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례 천은사
천은사(泉隱寺)는 전라남도 구례군 광의면 방광리에 위치한 천년 고찰로, 신라 흥덕왕 3년(828년)에 인도에서 온 승려 덕운조사가 창건했습니다. 처음에는 경내 샘물이 병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있어 ‘감로사(甘露寺)’로 불렸습니다. 이후 여러 차례 중창과 화재를 겪으며 현재의 이름인 ‘천은사’로 바뀌었으며, 지리산 화엄사와 쌍계사와 함께 지리산 3대 사찰로 꼽힙니다.
역사와 설화
창건과 초기 역사
천은사는 신라 말 도선국사와 고려 중엽 보조국사에 의해 중창되며 사세가 크게 번창했습니다. 고려 충열왕 때는 ‘남방제일선찰(南方第一禪刹)’로 불릴 만큼 많은 선승들이 수행하던 중심지였습니다.
조선시대와 재건
조선시대 임진왜란으로 사찰이 전소되었으나, 광해군 2년(1610년)에 혜정선사가 중건하고 숙종 5년(1679년) 조유선사가 다시 중수하면서 감로사에서 천은사로 이름을 변경했습니다. ‘샘이 숨었다’는 뜻의 이름은 샘가에 나타난 큰 구렁이를 죽인 후 샘물이 솟지 않게 된 전설에서 유래합니다.
근현대
영조 49년(1773년) 화재로 건물 대부분이 소실되었지만, 혜암선사가 극락보전을 포함한 주요 건축물을 중창하며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최근에는 사찰 입장료 폐지와 함께 ‘상생의 길’을 조성하며 지역 관광명소로 자리 잡았습니다.
문화재 및 건축물
천은사는 다수의 보물급 문화재를 보유하며, 건축적으로도 중요한 가치를 지닙니다.
극락보전 (보물 제2024호)
영조 50년(1774년)에 혜암선사가 중창한 건물로, 정면 3칸, 측면 3칸 팔작지붕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다포식 건축 양식과 내부 고주(高柱)의 안정적 설계가 돋보이며, 아미타불을 주불로 모십니다.
불화 및 금동불감
천은사는 보물 제924호, 제1340호, 제1888호 등 불화 3점과 금동불감(보물 제1546호)을 소장하고 있습니다. 이들 유물은 조선 후기 불교 미술의 정수를 보여줍니다.
수홍루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 촬영지로 유명하며, 늦가을 풍경과 어우러져 많은 관광객이 찾는 명소입니다.
주요 행사 및 활동
템플스테이
천은사는 템플스테이를 운영하며 사색과 힐링을 원하는 방문객들에게 평온한 시간을 제공합니다. 푸른 산과 맑은 계곡이 어우러진 환경 속에서 명상과 참선을 체험할 수 있습니다.
지리산 재즈 페스티벌
매년 봄과 여름에 열리는 재즈 축제는 세계 정상급 아티스트들이 참여하며, 음악을 통해 힐링과 영성을 제공합니다. 특히 '고독(Solitude)'을 슬로건으로 한 공연은 관객들에게 깊은 감동을 선사합니다.
건축적 특징
1. 규모와 구조
- 정면 3칸, 측면 3칸 규모
- 팔작지붕 형태
- 다포계 양식 사용
2. 건축 기법
- 내부고주와 후면 내부공포의 유기적 구성
- 내부고주 상부에서 대량과 툇보를 일체화하여 구조적 안정성 강화
- 제공 살미의 판재화와 일체화
3. 장식 요소
- 초화문(草花文)과 봉두(鳳頭)를 새긴 화려한 공포 형식
- 용두와 용미를 조각한 안초공 사용
- 섬세하고 화려한 반자와 보개
4. 조각 기법
- 불교 장엄에 우수한 조각 수법 적용
이러한 특징들은 18세기 말 다포식 건축의 전형을 잘 보여주며,
조선 후기 불교 건축의 뛰어난 예시로 평가됩니다.




일주문 현판
천은사 일주문의 현판에는 '지리산천은사'(智異山泉隱寺)라고 쓰여 있습니다. 이 현판은 조선의 4대 명필가 중 한 사람인 원교 이광사(圓嶠 李匡師, 1705~1775)가 작성했습니다.
이 현판의 글씨체는 '수체'(水體)라고 불리는 특별한 서체로, 마치 물이 흐르는 듯한 느낌을 줍니다. 이 글씨체를 사용한 이유에 대해서는 흥미로운 이야기가 전해져 옵니다:
천은사에 화재가 자주 발생하자, 이를 막기 위해 이광사가 물과 같은 글씨체로 편액을 써서 걸었다고 합니다.
이 현판을 걸고 난 후로는 더 이상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신기한 이야기가 전해져 옵니다.
현재도 일주문 아래에서 가만히 귀를 기울이면 현판 글씨에서 신비로운 물 흐르는 듯한 소리가 들리는 것 같다고 합니다. 이 현판은 천은사 일주문의 독특한 특징 중 하나로, 사찰의 역사와 문화적 가치를 더해주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 전통건축 갤러리 ■ > 전 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통건축-1034. 구례 운조루(9) - 적선지가 필유여경(積善之家 必有餘慶) (2025.03.15.) (1) | 2025.03.23 |
---|---|
전통건축-1028. 구례 운조루(8) - 나누며 산다 (2024.12.28.) (5) | 2025.01.03 |
곡성 두가헌 한옥펜션 (2024. 03.) (1) | 2024.03.09 |
강진 무위사 - 3 (2024. 03.) (0) | 2024.03.08 |
화엄사 사사자석탑 (2023. 03.) (0) | 2023.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