interior with field removed. To protect the stadium's grass playing surface, non-football events are always held with the facility in this configuration.

  • Aerial view of the stadium in 2007

  • Stadium roof


 NFL 경기장

 

 

 

 

 

 

 

3. 건축이론 그 자체, 이론가이자 건축가 피터 아이젠만

2023.04.27. 11:07272 읽음

너무 이론적인 건축가

 

피터 아이젠만(Peter Eisenman)

 

피터 아이젠만(Peter Eisenman)은 이론가인지 건축가인지 헷갈릴 정도로 건축 이론, 건축 철학에 있어서 살아있는 거장이자 아버지다. 아이젠만이 처음부터 건축을 배우거나 관심 있어 하지 않았는데, 그는 아버지의 전공인 화학을 배우는 화학과 학생이었다. 그러나, 이 무슨 운명의 장난인지 기숙사에서 만난 건축과 학생을 통해서 그는 '건축'이라는 학문에 빠져들기 시작했고 그렇게 시작한 건축이 '화학'에서의 실험과 이론을 통해 그는 이론가 철학가 건축가로 불리게 된다.

그의 건축 철학을 한 마디로 정의할 수 있는 사람은 아마 어디에도 없을 정도로 그의 철학은 어렵다. 그는 모더니즘이 보여주는 근대-현대의 합리성을 보고 배워서 건축의 성향이 상당히 이와 유사할 수 있다고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절대로 그의 건축을 단순한 모더니즘의 계보로 볼 수 없다. 왜냐하면 그가 사실상 지금의 자하 하디드, 렘 쿨하스와 같은 해체주의 대가에게 영향을 준 인물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그가 추구한 건축의 형태적인 면과 계획 방식이 해체주의의 방식과 비슷하기 때문이다. 기존의 건축이 가지는 형태나, 개념, 인식들을 탈피하고 건축이 존재하는 형식에 대해 의문을 가지며 이를 서로 분해하고(실제로 아이젠만은 분해decomposition라는 단어를 자신의 언어라고 하며 이는 해체와 유사하다고 한다, 허나 본인은 해체주의라고 한 적이 없어서 조금 싫어하시기도) 이를 다시 결합하고 기존의 건축이 가지는 것 내의 본질이 무엇이며 기능을 벗어나 철학과 인문을 사고한다. (허나 보여주는 건축적 모습과 성향은 모더니즘과도 닮았다. 이는 설계된 건축물의 형태와 기하학적 표현이 유사한 느낌이 있기 때문이다.)

 
모더니즘 아니야.

그의 건축은 기능주의, 모더니즘적인 철학은 거의 없는데 표현되는 방식과 모습은 너무나도 닮았다. 이는 그가 표현하는 방식이 '기하학'적인 형태이고, 선과 면의 사용이 너무 명확해서 일 것이다. 그러나 이 내면에 존재하는 그의 건축언어인 분해가 보여주는 설계 방식은 상당히 어렵고 충격적이다.

합리를 분해하고 이를 다시 결합하는 과정 그리고 서로를 연결하는 과정 속에서 선과 매스가 쓰이기에 모더니즘처럼 근대의 기능주의적인 측면이 느껴지는 것일 뿐, 그의 방식은 전개 방식은 전혀 그렇지 않다.
또 실제로 설계된 건축물이 선과 면이 많이 사용된 것들이 많아서 그러는 것일 뿐이다. 실제로 그의 이론 작품과 설계 공모 작품들을 보면 주제에 대한 해체와 연결 텍스트의 분해를 통해 생기는 결과물은 가히 해체주의라고 해도 충분하다.

WEXNER CENTER FOR THE VISUAL ARTS AND FINE ARTS LIBRARY(1989)
WEXNER CENTER FOR THE VISUAL ARTS AND FINE ARTS LIBRARY(1989)
WEXNER CENTER FOR THE VISUAL ARTS AND FINE ARTS LIBRARY(1989)
WEXNER CENTER FOR THE VISUAL ARTS AND FINE ARTS LIBRARY(1989)
WEXNER CENTER FOR THE VISUAL ARTS AND FINE ARTS LIBRARY(1989)
WEXNER CENTER FOR THE VISUAL ARTS AND FINE ARTS LIBRARY(1989)

 

오하이오 주립대학 웩스너 시각예술센터, 1959년 철거된 병기고가 재료가 되어 오하이오 주립대학에서 필요한 공간과 함께 결합된 건축물이다. 기존의 콘텐츠 자체의 발자취는 남기면서 기하학적인 선들의 연결을 통해 서로 결합하여 진화된 형태를 표현하고 싶어 했던 아이젠만의 설계이다. 이는 얼핏 보게 되면 지역주의의 건축처럼 기존의 발자취를 살리는 것처럼 보일 수 있으나, 사실 이와는 조금 다른 게, 발자취를 '재료'로 삼아 새로운 형태의 기하학적이고 이 문맥을 서로 상호작용시켜 새로운 것을 만들려 했다는 점에서 다르다. (지역에 남아 있어 지역을 존중하고 설계하는 지역주의하곤 조금 다르다. 그걸 철저히 재료로만 사용했기 때문)

BERLIN MEMORIAL TO THE MURDERED JEWS OF EUROPE(2005)
BERLIN MEMORIAL TO THE MURDERED JEWS OF EUROPE(2005)
BERLIN MEMORIAL TO THE MURDERED JEWS OF EUROPE(2005)
BERLIN MEMORIAL TO THE MURDERED JEWS OF EUROPE(2005)

 

2,711개의 콘크리트 기둥과 그리드 형태의 모습 각기 다른 높이의 기둥들 불안정하면서 서로 불규칙적인 이 건축은 한 사람 만 지나갈 수 있는 폭 그리고 압도되는 크기가 보여주는 유럽 유대인 학살 추모관의 모습. 

