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 일반 갤러리 ■

(779)
전주 덕진공원 연꽃 및 연화정도서관 (2024.08.06.) 전주 덕진공원 德津公園  위치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덕진동면적 148,761㎡ (호수면적 포함)운영 전주시 덕진공원(德津公園)은 전북특별자치도전주시 덕진구 권삼득로 390에 위치한 공원이며,대표적 연꽃 군락지이다.시민공원이라고도 한다. 개요 고려시대에 형성된 자연호수가1978년 4월 시민공원결정고시에 의거하여 도시공원으로 조성되었다.대대적인 정비공사를 통하여 1998년부터 재개장하였으며2015년부터 2024년까지 10년 사업으로 덕진공원 리모델링 사업을 하고 있다이 일환으로 2022년 6월에는 노후화가 심한 연화정을 재건축하여연화정도서관을 개관하였다 시설 - 연화교 1980년에 준공된 철제 구조물인 연화교는2015년 정밀안전검사에서 D등급 판정을 받았고,2020년 12월 총사업비 60억 원을 들인..
GAM 컬렉션: 미래의 기억, 추상과 관객 - 경남도립도립미술관 (2024.08.05.) 《보이는 수장고 - 최정화 인류세》 전시 기간2024-06-21 ~ 2024-12-31전시 장소경남도립미술관 1층 경남도립미술관은 개관 20주년을 맞아 미술관 1층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보이는 수장고’ 전시를 처음으로 기획하였다. 일반적으로 미술작품은 온·습도 및 조도에 민감하여 밀실 방식의 수장 기능이 필요하다. 그러나 온·습도 및 조도에 크게 민감하지 않은 조각·설치 작품의 경우, 기존의 밀실 방식의 수장고에서 벗어나 좀 더 개방적인 ‘보이는 수장고’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람객에게 접근이 가능한 형태의 수장고를 전시 형태로 선보일 수 있다. 이번에 선보이는 소장품은 최정화 작가의 인류세>이다. 이 작품은 이곳에 옮겨지기 전, 미술관 앞마당에 세워졌던 야외 설치작품이다. 이 작품은 이번 ‘..
전혁림, 푸른 쪽빛 너머로 - 경남도립미술관 (2024.08.05.) 전혁림, 푸른 쪽빛 너머로     작품 보기오리가 있는 정물, 1970년대, 캔버스에 유채, 39x52cm, 경남도립미술관 소장직사각 과반, 1983, 도자기, 29×36×4cm, 경남도립미술관 소장달과 돛배, 1956, 캔버스에 유채, 41X53cm, 경남도립미술관 소장운하교, 2005, 종이에 석판, 41X30cm, 전혁림미술관 소장충무항, 2005, 종이에 석판, 41X30cm, 전혁림미술관 소장아침, 1950, 캔버스에 유채, 45.5X53cm, 전혁림미술관 소장민화적 풍물도, 2008, 캔버스에 유채, 162.1X227.3cm, 전혁림미술관 소장봄, 2005, 종이에 석판, 30X41cm, 전혁림미술관 소장꽃과 나비, 2005, 종이에 석판, 30X41cm, 전혁림미술관 소장새만다라, 2007,..
2024 함안 연꽃테마파크 - 17 (2024.07.26.) [ 함안 연꽃테마파크 ]      함안 관광명소인 연꽃테마파크는경남 함안군 가야읍 가야리 233의 1 일원의 천연늪지를 활용해 만든 자연친화적 테마공원이다.  지난 2010년부터 3년간에 걸쳐 조성됐다. 10만9800㎡에 달하는 이곳에는 홍련과 백련, 수련 등의 연꽃을 비롯해물양귀비, 물아카시아, 물수세미, 무늬창포, 좀개구리밥 등 다양한 수생식물이 공존한다.   연꽃은 홍련과 백련이 주를 이룬다.법수면 옥수늪에서 자생하는 토종연꽃인 ‘법수홍련’은 경주 안압지 연과 유전자가 동일한 신라시대 연이다. 키가 작고 은은한 연분홍색 꽃잎과 특유의 강한 향기를 품고 있다.지난 2007년 서울 경복궁의 경회루 연꽃 복원 품종으로 선정돼 서울로,2016년는 경북 울진의 지역명소인 연호정으로도 보내진 품종이다.   특..
