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함안군 이방실 장군 위업 추모 향례 봉행 ]
고려말 홍건적의 침입을 물리치고 나라를 구한 구국공신
충렬공 이방실 장군의 얼을 기리는 향례가
4월 13일 오전 10시 함안군 군북면 소포리 남강서원에서 열렸다
지역 유림을 비롯해 후손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향례는 경건한
제례의식으로 치뤘다
이방실 장군은 고려 후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함안(咸安)이고 함안이씨의 시조이다
함안군 여항면 출생으로 공민왕 때 수차례 홍건적의 침입을 물리치는 등
고려 오백 년 역사를 지킨 16공신의 한 사람으로서
함안을 대표하는 인물로 추앙 받고 있다
한편, 함안군은 이방실 장군을
함안을 대표하는 역사적 인물로 기리기 위해
충렬공 이방실 장군배 전국 궁도대회를 개최하는 등
장군의 위업을 알리는데 힘쓰고 있다
함안 남강서원은
구국공신 충열공(忠烈公) 이방실(李方實)장군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이방실 장군의 뜻을 기리기 위해 1842년(헌종 8) 후손들이
남강사(南岡祠)를 건립하여 매년 제를 지냈으나,
고종 때 훼철되어 이를 안타깝게 여기던 후손들이
1944년 옛 터에 복원하였다.
그 후 1998년 정부보조금으로 충렬사와 남강서원을 중건하여
현재까지 장군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이방실 장군 (李芳實)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후기 상장군, 추밀원부사, 중서시랑평장사 등을 역임한 관리. 무신.
출생 연도
1298년(충렬왕 24)
사망 연도
1362년(공민왕 11)
본관
함안(咸安)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호군(護軍)|상장군|추밀원부사|중서시랑평장사
개설
본관은 함안(咸安). 조부는 함안이씨 시조인 이상(李尙)이고, 아버지는 이원(李源)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충목왕이 원나라에 있을 때 호종(扈從)한 공으로 왕이 즉위하자 중랑장이 되었고, 이어 호군(護軍)이 되었으며, 아울러 전(田) 100결(結)도 받았다.
1354년(공민왕 3) 대호군이 되어 용주(龍州)의 군사를 이끌고 선성(宣城)에서 민란을 일으킨 다루가치[達魯花赤] 노연상(魯連祥) 부자를 쳐서 진압하였다.
1359년 위평장(僞平章)·모거경(毛居敬) 등의 홍건적이 4만의 병력을 거느리고 의주, 정주(靜州)·인주(麟州) 등을 함락한 뒤 인주에서 웅거하자, 안우(安祐)·이음(李蔭)·이인우(李仁祐) 등과 함께 철주(鐵州)에서 이를 격퇴시켰다.
이듬해 상장군이 되어 다시 철화(鐵化)에서 적을 격퇴하였고, 뒤이어 상만호가 되어 함종(咸從)에 들어온 적을 배후에서 공격하고 고선주(古宣州)에서 접전한 끝에 의주 쪽으로 퇴각시켰다.
홍건적 격퇴의 공으로 추성협보공신(推誠協輔功臣)에 봉해지고 추밀원부사에 올랐다. 뒤에 홍건적이 배 70척으로 서해도에 침입했을 때 풍주(豐州)에서 물리쳐 그 공으로 옥대(玉帶)와 옥영(玉纓)이 하사되었다.
1361년 사유(沙劉)·관선생(關先生) 등의 홍건적이 20여만의 무리를 이끌고 압록강을 건너 삭주 등지에 쳐들어오자, 추밀원부사로서 서북면도지휘사가 되어 상원수 안우, 병마절도사 김득배(金得培), 지휘사 김경제(金景磾) 등과 함께 개주(价州: 지금의 개천)·연주(延州: 지금의 영변)·박주(薄州: 지금의 삭천) 등지에서 요격했다. 그러나 안주와 절령(岊嶺)에서 참패해 공민왕은 복주(福州: 지금의 안동)로 피난하고 개경은 함락되었다.