겉으로 보기에는 상당히 합리적인 격자 구조의 베를린에 있는 유럽 유대인 학살 추모관의 내면에는 시스템이 나타낼 수 있는 혼돈과 장애를 표현한다. 삶이라고 여기는 시스템의 내면은 사실 비합리인 것처럼 말이다. 이러한 비합리적인 혼돈의 형태는 유대인을 추모하는 상황 가운데서 오직 기억은 스스로만 기억하는 것처럼, 온전히 각자 추모할 수 있도록 한 사람만 지나갈 수 있는 넓이의 통로로 설계됐고, 수많은 기둥들 사이에서 느끼는 중압감 가운데 관람객들은 추모할 수 있게 된다.

 
아이젠만의 프로젝트들

 

THE MAX REINHARDT HAUS
THE MAX REINHARDT HAUS

 

CHURCH OF THE YEAR 2000

 

CHURCH OF THE YEAR 2000
CHURCH OF THE YEAR 2000
CHURCH OF THE YEAR 2000
LIGET BUDAPEST HOUSE OF MUSIC
 
 
LIGET BUDAPEST HOUSE OF MUSIC
 

 

아이젠만의 프로젝트들은 다 하나같이 재미있고 신기하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너무 이론적이고 너무 철학적이기에 사실 많이 어려운 부분들이 존재한다. 그러나, 유럽 유대인 학살 추모관의 경우에는 정말 잘 설계된 압도적인 건축물이다. 

보기에 좋은 떡이 맛도 좋지는 않는 경우가 있는데, 바로 아이젠만의 건축 작품이다. 
그의 건축계에서는 크게 환영받지 못하는데 이는 그가 너무 이론적이기에 실제로 시공을 할 때 갖추어야 할 디테일이 많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많은 프로젝트를 시공한 것도 아닌데, 이미 몇몇 프로젝트에서는 유지 및 보수 작업을 상당히 많이 하기 때문이다. 

출처 : 건축이론 그 자체, 이론가이자 건축가 피터 아이젠만 : 네이버 포스트 (naver.com)

 

 

 

 

 

 

 

 

4.  Re:피터 아이젠만 (Peter Eisenman)

 
 

김세진

 

피터 아이젠만 (Peter Eisenman)




우리 정치사에 한 때 40대 기수론이 등장하여 새로움, 참신함,

그리고 관행으로부터의 탈피를 외쳤던 시절이 있었던 것처럼

현대건축사에서는 30대 기수론이 등장했던 적이 있었다.

1970년대 초반 미국의 아이비 리그 출신들이 중심이 되어 르 코르뷔제 등이 주도했던

근대주의(modernism)의 본질이 왜곡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함과

아울러 로버트 벤투리(Robert Venturi) 등이 이끄는 수정주의(Revisionism)에 맞서기 위해

피터 아이젠만(Peter Eisenman), 리차드 마이어(Richard Meier), 존 헤둑(John Hejduk) 등의

젊은 건축가들이 모여 그룹활동을 하던 것이 바로 그것이다.

그룹활동을 하던 5명의 주도적 건축가들 대부분은

미국 동부 해안지역의 유수 사립대학인 프린스턴이나 코넬대학을 졸업하였고,

1972년에는 'Five Architects'라는 책을 공동출간했던 까닭에

"뉴욕 5"로 불리거나 "The Whites"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그룹의 별칭인 The White가 암시하는 것처럼 이들 건축가들은 자신들이

설계하는 건축물의 주조색을 대부분 흰색으로 처리하고 있는데 이는 근대건축의 아버지라 불리는

르 코르뷔제의 건축적 사상으로의 회귀를 암시함과 아울러

그 정신의 계승을 대변하는 수단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뉴욕 5'를 주도하였던 피터 아이젠만은 1932년 뉴욕에서 출생하여

코넬대학과 콜럼비아대학을 졸업하였고, 영국의 캠브리지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이론파 건축가이다.

그는 바우하우스 운동을 주도했던 그로피우스의 건축가협동체(TAC)를 위해

이미 1957년부터 2년간 활동한 바 있으며,

근대주의 건축과 예술이 한창 꽃피던 1960년대 후반에 30대 중반에 접어들었기 때문에

근대주의 이념이 예술과 건축에 깊이 각인되어 있던 시절에 건축가로서의 성장기를 거쳤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가 '뉴욕 5'를 주도하고, 자신들의 건축관을 방어하기 위한

이론적 무장을 철저히 할 수밖에 없었다는 점은

교육과정과 성장과정에서의 사회현상과 그 맥이 닿아있음을 알 수 있다.

그는 1967년에 뉴욕에서 건축도시연구소(IAUS)를 개설하고

1982년까지 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며 세계건축계의 이론적 흐름을 주도하고

다양한 건축적 논쟁과 담론을 담은 'Oppositions'라는 기관지를 발행함과

아울러 정방형 평면에 바탕을 둔 다양한 주택을 건축적으로 실험하며

'House Ⅰ, Ⅱ, Ⅲ, Ⅳ, ???,Ⅹ' 등의 실험주택과

그 이면의 건축적 이론을 꾸준하게 발표한 바 있다.

1980년대 이후 그는 10여년간의 건축적 실험과 성과에 기반한 새로운 작품들을 설계하여

세인의 관심을 받고 있는데 이론가이자 건축가라는 양면적 직능때문인지는 몰라도

그의 명성이나 영향력에 비해 작품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대신에 그는 학자다운 면모를 더욱 중시하여 캠브리지, 프린스턴, 예일, 하바드 등의 대학과 대학원에서 강의를 맡고 있으며,

일리노이대학과 오하이오 주립대학 등에도 출강하고 있다.


1980년대 이후의 주요 작품으로는 웩스너 시각예술센터(1982-89),

고이즈미 조명회사 사옥(1987-89),

콜럼버스 컨벤션 센터(1989-93),

1991년 P/A 어워드를 수상한 신시내티 예술대학 증축계획,

베를린 국제건축전을 통해 건설된 집합주택과

막스 라인하르트 하우스 등을 꼽을 수 있다.




오늘날의 미국건축은 크게 두가지 주요 경향으로 나뉘어지고 있다.

