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사는 고려·조선시대에 각 고을에 설치하였던 것으로 관사 또는 객관이라고도 한다. 객사는 고려 전기부터 있었으며 외국 사신이 방문했을 때 객사에 묵으면서 연회도 가졌다. 조선시대에는 객사에 위패를 모시고, 초하루와 보름에 궁궐을 향해 예(망궐례)를 올리기도 하였으며 사신의 숙소로도 이용하였다.
나주 금성관은 조선 성종 6∼10년(1475∼1479) 사이에 나주목사 이유인이 세웠다. 일제시대에는 내부를 고쳐 청사로 사용했던 것을 1976년 원래 모습에 가깝게 복원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앞면 5칸·옆면 4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가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양식이며, 칸의 넓이와 높이가 커서 위엄이 느껴진다. 『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금성관의 정문인 2층짜리 망화루도 함께 만들었으나 지금은 망화루의 현판과 내삼문만을 남산시민공원으로 옮겼다.
임진왜란(1592) 때의 의병장 김천일 선생이 의병을 모아 출병식을 가졌던 곳이며, 일본인이 명성황후를 시해했을 때도 이곳에서 명성황후의 관을 모셔 항일정신을 높이기도 하였다.
나주 금성관은 전남지방에 많지 않은 객사 중 하나로서 그 규모가 웅장하고 나주인의 정의로운 기상을 대표할 만한 건물로 손꼽히고 있다. (자료 : 문화재청)
금성관은 나주목의 객사건물이다. 객사관 고려∼조선시대때 지방궁실로써 임금을 상징하는 전패(殿牌)와 궐패(闕牌)를 모셔두고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고을의 관리와 선비들이 모여 망궐례(望闕禮)를 올리며 중앙에서 내려오는 관리들을 양쪽의 익사(翼舍)에서 유숙하게 하던 곳이다. 지방의 도읍지에 관아건물이 들어서면 일반적인 경우는 중심축선상에 동헌과 정문, 루문 등이 자리하고 주변에 육방관속의 건물과 내아들이 위치한다. 나주읍성내에는 목사의 내아(內衙), 관문(官門)인 정수루(正綏樓), 나주향교 등이 인근에 있다. 금성관 정문은 1966년에 나주 공원으로 이축해 갔다 한다.
금성관은 조선성종 6∼10년(1475∼1479) 사이에 목사 이유인(李有仁)이 건립했다 한다. 이후 선조 36(1603)에 크게 중수를 하고, 고종 21년(1884) 박규동 목사가 3창을 했다. 최근에 와서는 1963년 9월에 보수하였고, 다시 1976년에 완전 해체하여 거의 원형에 가깝도록 복원하여 오늘에
이루고 있다. 일제 강점기에는 창호·마루등 내부를 개조하여 나주군청 청사로 사용되면서 유리창문을 달아 쓰기도 했으나 현재는 본래의 모습을 찾았다.
금성관은 규모는 정면 5칸, 측면 4칸의 단층팔작지붕이다. 그러나 칸넓이나 높이가 다른 건물보다 크게 되어 정청으로서의 위엄을 더한다. 금성관의 공포형식은 익공형을 하고 있다. 원래 익공집은 궁궐이나 정전 등의 부속건물과 누각, 정자 등에 많이 사용되었다. 조선중기 이후부터는 목조건물에 있어서는 다포계와 주심포계가 혼용되다가 새로운 형태로 익공계 양식이 대두되었다. 금성관은 고흥의 존심당과 함께 익공형식으로 관아건물의 유사한 형식을 보여주고 있다.
내부는 모두 대청으로 꾸몄으며 우물마루를 깔았고, 대형의 막돌초석에 약간의 배흘림을 둔 두리기둥을 세웠다. 내부에는 10개의 내진고주(內陳高柱)를 세웠으며 기둥 위로는 주두(柱頭)를 얹고 창방을 걸었으며 주칸마다 소로 2개 화반 1구씩 배치하였다. 공포는 주심포계 익공식으로 살미첨자와 끝은 쇠서로 되었고 행공첨차를 두어 외목도리를 받게하였다. 가구는 내진고주 위로 대량을 걸고 그 위로 동자주를 놓은 다음 종량을 얹힌 9량가(樑架)로 되어 있다. 창호의 구성은 중앙 세칸은 4개의 빗살문으로 되었고 양쪽 퇴칸에는 빗살문 2개를 달았다. 측면 역시 빗살 창문으로 중앙 2칸은 4짝, 양편 2칸에는 두짝이다. (자료 : 문화재청)
금성관은 조선성종 6∼10년(1475∼1479) 사이에 목사 이유인(李有仁)이 건립했다 한다. 이후 선조 36(1603)에 크게 중수를 하고, 고종 21년(1884) 박규동 목사가 3창을 했다. 최근에 와서는 1963년 9월에 보수하였고, 다시 1976년에 완전 해체하여 거의 원형에 가깝도록 복원하여 오늘에
이루고 있다. 일제 강점기에는 창호·마루등 내부를 개조하여 나주군청 청사로 사용되면서 유리창문을 달아 쓰기도 했으나 현재는 본래의 모습을 찾았다.
금성관은 규모는 정면 5칸, 측면 4칸의 단층팔작지붕이다. 그러나 칸넓이나 높이가 다른 건물보다 크게 되어 정청으로서의 위엄을 더한다. 금성관의 공포형식은 익공형을 하고 있다. 원래 익공집은 궁궐이나 정전 등의 부속건물과 누각, 정자 등에 많이 사용되었다. 조선중기 이후부터는 목조건물에 있어서는 다포계와 주심포계가 혼용되다가 새로운 형태로 익공계 양식이 대두되었다. 금성관은 고흥의 존심당과 함께 익공형식으로 관아건물의 유사한 형식을 보여주고 있다.
내부는 모두 대청으로 꾸몄으며 우물마루를 깔았고, 대형의 막돌초석에 약간의 배흘림을 둔 두리기둥을 세웠다. 내부에는 10개의 내진고주(內陳高柱)를 세웠으며 기둥 위로는 주두(柱頭)를 얹고 창방을 걸었으며 주칸마다 소로 2개 화반 1구씩 배치하였다. 공포는 주심포계 익공식으로 살미첨자와 끝은 쇠서로 되었고 행공첨차를 두어 외목도리를 받게하였다. 가구는 내진고주 위로 대량을 걸고 그 위로 동자주를 놓은 다음 종량을 얹힌 9량가(樑架)로 되어 있다. 창호의 구성은 중앙 세칸은 4개의 빗살문으로 되었고 양쪽 퇴칸에는 빗살문 2개를 달았다. 측면 역시 빗살 창문으로 중앙 2칸은 4짝, 양편 2칸에는 두짝이다. (자료 : 문화재청)
'■ 전통건축 갤러리 ■ > 전 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주향교 대성전 (2012.09.) (0) | 2012.10.03 |
---|---|
나주 향교 (2012.09.) (0) | 2012.10.03 |
나주읍성 - 서성문 (2012.09.) (0) | 2012.09.27 |
나주읍성 - 남고문 (2012.09.) (0) | 2012.09.27 |
보성 이금재가옥 -2 (2012.05.) (0) | 2012.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