1362년 총병관(摠兵官) 정세운(鄭世雲)·김득배·안우·안우경(安遇慶)·최영(崔瑩)·이성계(李成桂) 등과 함께 개경을 수복하고 사유·관선생을 죽였다. 이어 중서시랑평장사에 올랐으나 김용(金鏞)의 간계에 의해 공민왕의 명을 받은 박춘(朴椿)정지상(鄭之祥) 등에게 살해되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집필자 - 박성봉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함안 이씨 약사
한자 : 咸安 李氏
이칭/별칭 : 파산 이씨
지역 : 경상남도 함안군
집필자 : 류진희
[정의]
이상을 시조로 하는 경상남도 함안 지역의 토착 세거 성씨.
[개설]
함안 이씨는 이상(李尙)을 시조로 하고 고려조부터 함안에 토착하여 대대로 살아온 성씨이다. 이를 '파산 이씨(巴山李氏)'라고도 한다. 함안의 성씨에 관한 기록으로 가장 오래된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와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 공통으로 이씨·조씨(趙氏)·채씨·윤씨·유씨(劉氏)·정씨(鄭氏)·최씨·김씨·강씨가 기록되어 있다. 여기서 ‘이씨’는 그 시기상으로 함안 조씨보다 먼저 함안에 세거했던 함안 이씨를 지칭한 것으로 여겨진다.
[연원]
고려 고종 때 광록대부(光祿大夫)에 오르고 파산군(巴山君)에 봉해진 이상을 시조로 삼고 있다. 고려 초기 주부동정(主簿同正)을 지낸 이원서(李元敍)를 원조(遠祖)로 하여 이탕취(李湯就)·이광주(李光柱)·이용기(李龍起)를 거쳐 시조 이상으로 이어졌다고 하나 상계(上系)는 실전되어 고증할 수 없다. 시조 이상의 두 아들 이청(李淸)과 이원(李源)은 각각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와 판도판서(判圖判書)를 지냈다. 이청의 아들은 문화시중(門下侍中)을 지낸 이홍(李弘)이고, 충의공이원의 아들은 고려말 상장군을 지낸 충렬공이방실(李芳實)[? ~ 1362]이다. 이방실은 홍건적을 격퇴하여 추성협보공신(推誠協輔功臣)에 봉해지고 추밀원 부사가 됨으로써 함안 이씨를 명문의 반열에 올렸다.
조선조에 이르러 8세 이미(李美)는 명관으로 대사성(大司成)을 지내고 병조 판서에 추증되었다. 아들 이인형(李仁亨)·이의형(李義亨)·이예형(李禮亨)·이지형(李智亨) 4형제가 모두 문과에 급제하였다. 이인형은 문과에 장원하여 대사헌을 역임하였으나, 김종직(金宗直)[1431~1492]의 문인으로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 당하였다. 이의형은 집의를, 이예형은 예조 좌랑을, 이지형은 대사간을 지냈다. 이인형의 셋째 아들 이령(李翎)은 홍문관 수찬(修撰)으로서 기묘사화 때 피살되어 기묘명현(己卯明賢)에 들었으며, 이의형의 넷째 아들 이익(李翊)도 문과에 급제하여 사간원 사간 등을 역임하였다. 9세 양간공(襄簡公)이세응(李世應)은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분의정국공신(奮義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호조 참판·평안도 관찰사 등을 지냈다. 이세응의 세 아들 여주 목사 이진(李震)·대사간 이림(李霖)·충훈부경력 이제(李霽)도 함께 을사사화에 피화(被禍)되었다.