그 중 하나가 근대주의는 여전히 그 생명력이 유효하며,

따라서 작금의 예술사조인 포스트 모더니즘(post-Modernism)에 대한 방어자적 특성을 보이는 경향이다.

여기에는 'The Whites'와 함께 페이(I.M.Pei), 폴 루돌프(Paul Rudolph) 등의 건축가가 대표적 인물이며,

이들 부류에 속하는 건축가집단을 건축사적으로는 흔히 네오 모더니스트라고 부르고 있다.

다른 하나의 경향은 'The Whites'의 이념에 적대적인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서

마이클 그레입스(Michael Graves), 로버트 스턴(Robert A.M. Stern) 등으로

대표되는데, 이들 건축가집단은 지나온 건축역사의 참조사항을

적어도 형태나 건축물의 파사드 등에 다시 복원하려는 작품성향을 보이는 것으로서

포스트 모던적 성향이라 할 수 있다.

즉, 모더니즘의 탄생적 배경이자 주도적 이념인 역사와의 단절을 유지하느냐

아니면 이를 계속적인 현상으로 해석하느냐에 따라 미국 현대건축의 흐름을 나눌 수 있다는 것이며,

이 가운데 하나의 큰 줄기에 피터 아이젠만이 있다는 점은

그의 건축적 영향력을 충분히 짐작하게 한다.

패러다임은 병립할 수 없어도 현상은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오늘날의 세계건축은 포스트 모던이 여전히 강한 영향력을 가지며

존재하고 있는 동시에 네오 모던의 건축물도 꾸준하게 지어지고 있다.

그러나 1990년대에 들어서며 이들 두가지의 강력한 관성축에 덧붙여진

경향 가운데 하나로 전통적 형태와의 극단적인 단절을

표방하는 조류가 생성되었는데, 이 흐름을 주도하는 인물은

프랭크 게리(Frank O. Gehry)와 'The White'의 멤버였던 이론가 피터 아이젠만이다.

이제 그 기운은 완전한 지배적 위치에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세인은

그들의 경향을 해체주의(Deconstructivism)라고 부르고 있다.

그러므로 오늘날의 지배적 건축사조인 해체주의는 결국 피터 아이젠만이

주도했던 30년 전의 건축운동과 맥을 같이하고 있으며,

언제나 역사적 흐름의 전면에 등장하여

그 흐름을 주도적으로 이끌어가는 현대 건축가 피터 아이젠만은

그래서 주목해야할 건축가인 것이다.

출처 : 건축과 학생을 위한 자료실 | Re:피터 아이젠만 (Peter Eisenman) - Daum 카페

 

 

 

 

 

 

 

 

5. 건축가 피터 아인젠만. peter eisenman. dangerous???

 

2020. 5. 15. 10:55

 

 

피터 아이젠만

 
모더니즘의 이단아 ??? dangerous ???

피터 아이젠만은 1932년 생의 뉴저지 뉴어크 출신으로 코넬과 콜럼비아대에서 건축을 공부한다.이어서 영국 캠브리지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석학으로 건축가이자 건축이론가, 건축교육가이다. 르네상스 건축과 바로크 건축에 정통하고 이태리 주세페 테라니의 합리주의건축에 빠져있었다. 귀국해서 소위 "뉴욕화이브" new york five의 일원으로 르 코르뷔지에의 건축에도 관심을 보이나, 결국 소위 해체주의 decon 의 맹주처럼 활동하게 되는 안티모더니스트 이론가이자 철학가이다.

new york five. ca 1970s (CG. MG. RM.PE from left) @Instagram . 왼쪽부터 찰스과스미, 마이클그레이브스, 리차드마이어, 피터아이젠만.

실제 지어지는 건물에는 별로 관심이 없고 개념상의 건축에 더 몰두한다. 그러다보니 실제 건물의 기능, 마감 재료, 디테일 등에 관심이 없다. 속세의(?) 건축계에서 쉽게 수용되고 인정되지 못하는 이유이다. too idealistic to be accepted??? 그래서 유난히 실현되지 못한 프로젝트가 다수다. 10개의 하우스 시리즈 중에서 네(4) 프로젝트만 지어졌다. 그러나 실제 아카데미아는 물론 건축계의 건축디자인에 미친 영향은 엄청나다.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유럽에서의 공부를 마치고 미국 뉴욕에 돌아오자 실험적인(?) 카드보드 하우스 시리즈로 디컨 decon 의 매뉴얼(?)을 만들기 시작한다. 1967년 (35세) 뉴욕에서 "건축도시연구소" IAUS 를 세워서 렘콜하스, 버나드츄미 등 소위 해체주의자들의 집합소로 만들었다. 1982년까지 IAUS 소장으로 디컨의 대부 역할을 했다.

dangerous??? too anti-modern and radical in his attitude toward architecture to get along wth. be careful!!!

his architecture looks dangerous. he is demolishing traditions of architecture.

"적을수록 지루해" less is a bore 라고 주장하는 안티모더니스트 로버트 벤츄리에 이어, 모더니즘의 철학과 원칙에 큰 상처를 내고, 다른 시각에서 건축을 평가하는 데 큰 공헌(?)을 했다. 지금도 하고 있다. 건축은 개념(드로잉)에 머물때 진정한 건축이며, 실제 지어진 건물은 그 건축의 모형에 불과하다고 말하는 극단주의 안티전통 anti-tradition 건축가(?)이다. 흔히 말하는 건축가가 아니라 이론가이다.

peter eisenman (from archdaily, interview w/ iman ansari, 2013)

"진짜 건축"은 드로잉(개념)에 존재한다. 건물은 드로잉 밖에 존재한다. 건축과 건물은 같은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피터 아이젠만 , 2013, archdaily)

agree??? 렘콜하스에 이어 2000년대 초 자하 하디드의 디컨 열풍이 세게 불기 시작한 것도 결국 아이젠만의 이런 교리(?) 때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dangerous???

ciao.

ywp05152020. updated 05162022

-----------------------------

■ selected works by peter eisenman :

house1

house 2, 1969

 

house3

house 6, 1972

house X

체크포인트 찰리 아파트@ 베를린, 독일

과디올라 하우스, 카디즈, 스페인, 1988

웩스너 아트센터 @ 오하아오주립대, 콜럼버스, 오하이오, 1989

에이로노프 센터 DAAP @ 신시내티대, 신시내티, 오하이오, 1996

홀로코스트 메모리얼 @ 베를린, 독일, 2005

"dangerous" eisenman

dangerous!!!

