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의 실학자인 다산 정약용(1762∼1836) 선생이 유배되어 11년간 머물면서 많은 책을 저술했던
곳이다.
이 곳에서 11년 동안 머물면서 『목민심서』와 『경세유표』, 『흠흠신서』를 비롯한 500여 권에 달하는 많은 저서를 남겼다. 그리고 이를 총정리한 『여유당전서』는 ‘철학’, ‘법제’, ‘종교’, ‘악경’, ‘의술’, ‘천문’,‘측량’, ‘건축’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장래에 도움이 될 학문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는 세계적으로도 학술적 연구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옛 초당은 무너져서 1958년 강진의 다산유적보존회가 주선하여 건물이 있던 자리에 지금의 초당을 다시 지은 것이다. 작고 소박한 남향집으로 ‘다산초당’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초당 뒤 언덕 암석에는 다산이 직접 깎은 ‘정석(丁石)’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으며, 초당 왼쪽으로 자그마한 연못이 있다. 앞 뜰에는 차를 달였다는 ‘청석’이 있고, 한 켠에는 ‘약천(藥泉)’이라는 약수터가 있어, 당시 다산의 유배생활을 짐작하게 한다. (자료-문화재청)
'■ 전통건축 갤러리 ■ > 전 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진 사의재 (2010.09.12) (0) | 2010.10.07 |
---|---|
강진 백련사 (2010.09.12) (0) | 2010.10.07 |
강진 월남사지-1 (2010.09.12) (0) | 2010.10.06 |
구례 화엄사 - 1 (2010.05.) (0) | 2010.08.17 |
구례 운조루 - 2 (2010.05.) (0) | 2010.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