장마속에 주남저수지 연꽃단지 개개비를 찾다 (2024.07.14.) 주남저수지 개개비  새벽부터 장맛비가 뿌리는 주남저수지 둑방과 연꽃단지에는 비안개가 자욱하고유독 개개비 노랫소리만 드 높다 철새도래지 창원 주남저수지에 여름철새 개개비가 찾아왔다 개개비는 꽃봉우리에 앉아서 쉴새없이 여름을 노래한다날씨가 더우면 연잎 밑에서 쉬기도 하고짝을 찾기 위한 '구애의 노래'를 목청껏 부른다 개개비는 동남아시아에서 월동하고번식을 위해 우리나라를 찾은 대표적인 여름 철새이다 몸 길이는 16~20 cm로서지저귀는 소리는 꽤 시끄러운 편이며 멀리까지 잘 퍼져나간다우리나라를 포함해 몽골 중부, 아무르 지역, 중국 동북부, 일본 등지에서 번식하고 인도차이나반도, 인도네시아, 필리핀 및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에서 주로 월동한다 멀리 앞산에 흰 구름이 간혹 피어오르고  개개비는 홀로 이꽃 저꽃을 옮..
고성 상리연꽃공원 ( 2024. 07.07. ) 고성군 상리연꽃공원  경남 고성군 상리면 척번정리에 위치한 상리 연꽃공원은사용할 수 없게 된 마을의 소류지를 활용, 약 2만 ㎡의 부지에 수련을 위주로홍련, 백련, 노랑어리 연꽃 등 갖가지 연꽃을 식재해 조성되었다 상리연꽃공원 중앙에는 트레이드 마크라고 할 수있는 큰 돌을 놓아 만든 운치있는 징검다리가 있어연못을 둘로 나누어 수련단지와 백련단지로 구분하여 감상할 수 있도록 했고연못 한가운데까지 데크로 연결된 정자, 지락정도 있다 연꽃공원의 규모는 그리 크지 않지만다양한 수련의 형태와 서식모습을 관찰하기에는 아주 좋은 곳이다상리연꽃공원 주변의 생명환경농업단지와 연계해시골들녘의 정취를 느낄 수 있는 생태탐방로도 조성되어 있다 고성 상리면에는 이무기 전설이 깃든  사찰인 와실사와 척번정리 조동마을 입구에 천상..
창원 주남저수지 생태공원 연꽃단지 (2024.07.06.) 주남저수지 생태공원 연꽃단지  철새도래지로 유명한 경남 창원시 의창구 동읍주남저수지 생태공원에 연꽃이 일제히 피기 시작했다.이달 초부터 2만8천㎡에 달하는 연꽃단지에 연꽃이속속 개화하고 있다 연꽃단지는 원래 논이었다.창원시는 철새 쉼터를 만들려고 농민들로부터 논을 사들여서봄부터 가을까지는 탐방객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하기 위해연꽃을 심었다. 철새가 많이 찾는 겨울에는연 줄기를 잘라낸 뒤 물을 채우고 무논을 만들어철새들이 쉬도록 하고 있다 창원시는 주남저수지가 전국 최대 철새도래지로 알려져방문객의 대부분이 동절기에만 집중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연꽃단지를 하절기에 주남저수지 대표적 브랜드화 함으로써사계절 방문하고픈 주남저수지의 이미지를 새롭게 만들었다. 또한 연꽃단지내 일부에는 수생식물과 수서곤충들이자연스..
2024 경남건축사대회 개최 - 소노캄 거제 (2024.06.27~06.28.) 2024 경남건축사대회  2024 경남건축사대회 행사가6월 27일(목) 오후부터 6월 28일(금) 오전까지 이틀간 거제도 소노캄 호텔앤 리조트에서 열렸다 대한건축사협회 김재록 회장, 거제시 관계자를 비롯한 내빈 및 경남의 500여명의 건축사들이 자리를 함께 했으며, 참가자들은 장마로 인한 불편한 날씨에도 불구하고 행사에 적극적으로 동참해 주제강연 워크숍과 화합을 다지는 시간을 가졌다 정일현 회장은 “이번 워크숍을 통해서경남 건축사의 화합과 자긍심을 고취하고 전문 종합예술인으로서의 자질과 소양 함양에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개최 목적을 밝혔다 이번 2024년 경남건축사대회는 주제강연 워크숍을 중심으로 주요현안문제 설명 및 협회 운영에 따른 제안․건의를 비롯하여 초청공연, 경품추첨,  화합의 시간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