그 밖의 인물로 운포(雲圃)이달(李達)·송암(松巖)이복(李福)·신천재(新川齋)이응성(李應星) 등은 임진왜란 때 공을 세워 모두 선무원종공신으로 책훈되었다. 경상도 수군우후 이엽(李曄)은 포로가 되어 일본에 끌려갔으나 끝까지 굴하지 않고 끝내 자진하여 『국조인물고』에 실렸다. 11세 이석형(李碩亨)은 흡곡 현령(歙谷縣令)으로 있던 중에 아들 이민(李旻)·이승(李昇)·이안(李晏) 삼 형제와 더불어 네 부자가가 왜군과 격전을 벌이다가 이민·이승과 함께 세 부자가 전사함으로써 양대에 걸쳐 삼정려(三旌閭)가 내려졌다. 함안 이씨 집안은 가히 조선 전기 전국적인 명문으로 부상하였음을 알 수 있다.
[입향 경위]
원래부터 함안에 거주했던 토착 사족이다. 『함안 이씨 세보』임술[1862] 중간본에는 고려 초기 이원서로 부터 함안에 거주해 온 것으로 되어 있다. 한강(寒岡)정구(鄭逑)[1543∼1620]가 편찬한 『함주지(咸州誌)』에도 함안현 병곡면 내동리 두봉(兜峰)[지금의 경상남도 함안군 여항면 내곡리]에 세거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현황]
2000년도 통계청 인구 조사에 의하면 함안 이씨는 총 1만 1803가구에 3만 7597명이며, 경상남도에 1만 328명이 거주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 대부분이 고성에 모여 살고 있으며, 함안에는 105가구에 270명이 살고 있다. 현재 함안에 세거하고 있는 자손은 시랑공파 이의형의 증손인 계공랑(啓功郞) 이세평(李世平)의 후손으로 함안군 여항면 주서리와 가야읍 말산리에 세거하고 있다. 이지형의 5세손 이몽서(李夢瑞)의 후손들은 대대로 함안군 산인면 운곡리 어현동(魚峴洞)에 세거해 왔다. 충의공파에서는 이천공(伊川公)이돈흡(李墩洽)이 지금의 함안군 군북면 소포리로 이거한 후 자손들이 소포리와 중암리 등지에 세거하였다. 오늘날에도 가야읍과 산인면 등지에 거주하면서 이방실 장군의 사당 충렬사를 수호하며 봉사해 오고 있다.
[관련 유적]
경상남도 고성군 마암면 석마리에 위계 서원(葦溪書院)이 있다. 이인형·이의형·이익인(李翊仁)·이현(李顯)·이응성 등의 위패를 모신 문중 서원으로, 1844년(헌종 10)에 창건되었다. 1869년(고종 6)에 흥선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으나, 1964년에 다시 세웠다. 이방실 장군의 영정이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소포리남강 서원(南岡書院)충렬사에 봉안되어 있다. 또한 이방실 장군 기마 동상이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말산리함안 공설 운동장 앞에 있다. 이 외에도 경상남도 함안군 여항면 내곡리 봉곡에 이방실 장군 태역비(李芳實將軍胎域碑)가 있다.
[참고문헌]
『함안 이씨 세보』임술(1862) 중간본
『함안 이씨 대동보』(1986)
『함안 이씨 약사(咸安李氏略史)』(함안 이씨 종친회, 2003)
『함안의 인물과 학문』(함안군·함안 문화원, 2005)
『함안 군지』(함안 군지 편찬 위원회, 2013)
(글 출처 : 디지털함안문화대전)
'■ 일반 갤러리 ■ > 전시회.행사.공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해 봉하마을 <깨어있는 시민문화체험전시관> - '김대중 그리고 노무현 특별전' 개최 (2024.05.04.) (0) | 2024.05.06 |
---|---|
지금 경남 미술: 산 섬 들, 오후 세 시 - 경남 도립미술관 (2024. 04.) (3) | 2024.04.26 |
무아지송 이성휘 소나무 사진전 - 김해문화의전당 윤슬미술관 (2023.12.29.) (2) | 2023.12.30 |
제46회 경남미술대전 전시회 - 성산아트홀 (2023.12.10.) (0) | 2023.12.10 |
문충남 선생 팔순 사진전 (2023.11.25.) (0) | 2023.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