-------------------------------

extra info on a dangerous peter eisenman :

from wikipedia

---------------------------

------------------------

references

wikipedia

google

pinterest

flickr

an-onymous.com (iman ansari interview@ archdaily, 2013)

eisenmanarchitects.com

---------------------------

*Credits: This talk has been produced and written by Young Woo Park, aia, ncarb. The most of writing has been based  on the reference materials above, u.n.o. Please email to the writer above (ywpark5293@gmail.com) in case of having questions or disagreements.

*Copy rights reminder:  This talk can not be used or reproduced in other publications on-line or off-line,  entirely or partially,  without a written consent of the writer.

*Photo Credits:  Photos and images are  also from the reference materials above, u.n.o. Please email to the writer in case of having questions or disagreements. Thanks.

 

 

 

 

 

 

 

 

6.  Peter eisenman(피터 아이젠만)에 관하여 - 1

 
 

피터 아이젠만

Peter eisenman

미국 출생의 현대 건축가

대표작으로 BERLIN MEMORIAL TO THE MURDERED JEWS OF EUROPE(베를린 유대인 추모 공원)(2005)이 있다.

 

Peter eisenman, 출처 Archdaily


건축개념

해체적 경향을 갖는 복합적인 건축개념

그는 건축의 요소들을 언어 작용의 시스템으로 간주한다.

언어로 문장을 구성하듯 건축형태를 생성하는 과정을 연구하는 통사론을 전개, 탐구하는 건축이론을 말한다.

통사론(syntax)이란 문장 구성, 성분, 어순, 구성의 기능 및 문법 요소와 관련되는 현상을 다루는 분야를 말한다.

Syntax Tree diagram

아이젠만의 통사론은 근대 건축에 의해 상실된 ‘건물과 사용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회복하기 위해 건물의 의미를 창출하려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의미론을 발전시킨 이론이다.

건축의 공간을 경험하는 대상이 아닌 그 자체의 대상성에 주목하며 모더니즘은 ‘언어 자체에 관한 작업’으로 이해한다.

• 대상성에 주목한다는 말은 물리적인 성질을 지닌 건축 자체에 대한 생각을 말한다. 건축에서의 객관적 지식을 물리적이고 형태적인 작용 안에서 탐구한다.

주어진 언어(건축 내부의 언어)로부터 요소들을 분절, 재배열을 함으로써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행위로 해석하겠다.

즉, 아이젠만의 건축 방향성은 인간이 하는 관습적인 모든 행위, 의미를 소거하고 글쓰기처럼 기호로 표현되는 언어적이고 형태적인 성격을 지녔다.

그는 다양한 운영 방법을 조화시키고, 개념 전달의 해결 방안을 제시했고, 오브제와 오브제의 연결하는 고리들의 관계에 집중했다.

건축이론 - 구조주의 언어학적 사고

구조주의적 - 구성요소들 사이의 관계를 해체하고 새로운 관계를 만들어내는데 치중한다

생성론적 - 두 개의 상이한 생성 논리(기하학적이고 내재적인 형태의 변형+ 해체적인 성격을 지니는 개별적 존재로서 형태 변형)가 변증법(모순 혹은 대립을 통해 합명제를 찾는 것) 적으로 복합 작용되어 만들어지는 형태를 탐구하고 있다

탈 기능주의적 - 인본주의적 사고를 탈피해서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다


로버트 벤추리 / 찰스 젱크

Robert Charles Venturi Jr. / Charles Jencks

Robert Charles Venturi Jr.

갑자기 벤추리? 젱크?

벤추리는 건축과 언어의 접목을 가장 먼저 시도한 사람이며 이후 건축과 언어를 이론으로 정리한 사람이 찰스 젱크이다.

그렇기에 벤추리, 젱크와 아이젠만의 각각 건축과 언어를 접목시킨 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어떤 차이점을 지녔는지)

벤추리 - 근대 건축가들이 공간, 구조, 프로그램의 건축 체계를 아이콘으로 왜곡한다.

젱크 - 근대 건축가들이 아이콘의 은유적 의미를 부정한다.

두 사람의 관점 차이는 분명했다. 하지만 대중과 소비문화에 대해서 두 사람은 묘한 일치를 보인다.

건축을 대중과 소통하는 기호로 봤고, 근대건축이 경시했던 일상의 풍경에서 시각적 유희와 해학을 탐색했다는 점이다.

반면 피터 아이젠만은 오브제 중심의 두 사람의 상징주의 이론을 강하게 비판했고, 구체적 이미지를 배제한 기하학적 형태로 전환할 것을 주장했다. ‘오브제’가 시지각의 대상이라면, ‘관계’는 감각과 경험의 대상으로 구체화되지 않은 관념의 영역에 해당하였다.

그는 촘스키의 언어 모델(변형생성문법)을 건축에 적용했다. 이는 통사론의 논리적인 질서를 건축의 문법으로 이용하여 건축이 어떻게 구성되는가?라는 원리 발견이 관심을 가졌다.

나머지 벤추리의 건축적 사고는 나중에 알아보고자 한다.


