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전통건축 갤러리 ■/경 북

안동 하회마을 - 4 (2022.04.02.)

 

 

 

 

 

 

 

 

 

 

 

안동 하회마을

 

 

[ 정의 ]

 

13세기 고려 말 전서 류종혜柳從惠가 이곳에 자리를 잡은 이후 풍산류씨豊山柳氏들이 지금까지 살아온 씨족마을.

 

[ 개관 ]

 

 안동 하회마을은 풍산류씨豊山柳氏 집성촌으로, 13세기 고려 말 전서 류종혜가 이곳에 자리를 잡으면서 시작되었다. 하회마을에 터를 잡기 전, 마을에는 허씨와 안씨 일가가 살았다. 하회마을은 화산 기슭이 아닌 끝자락이 서쪽 화천(낙동강)으로 흐르는 지맥 위에 화천이 마을의 삼면을 감싸 흐르는 곳에 터를 잡았다. 풍산류씨의 하회마을이 번창하게 된 시기는 류종혜의 5세손인 입암立巖 류중영柳仲郢(1515~1573)과 입암의 두 아들 겸암謙唵 류운룡柳雲龍(1539~1601), 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1542~1607) 때부터이다. 마을이 들어설 자리는 당시 울창한 숲이었으며, 주변은 웅덩이와 습지로 되어 있었다. 이후 하회마을은 입향조 류종혜가 터를 잡은 뒤 지형적으로 낮은 곳을 메워 터를 확장하였다. 하회마을은 배산임수의 보편적 풍수 관점에서 터를 잡지 않고 주변의 자연경관과 지리체계를 고려해 터전을 잡았다. 그리고 마을의 건축물들이 위계질서에 따라 종택에서 소종가로 분가하면서 씨족마을의 면모를 갖추었다. 현재 하회마을의 종가를 비롯한 여러 건축물들은 이 마을의 인문지리적 환경과 자연환경을 품으면서 개별적으로 독특한 경관을 소유하고 있다.

 

 

 

 

 

 

 

 

 

 

 

 

 

< 만송정 숲 >

 

 

 

 

 

[ 내용 ]

 

- 마을의 전개 : 하회마을은 가세가 번창하면서 양진당과 충효당을 건립한 후 서애 류성룡의 후손들이 주일재와 남촌댁을 지어 남동쪽으로 주거공간을 확장하였다. 이후 하회마을은 동측으로 하동고택, 류성하 가옥, 류시광 가옥 등이 들어서면서 남촌지역 주거공간을 갖추었다. 마지막으로 하회마을은 삼신당 당나무를 등지고 북촌댁과 주변 가옥, 북촌댁에 딸린 가랍집을 지으면서 주거지를 북쪽지역으로 확장하였다. 이로써 하회마을은 삼신당의 당나무를 중심으로 동서남북의 모든 방향을 취할 수 있는 주거군을 형성하였다. 이후 하회마을은 높은 자리에 터를 잡은 고택 중심으로 강변과 농경지, 진입로 쪽으로 확장하게 된다. 그리고 하회마을은 강변을 따라 심은 소나무로 둘러싸여 있다.

 

 일제강점기 이후 근대기 하회마을은 면내 행정 중심지이면서 물류 집산지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또한 1919년에 개교한 풍남국민학교는 면사무소와 지서가 이주한 이후 역사가 가장 오래 된 교육시설 역할을 하였다. 하회마을에는 일제강점기 초기 300호에 가까운 가옥이 있었고, 1979년 조사로는 160호 정도가 있었다. 근대기의 하회마을은 외부의 요구로 마을의 경관과 질서가 바뀌기 시작하였다. 가장 큰 요인은 일제에 의한 국민학교(초등학교) 및 면사무소, 지서, 교회 등 공공시설 신축과 1934년 홍수로 인한 가옥 멸실이었다. 새로운 근현대 건축물의 등장과 기존 전통가옥의 멸실로 하회마을의 경관 및 공간 구조는 큰 변화를 겪게 되었다. 그리고 현대적 설비인 전기의 공급으로 생활문화가 점진적으로 근대화되었으며, 특히 1960~1970년대에 새마을운동으로 주변 경관이 바뀌기 시작하였다.

