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346) 썸네일형 리스트형 괴산 김기응가옥 -2 (2006.08) 낮은 동산을 배경으로 양지바르고 터 좋은 곳에 자리잡고 있는 집으로 '칠성고택'이라고도 부른다. 안채는 조선 후기(1800년대 초반)에 지은 것이고 사랑채, 중문채, 대문채 등은 나중에 지은 것들이라 한다. 대문채, 중문채, 사랑채, 행랑채, 안채, 광채, 헛간채로 구성되어 있는 규모가 매.. 창덕궁 연경당-1 (2004.10, 2005.03) 연경당延慶堂은 순조 28년(1828년) 당시 왕세자였던 효명세자의 청으로 민간의 생활을 이해하기 위하여 일반 사대부집을 모방하여 궁 안에 지은 유일한 민가형식의 아흔 아홉간 살림집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제규모는 120간 반이고 엄청난 규모와 별채의 서재를 거느린 점 등을 .. 봉화 청암정 - 1 (2004.10.) 거북모양의 너럭바위 위에 세운 청암정(靑巖亭)과 마을 앞을 흐르는 석천계곡에 있는 석천정(石泉亭)은 유곡마을의 대표경관으로, 주변의 울창한 송림(松林), 계류(溪流), 아름다운 수석(水石) 등 자연경관과 조화를 이루는 뛰어난 명승지이다. 유곡(酉谷)마을은 1380년 충재 권벌의 선조가.. 과천 국립현대미술관 01. 일본 후쿠오카. 카널시티 (1996.06.) 호주 시드니 (1998.05.) 수원성(1988.07) 수원성은 조선 정조 18년(1794)에 정조의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을 양주에서 수원으로 옮기면서 짓기 시작하여 정조 20년(1796)에 완성한 성곽이다. 중국성의 모습을 본뜨기는 했지만 과학적인 방법으로 성을 쌓아 훨씬 발달한 모습을 하며 한국 성곽을 대표하는 뛰어난 유적이다. 이 문은 수원성의 남쪽문.. 대전 남간정사(2004.12) 낮은 야산 기슭 숲이 우거진 골짜기에 자리하고 있는 남간정사는 조선 중기의 대학자인 우암 송시열(1607∼1689)이 지은 것이다. 우암은 소제동에 살 때 서재를 짓고 능인암이라 하여 학문을 연마하였다. 숙종 9년(1683) 능인암 아래에 이 건물을 지었는데, 많은 제자를 기르고 그의 학문을 대.. 이전 1 ···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