건축 특징 언어학적 구조, 해체주의

  1. 기존의 건축물을 대상으로 형태를 분석 - 형태가 변하더라도 의미는 변하지 않는다(Syntax)
  2. 표층구조(물리적인 형태)와 심층구조(관계성, 비례 등)의 분리를 통한 논리 형성 - 내재적 형태 변형, 해체적 형태 변형
  3. ‘변형’과 ‘분리’의 과정을 통한 새로운 텍스트 산출 - 고전적 건축 언어로부터 새로운 언어를 생산
  4. 자신의 실제 작품 분석 - 심층구조의 흔적을 통한 가능성을 지닌 표층구조에 관심

요약

- 형태분석에서 언어학을 바탕으로 형태를 추출

- 변형과 분해의 과정을 통해 형태 변화

- 지속적인 의미 유지 : 심층구조 도출 - 통사론적 구조


베를린 홀로코스트 메모리얼 파크

BERLIN MEMORIAL TO THE MURDERED JEWS OF EUROPE

Location: Berlin, Germany

Year: 1997 (competition), 1998-2003 (design), 2003-2005 (construction)

베를린 메모리얼 파크를 통사론적으로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2711개의 비석은 동일한 폭과 길이로 배치되어 있지만 0.5도에서 2도 사이의 기울어짐으로 독특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높이, 폭, 길 이, 질감 등 제한된 건축 표현 요소들 간의 다양한 관계를 통해 그만의 건축 언어를 표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때 대상의 의미는 프로세스를 통해 확인될 수 있는데 ‘유한 수단을 무한으로 사용하면서 무제한으로 결과물을 생성시키는 능력 (Competence)’으로 이는 다이어그램 편에서 확인해 보도록 하겠다.

 

개념도

 
 
 
 

도면

• 질서 있게 세워진 비석들은 체계적이고 통일적 의미를 지녔지만 다양한 높이와 비스듬한 기울기로 배치됨으로써 불안정성과 혼돈의 가능성을 표상한다.

• 동일한 모양의 광범위한 전개는 다양성에 대한 이성적 인식의 상실을 의미한다.

• 폐쇄된 질서로 이루어진 닫힌 체계는 실패하게 된다는 개념을 상징하고, 다양한 높이의 돌은 전체주의적 체계 속에서 진행된 유태인 학살의 참담함을 건축 기호학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모델

 

실제 건물


추가사항

• 내재적 형태 : 어떠한 프로그램이나 기능과도 상관없는 건축 (근본적인 형태)

• (어떤 건축에도 적용될 수 있는) 가장 순수한 형식 = 모더니즘 건축에 대한 이해와 연관

• 자기 참조적 특성(self-residential) : 한 시대의 건축이 이 전 시대의 어떤 선례와도 특별한 연관성을 지니지 않음

Ex) 도미노시템은 철근콘크리트의 구축성에 부합하는 공간과 구조를 전혀 새로운 방식으로 제시함으로써 과거의 어떤 건축적인 유형도 참조되지 않음을 의미

Domino system

 

 

 

 

 

 

 

7. 피터 아이젠만의 건축개념

 

"케네스 프람톤(Kenneth Frampton)에 의한 다섯가지의 현대건축 발전경향" 중 피터 아이젠만의 건축은 "구조주의(Structuralism)"에 분류되고 있다. 그리고 포스터 모던(Post Modern)건축에서 보여지는 팔라디오(A. Palladio)의 건축을 모범으로 역사·고전·절충적이며, 동시에 비기계적적인것에 반해 아이젠만의 건축언어는 역사적이며 고전적인 것을 부정하며 어느 정도 기계적인 경향을 갖는다. 따라서 초기의 아이젠만의 건축언어는 포스트 모던건축에 약간의 일면성을 가진 레이트 모던(Late Modern)으로 분류된다.
여기에 아이젠만의 건축은 해체적 경향을 갖는 복합적인 건축개념을 지니고 있다. 또한, 건축의 요소들을 언어작용의 시스템으로 간주하여 언어로서 문장이 구성되듯이 건축형태의 생성과정을 연구하는 통사론을 전개·탐구하고 있는 건축이론을 전개하고 있다.
아이젠만은 이러한 체계적·형식적·개념적인 건축작업을 하여 현대건축 발전에 지적인 자극을 계속 제공하고 있다.

✔ 피터 아이젠만의 디자인 배경


아이젠만은 르 꼬르뷔제(Le Corbusier)와 쥬제페 테라니(Giuseppe Terragni)의 건축을 추종하고 합리주의나 구조주의의 범주이며, 형태적 측면에서는 탈 기능주의(Post Functionalism)를 수용한다.
특히 르 꼬르뷔제의 순수주의(Purism) 형식의 결과로 나타난 사보아주택, 그리고 쥬제페 테라니의 기념비적 지표이며 "고전주의(Classicism)와 순수주의(Purism)의 형식인 까사 델 파쇼"는 근대건축이 지향하는 기능과 합목적성의 충족 이외에도 공간, 구조, 에워쌈 등의 시스템으로 발산하는 순수한 모티브를 건축적 형태로 발전시켰다. 이러한 요소들은 아이젠만의 초기작품에서 주택건축형식의 기본이 되고 있다.

그리고 건축을 언어차원으로 구성하려고 시도한사람은 알베르티부터 시작하여 근대의 르 꼬르뷔제에 이르기까지 많은 건축이론가들이 건축을 언어와 같이 생각하고 이론을 전개하여 자기의 건축작품을 설명하였다. 그 결과로 근대건축은 새로운 상징으로 기계를 내세웠지만 그 체계적인 전개와 문법적인 구조를 창출하지는 못했다. 이를 바탕으로 아이젠만은 새로운 질서와 언어학적인 창조를 시도하고자 통사론의 논리적인 질서 속에서 건축의 문법을 이용하여 건축이 어떻게 구성되는가 하는 원리를 발견하는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그리고 "촘스키의 언어모델을 건축에 적용하여 외적창조와 의미전달에는 무관한 근본적인 건축법칙인 심층구조와 표면구조라고 하는 통사론에 고립화시켜 검증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 아이젠만 건축작품의 기본방향


아이젠만은 자기계획안에 대하여 인간이 갖는 관습적인 모든 의미를 소거하는 작업부터 시작된다. 이 행위의 근저에 있는 지금까지 인간이 알고 있는 세계나 문화적 저장고로서의 과거와의 단절을 기도하는 것이다. 그는 자신의 건축철학을 글쓰기 행위로 확실하게 드러내어 기호로 표현되는 언어게임과 형태게임을 오가며 이것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그리고 차이라던가 실험정신, 도전의식을 계속해서 강조하고 있으며, 다양한 운영방법을 조화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개념을 전달하는 현실성 있는 해결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심사숙고하는 지적탐구를 통해서 볼륨 내·외부의 파열, 사이라는 개념, 지우고 다시 쓰는 기법, 기하학적이고 유기적인 운동이 축조된 텍스트와 작품의 기본성격을 인식하는데 필요한 도구이다.