 

 1970~1980년대 농촌지역의 이농으로 하회마을은 빈집이 급증하였고, 이들 공가는 자연적으로 소멸하여 공대지로 바뀌었다. 그리고 새마을운동, 농경지 정리, 전기 도입 등은 하회마을의 주거환경 변화를 촉진시켰고, 지붕 재료의 변화 등으로 마을 경관이 빠르게 바뀌었다. 하회마을은 1978년에 시멘트 양식 기와와 슬레이트를 올린 가옥들이 건립되기 시작하였다. 2002년 이후 하회마을은 마을 보존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노력과 마을 주민의 의지로 신축과 증축 건물이 늘어났다. 하회마을은 1980 12 30일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23호로 지정되었다가 1984 1 10일 국가지정 중요민속자료 제122호로 변경 지정되어 중앙정부가 중점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하회마을은 2010 7 31일 경주 양동마을과 함께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하회마을은 주민의 생활과 관련된 시설물, 관광객을 위한 숙박 및 판매 시설과 이와 관련된 설치물과 관리시설 등이 기존 경관을 바꿔 놓기 시작하였다. 마을 내 주차시설과 보관시설 부족으로 인해 방치된 차량과 농기계 등도 가옥 주변의 경관을 깨뜨리고 있다.

 



 

 

 

 

< 원지정사 >

 

 

 

 

 

 

- 마을의 공간구조 : 마을 및 건축 공간에는 어느 곳에서나 볼 수 있는 보편적 가치와 그들만의 고유한 가치가 있다. 또한 유·무형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하회마을은 마을 동쪽의 화산 자락으로 낙동강이 흘러 돌아가면서 만든 퇴적층에 자리하고 있다. 마을의 이름인 하회河回 강이 휘돌아 흐른다라는 뜻이다. 이는 낙동강이 마을의 삼면을 크게 휘감으며 흐르는 데서 유래하였다. 하회마을의 지형은 위에서 내려다보았을 때 산과 강이 감싸 도는 모습이 각각 태극형太極形을 이루고 있다고 해서 산태극수태극이라고 불린다. 마치 연꽃이 물 위에 떠 있는 것 같은 모양이라 해서 연화부수형蓮花浮水形이라고도 한다. 또는 배가 앞으로 나아가는 모양과 같다고 하여 행주형行舟形이라고도 부른다.

 

 안동 하회마을은 종택 및 가옥의 주생활 영역, 상당과 중당과 삼신당, 주변 자연 경관인 화산, 화천, 만송정, 부용대의 의식 영역, 농경지의 생산활동 영역으로 나뉜다. 화천은 동에서 서쪽으로 흐르는 낙동강의 본류로 남쪽과 서쪽, 북쪽 면을 휘감아 흐르고 있다. 그리고 마을 주변은 크고 작은 산들이 주변 경관을 구성하고 있으며, 마을 동쪽에 화산이 있다. 따라서 하회마을은 동쪽을 제외한 남쪽, 북쪽, 서쪽 면이 화천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하회마을의 주산인 화산이 마을의 동쪽 농경지 너머에 있으므로 하회마을의 토지이용은 일반적인 전통마을과 달리 농경지가 화산과 마을을 연결하고 있다. 마을과 농경지는 1981년 조성된 남쪽 제방의 보호를 받고 있다. 하회마을을 향한 지맥은 화산에서 서쪽을 향한 산 능선을 따라 흐른다. 첫 능선 위에는 상당이 있고, 또 다른 남쪽 능선 끝자락에 중당이 있다. 그리고 마을을 향한 지맥은 중당 지맥의 남쪽 능선을 따라 흐른 후 농경지를 거쳐 마을을 지나간다.