❐. 연대별 작품 분석

✔1970년대 작품분석

§ House을 시작으로 한 10여년 동안의 아이젠만의 작품은 주로 주택작품이며 르 꼬르뷔제의 사보아주택(1932)이나 쥬페테 테라니의 까사 델 파쇼(1932)에 나타난 순수주의의 영향을 받은 규범하에서 진행된 디자인적 특성을 보여준다.
표1에서 보여지는 작품들은 통하여 초기의 작품에서 수평·수직의 그리드를 내포한 입방체에서 출발하고 있다. 후속 작품에서 이러한 입방체와 그리드가 분리된 개체의 재 조합된 구성으로 나타나며, HouseⅥ에서는 삭제된 그리드와 벽의 스퀸스를 이용한 공간이나 형태가 나타난다.
특히 HouseⅩ에서는 공간을 4부분으로 블럭화 시켜 매스간의 긴장을 강화하고 전체와 부분의 무한변형을 통하여 나타난 최종적인 결과물이다. 그리고 Cannaregio Town Square - House11A에서 나타난 오브제들은 HouseX의 분화된 블럭의 형태에서 발전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1970년대의 아이젠만의 작품은 주택작품에서 체계적이고 형식적이며 개념적인 건축작업으로 폭넓은 이론을 전개하려는 그리드나 비례가 기본이 된 건축형태가 도출되고 있다.
 

HouseⅠ(1967-1968)전문직 부부의 스케줄에따라 떨어져 생활하여야하는 가족구조를 고려한 설계. 장난감의 소형스케일을 평범한 건축스케일에 연계하여 기존의 주택 옆에서 거대한 장난감의 형태로 보임.

HouseⅡ(1969-1970)부지의 가장 최상부에 위치한 조건을 활용하여 높은 산언덕에 존재하지 않는 나무와 울타리의 존재를 건축에서 기둥과 벽의 시퀸스를 이용하여 표현.

HouseⅢ(1969-1971)주택의 전통적 의미를 결여시키고 내부의 보이드를 유발시켜 배경이나 장식을 도출시킴.건축구조의 통일성과 완벽성을 파괴함으로서 건축주의 소외감이나 새로운 참여를 유도함.

HouseⅣ(1971)의미론적이나 문화적으로 쇠퇴하거나 보다 중립적인 컨텍스트에 근접하는 물리적 환경이 조성되며,이를 통해 건축을 이해하는 인지적이고 전통적 구조를 능가하는 개념적 구조의 우월성 강조

HouseⅥ(1972-1975)전원지역에 있는 주말주택에 사진작가의 부부에게 추상적 배경이 되는 스튜디오 풍경을 제공하여 감각적이고 흥미로운 환경을 제공. 수평과 수직의 입체적 그리드의 삭제하여 공간을 추출하고 벽의 시퀸스를 이용한 형태

HouseⅩ(1975)부지의 경사를 이용하여 자연경관을 주택으로 끌어들이고, 가로시스템의 메타포가 되는 십자형의 요소를 주택내부에 도입. 십자형의 요소는 공간을 4부분으로 분할하여 스케일을 축소시켜 분절된 형태를 취함

Cannaregio Town Square - House11A(1978)부지와 프로그램을 직접 고안해 기존의 베니스를 그대로 재현하기보다는 가공의 베니스로 만들어 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르 꼬르뷔제의 베니스의 병원에서 건축물 그 자체의 측정수단을 이용하여 랜드스케이프속의 오브제들을 다양한 스케일의 주택으로 표현함



✔ 1980년대 작품분석

§ 70년대의 그리드와 입방체의 분리와 조합된 변화 그리고 블록형식 조합의 다양한 건축관을 토대로 한 80년대는 아이젠만의 작품에 있어서 그리드의 구축적 건축제약이 해체되어 가면서 더욱 자유로운 디자인적 전개가 이루어진다.
IBA Social Housing에서는 도로축과 일부 평면축을 어긋나게 조합하여 컨택스트와 상징성을 해결하고있다. 이것은 공동주택에서도 70년대의 주택작품에서 나타나는 입방축과 그리드축을 어긋나게 한 보편적인 방법을 취하고 있다.
Romea & Juliet Castles, Biocentrum, Uniuer- sity Art Museum, Koizumi Sangyo에서는 역사적 과정이나 사물의 논리적 사고를 분석 활용한 바탕의 건축공간이나 형태가 창조되고 있다. 이러한 바탕의 소재는 70년대와는 새로운 것으로 건축의 행위를 관련된 역사의식이나 과학적 자료를 바탕으로 한 논리를 전개하여 작품을 도출하고 있다.
Wexner Center는입체 그리드를 이용하여 기존의 공간과 새로운 공간을 연결하거나 완충하고 있으며, Carnegie Mellon Research Institute는 한 쌍의 입방체를 겹치며 나타나는 형태와 보이드 솔리드의 공간을 창조하고 있고, Guardiola House는 HouseⅩ에서 연구된 L자형상의 매스조합을 발전시킨 형식임을 알 수있다. 이러한 3가지 건축작품은 70년대의 건축형식을 더욱 발전시킨 개념이며, 그리드의 효과나 서로간의 매스가 겹치면서 공간이나 형태가 투사되는 느낌을 주고 있다.
Aronoff Cente, Greater Columbus Convention Cente, Cooper Union Student Housing은 자유로운 곡선의 매스나 사선적 개념이 포함된 매스를 서로 겹쳐서 나타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행위는 단일의 형이상학적 구획이나 형태에서 벗어나며, 여러 가지의 건축주변의 상황을 수용하고 있으며, 기능적 공간이 어울러진 심층구조의 매스가 투사되어 보이는 효과를 주고 있다.
따라서 1980년대의 아이젠만의 작품에서는 70년대의 건축작품을 여러 가지의 개념과 결합하여 발전적 형식을 취하고 있다. 그리고 건축 주변의 상황이나 관련된 구조적인 언어를 치환하여 건축에 복합된 개념으로 나타나고 있다. 여기에 디자인 요소도 자유곡선이나 사선적 매스가 서로 투사되는 형태요소가 도출되고 있어 형태의 변이과정이 서서히 드러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IBA Social Housing (81-85) 기능 및 재정적 요건을 절충함으로서 컨택스트와 상징성의 문제를 풀어나가는데 있어 도로축에 평면축을 어긋나게하여 변화를 줌.  