 마을을 향한 지맥은 생산활동 영역인 농경지를 남측과 북측으로 양분한 후 마을 속으로 휘어 돌아 들어가면서 마을의 독특한 지형을 만들었다. 마을 속으로 흐르는 지맥의 능선과 지맥이 흐르는 주변에는 가옥과 삼신당 그리고 마을 길 등이 있다. 마을의 주생활 영역은 지맥 흐름으로 높낮이가 달라 다양한 지형 조건을 갖고 있다. 초기에 터를 잡은 과거 사람들도 분명히 이런 지형 흐름을 인식하였다.

 

 

 

 

 

< 만세송 >

 

 

 

 

 

 

 

 

 

 

 

[ 건축 공간]

 

1) 누정건축 : 하회마을은 조선시대 씨족마을로, 양반들의 생활과 가치를 담고 있는 공간이 잘 보전되어 있는 마을이다. 하회마을은 유교문화가 살아 있는 종가의 살림집, 정사 및 정자, 서원 등 역사적 건축물들을 다른 마을에 비해 많이 보유하고 있다. 이 외 마을은 인문적으로 빼어난 인물들을 많이 배출하였다. 그들의 학문적 깊이와 발자취를 읽을 수 있는 전적, 고문서, 문집 등이 전해오고 있으며, 주민의 생활문화와 민속신앙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양반과 평민 계층의 무형유산이 오늘날까지 잘 전승되고 있다.

 

 유·무형의 문화유산 중 의식영역에 속하는 유산은 양반의 가치관과 자연관, 의식세계를 엿볼 수 있는 누정건축과 서원건축, 민속신앙 관련 건축물들이다. 특히 누정건축과 서원건축은 주변의 수려한 자연경관을 이용하여 독특한 건축 공간을 구현한다. 하회마을의 누정건축으로는 겸암정사, 빈연정사, 옥연정사, 원지정사가 있으며, 서원건축으로는 화천서원과 병산서원이 있다.

 

 겸암 선생은 부용대 남쪽의 겸암정사와 마을 내 빈연정사를 지었고, 서애 선생은 부용대 동쪽에 옥연정사와 마을에 원지정사를 지었다. 특히 겸암정사와 옥연정사는 산과 강이 주변을 감싸고 있으므로 조경을 할 필요가 없을 정도이다. 그리고 이들 건물은 강 건너 만송정과 마을, 멀리 화산이 또 다른 경관을 만들고 있기에 건물 내에 조경하기보다 외부의 경관을 잘 받아들이는 구조이다. 마을 내 원지정사와 빈연정사는 담장 너머로 만송정과 화천, 부용대 그리고 겸암정사와 옥연정사를 바라보고 있다. 따라서 이들 정사와 정자 주변의 자연경관은 이들 건물의 가치를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이곳을 자주 사용하였던 사람들의 가치관과 자연관을 엿볼 수 있는 요소 중 하나이다.

 

2) 서원 관련 건축 공간 : 하회마을에 서원은 병산서원과 화천서원 두 곳이 있다. 병산서원은 풍산류씨 가문의 서당인 풍악서당이 전신이다. 풍악서당은 원래 풍산에 있었으나 1572년 서애 류성룡이 31세 때 후학 양성을 위해 현 위치로 옮겼다. 서애 선생 사후 1614년에 서애 류성룡을 흠모하던 제자들과 유학자들이 서애 류성룡을 모시는 사당 존덕사를 세우고 강학과 제향 공간을 모두 갖추면서 서원으로 격상되었다. 서원은 하회마을의 주산인 화산의 동남쪽 경사면에 있다. 서원 앞으로 낙동강이 흐르고 강 건너에는 병산이 있다. 병산은 앞산이 병풍처럼 펼쳐진 형상을 하고 있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병산서원의 배치는 경사진 대지를 적절히 이용한 터 위에 자리한 건물들로 구성되어 있다. 정문누각강당이 중심축을 이루고 있으며, 이 축 뒤쪽에서 동쪽으로 약간 벗어난 곳에 사당 존덕사가 있다. 따라서 병산서원은 전면에 개방형 누각을 조성하여 외부의 자연경관을 마음껏 즐긴 영남지방 대표 서원이다. 병산서원은 서원과 주변 자연이 만들어 내는 아름다운 경관으로 유명하다. 특히 만대루에서 바라본 병산과 낙동강의 경치는 일품이다. 이들 경치를 노래한 <병산 10>이라는 시도 있다.