Romea & Juliet Castles(85) 두 개의 성곽이 있는 부지 위에 소설 로미오와 줄리엣의 중심테마를 건축적 형식을 빌어 표현. 분할, 결합, 변증법적관계의 3가지 구조적 관계를 작품에 포함시킨 바탕을 이룸.  
 
Biocentrum(1987) 기본유닛을 5개의 모듈로 구분한 생명공학연구소. 생물학의 근원에서 DNA의 논리적 시퀸스를 모델로하여 개념전개에 필요한 논리를 유추해내는 접근방식을 채택.  

Uniuersity Art Museum(86) 지도를겹쳐 몇 개의 표시법보다 더큰 중요성을 부여함으로서 상대적으로 희미하게 부각되었던 유추적 관계를 드러냄으로서 과거, 현재, 미래의 상황을 암시함.
   
Wexner Center(1983-89) 과정과 아이디어로서의 예술을 상징하는 역할을 하도록 표현. 입체 그리드와 조경을 부각하여 기존건물과 신축된겔러리 및 예술시설물을 연결해주는 구성을 취하고 있음    
Carnegie Mellon Research Institute(1987-89) 각 건물을 한쌍의 입방체로 구성하여 솔리드와 보이드의 상반된 2개의 후레임이 겹치면서 남은 자국과 흔적의 형태

Guardiola House(1988) 대상물이나 장소에 내재된 논리와 비 논리의 궤적을 담고 있으며, 서로 접면하는 L자 형상들을 서로 역어 삼면을 관통하고 이로 인해 형상인 동시에 윤곽이 되는 형태를 취함. 끊임없이 형태가 바뀌는 물체를 구축해놓은 듯한 느낌  

Aronoff Center(1988) 곡선형의 대지와 갈매기형태의 기존건물에서 유래하여 이러한 두 형태간의 역동적인 관계사이에 새로운 공간을 형성  



Koizumi Sangyo Office(88-90) 함축된 개념을 또 하나의 질서이자 잠재적 구조로 파악하여 자국과 흔적이라는 아이디어가 공간의 주된 요소 즉, 장소의 부재인 흔적이라는 관념과 이전에 장소가 존재했던 자국이라는 관념을 채택  

GREATER COLUMBUS Convention Center(1989-93) 전시공간과 공공구역을 구분하고 각 형태간에 차이를 두어 컨벤션센타의 도식적 명료성을 해결.  

Cooper Union Student Housing(1989) 다양한 그물모양의 매스들을 배열하고 거대한 건물의 스케일을 개인별 유닛으로 쪼개어 형태의 반복으로 생길수 있는 익명성의 문제에 상징적이며 기능적측면을 고려하여 해결

✔1990년대의 작품분석

 § 1990년대에는 80년대에 새롭게 나타난 건축의 주제와 관련된 역사의식이나 과학적 자료들을 바탕으로 한 논리의 전개방법을 더욱 함축하여 발전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먼저 Groningen Music Video Pauilion는 비디오 스크린에 나타난 주사광선과 유사한 경로를 동선과 입면에 반영하였고, Nunotani Office는 일본의 지진과 관련하여 암반들이 겹치며 생기는 표면파의 움직임을 은유적으로 기록한 상징물이다. Rebstack Park Master Plan은 물질을 구성하는 주름을 그리드와 교차하여 공원의 마스트 플랜을 발전 시킨것이며, Emory Center for the Arts는 음악적 파장에의한 개념 다이어 그램 시리즈를 건축형태에 적용하고 있다.
그리고 Nordliches Derendorf Master Plan은 전파의 간섭을 감안한 건축의 형태를 도출하였고, Bahnhofsbereich Friedrichstrasse는부지의 과거·현재·미래가 교감하는 틀을 제시하고 있으며, Max Reinhardt Haus는 독일 고유의 기질과 포부를 이미지화 하였고, Haus Immendor는 해안에서 발생된 물결의 솔리돈 파를 형태화 하고 있다. Magdeburg Damaschkeplatz는 부지가 앉고있는 지리학적 특성으로 형태를 도출하였고, Klingelhofer Housing은 도시블럭의 시각을 발전시킨 주거단지이다. Monument and Memorial Site는 부지상황에서 일어난 역사적인 세 요소의 레이어를 배치하여 논리적으로 전개한 작품이며, Church of the year 2000은 성지순례의 성격을 건축물에 연관지어진 통로로서 신비감을 더해주고 있다.
따라서 1990년대의 아이젠만의 작품에서는 도시계획이나 단지계획에 관련된 작품들이 많이 도출되고 있으며, 여기에는 주로 과거의 흔적이나 역사를 변이된 현재나 미래에 반영하는 건축주제를 지니고 있다. 그리고 건축물에 내재된 주제를 적극적으로 폭로함으로서 건축에 존재하는 본원적 딜레마를 강력하게 규명하는 경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Groningen Music-Video Pauilion(1990)
방문객의 동선에 따라 스크린이나 영상을 통과하거나 간섭을 일으키면서 영사매체의 일부가 되어 체험을 하게되며, 입면에도 주사되는광선의 이미지를 체용함

Max Reinhardt Haus (1992)
독일고유의 우수한 기질과 미래의 상징적 포부를 결합시킨 미래지향적 사고를 상징. 이것은 다양한 단면들이 내포하고 있는 도회적 맥락으로 그 단면이 하나의 랜드마크로 압축됨.  

Nunotani Office(90-92) 지진의 영향으로 암반들이 겹치면서 생기는 표면파의 움직임을 은유적으로 표현. 오피스의 스직적 상징성을 새로운시각으로 해석.

Haus Immendorf(1993)
화가를위한 카페, 클럽, 스트디오, 사무공간으로 해변에 위치함. 솔리톤파의 물결을 따라 움직이면서 끊임없는 변화를 거쳐 소실과 재생을 교대로 반복하는 단일한 물의 형태.


Rebstack Park Master Plan(1990- 현재)
물체를 구성하는 요소를 주름으로 본 것으로, 크고 작은 그리드들의 단면을 부지경계나 부지에 압축시켜 확장된 위치에 따라 겹치고 펼치면서 전위된 도시구조의 가능성 제공.


Magdeburg Damaschkeplatz (1993)
압축된 층과 절단된 구역이라는 개념을 부지위에 쌓아올려 개념적 다이어그램을 탄생시키고, 다시 이 다이어 그램을 부지위에 중첩시키고 정해진 양측의 측면공간에 압축시킨 형태
 
Emory Center for the Arts(1991)
음악적 파장에 의한 개념다이어 그램시리즈를 건축물의 매스인 4개의 공연홀로 구분하고 넓은 복층식 로비를 통해 캠퍼스경계와 노천원형극장에 연결됨.

Klingelhofer Housing(1995)
도시의 스케일과 블록자체의 스케일로 부지를 바라보는 시각에서 유래됨. 도시 스케일의 시각에서는 형태과정을 통해 통일전 상태로 남아있는 주변부지를 정비하고, 블록자체의 시각에서는 주택과 대사관 관사들이 새로운 주거관계를 제시해준다.
   
Nordliches Derendorf Master Plan(1992)
공항 활주로와 가깝기 때문에 고도제한이 계획상에 고려되었고, 전파의 간섭을 일으키는 레이더와 라디오 패턴의 교차점을 감안하여 건축물의 형태결정.

Monument and Memorial Sitel(1996)
지면에서 3미터 내려간 레벨인 두곳의 유태인 거주지역 지도와 3미터 올라간 레벨인 1938년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합방지도의 윤곽을 컴퓨터를 이용한 방법론으로 유태인 지역과 합방지역 사이의 공간을 철저하게 탈바꿈 시킨 형태.
 
Bahnhofsbereich Friedrichstrasse(1992-1993)
부지가 지닌 특수한 역사적 특성에 맞게 변형된 틀을 제시하고 있으며, 그것이 지닌 특수한 형태적 컨택스트를 랜드스케이프와 건물, 과거와 미래, 개념과 현실이 서로 교감하는 역동적 배치.

Church of the year 2000(1996)
세속적 루트와 친교공간을 통항 교회적 루트의 두 개의 루트로 구분되며, 근접성과 거리감을 상징하는 교회의 본당은 양옆을 이루고있는 복도를 통해 교회의 순례여행의 통로를 제공한다. 이것은 빛과 그림자, 공간과 매스의 대비가 강조되면서 성체의 신비를 표현함.

Christy Rogers, 1998


 
❐.결론

HouseⅠ이후 70년대, 80년대 90년대의 작품특성을 근저로 하고 작품을 연대별로 분석한 것에서도 유추할 수가 있듯이

각 시대별에 따른 건축형태는 연대간의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며 발전되었다. 아이젠만의 건축형태에 나타난 구성원리는 그리드, 비례, 투사, 중첩의 개념으로 연대별 건축작품과 연관되어 나타났다. 그리고 형태구성에 나타난 특성으로는 결합유형, 구조기능, 전체에 대한 부분, 위계성, 공간과 형태로 나타났다. 초기작품이 그리드의 요소를 결합한 정형화된 형태에서 발전되어 그리드와 면의 결합·회전·삭제된 경향으로 변이 되었으며, 건축주제와 결합한 심층구조와 표면구조의 통사론적 건축언어로서 진화되고 발전된 자유로운 형태적 특성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심층구조와 표면구조는 노엄 촘스키(N. Chomsky)의 '변형생성문법' 이론의 영향으로 상당히 복잡한 표면구조를 지닌 문장들을 심층구조의 개념을 통해 간단히 설명하듯이 아이젠만의 건축언어는 이러한 심층구조와 표면구조를 이분화하여 재구성의 과정을 드러내는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아이젠만 건축의 형태론적 특성은 60년대 말기과 70년대 초기작품의 주택건축형식에서 나타난 르 꼬르뷔제와 주제페 테라니의 건축적 모티브에서 나타난 순수주의적 영향으로 그리드를 기본으로한 육면체의 형태로 출발하고 있다. 초기의 정형화된 형태에서 출발하여 80년대와 90년대의 다양한 패턴의 해체적 건축형태 창조는 우연성 또는 즉흥성에 의한 것이기보다는 자신의 건축철학에 관한 논리적 글쓰기였다. 이와 같은 사항은 "주어진 대상을 객관화하고 대중화하는데 필수적인 글쓰기로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한 르 꼬르뷔제"의 영향일 것으로 사료되며, 건축 형태와의 관계정립에 대한 탐구를 토대로 한 언어적 건축관의 결과임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아이젠만의 건축은 데리다의 해체주의 이론과 건축을 접목시켜 개념적인 해체를 시도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출처 : 건축가 :: 피터 아이젠만의 건축개념 (3.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