 

 화천서원은 겸암 류운룡을 기리기 위해 지방 유림이 1786년에 세운 사당 경덕사에서 시작되었다. 1802년에 강당인 숭교당을 짓고 1822년에 문루인 지산루를 지으면서 서원 모습을 갖추었다. 화천서원은 부용대 동쪽 산기슭에 자리 잡은 옥연정사의 동북쪽에 있다. 서원 이름은 부용대 앞을 흐르는 낙동강 이름인 화천을 딴 것이다. 화천서원은 1868년 흥선대원군이 내린 서원철폐령으로 강당과 살림집으로 쓰인 주소만 남고 헐려 한동안 화천서당으로 불리다가 1994년 가을에 복설되었다.



 

 

 

< 양진당 >

 

 

 

 

 

 

 

 

 

 

 

 

 

 

 

 

 

 

 

 

 

 

 

3) 민속신앙 공간 : 과거 한국의 마을에는 마을을 지키는 신에게 제사를 올리는 민속신앙 관련 전통이 있었다. 마을 사람들이 제관이 되어 주관하는 제사인 동제와 기타 의식에는 연극이나 놀이 등의 오락적 요소가 포함된다. 동제는 주민 간 결속과 공동체 의식을 강화한다. 하회마을의 동제는 매년 정월대보름과 사월 초파일에 행한다. 정월대보름 밤에는 상당(서낭당)과 중당(국신당, 국시당)에서 동제를 지내고 이튿날 아침 삼신당에 제를 올린다.

 

 제의는 아침 8시경 상당에서 시작한다. 상당 제물은 그대로 중당으로 옮겨 사용하고 중당에서 음복한다. 상당은 서낭당 김씨 할매라고도 부른다. 서낭당은 하회의 터주로, 하회별신굿의 신앙 대상이기도 하다. 이렇게 서낭당이 온전하게 남아 있고 수백 년 전의 제의적 전통에 따라 동제가 이루어지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중당은 국사당이라고도 하며, 서낭당에 오르는 화산 기슭 오른편에 있다. 삼신당은 마을 한가운데에 있다. 수령이 600여년 된 느티나무이다. 상당은 화산에서 마을로 흐르는 능선 위에 단칸 규모의 건물을 지어 사용하고 있고, 상당의 사면은 산의 나무숲으로 둘러싸여 있다. 중당은 화산의 산자락과 농경지가 만나는 곳에 자리하였다. 중당도 단칸 규모의 건물을 지어 사용하고 있다. 중당 주변에는 묘와 커다란 소나무와 전답이 있다.

 

 

 

 

 

< 삼신당 >

 

 

 

 

< 충효당 >

 

 

 

 

 

 

 

 

 

 

4) 종가 및 기타 살림집 : 현재 하회마을에 있는 문화유산은 겸암 류운룡과 서애 류성룡 두 형제와 자손들이 남긴 것이 대부분이다. 하회마을 관련 문화유산으로는 국가지정문화재와 도지정문화재가 있다. 국가지정문화재 국보로는 하회탈과 병산탈 및 징비록懲毖錄이 있다. 보물은 류성룡 종손가 문적, 양진당, 충효당, 류성룡 종손가 유물이 있다. 사적은 병산서원, 천연기념물은 만송정 숲이 있다. 중요민속자료는 화경당, 원지정사, 빈연정사, 옥연정사, 겸암정사, 염행당, 양오당, 하회마을, 작천고택, 하동고택이 있다. 중요무형문화재는 하회별신굿 탈놀이, 도지정문화재 민속자료는 안동 지산고택이 있다.

 

 양진당養眞堂은 입암 류중영의 장자 겸암 류운룡의 종택으로, 1600년대에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양진당은 풍산류씨 대종택으로서 류중영의 종택이기도 하다. 양진당은 풍산류씨 하회마을 입향조 전서 류종혜가 처음 자리를 잡은 곳에 지었다. 양진당에는 류중영의 호를 빌려 입암고택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양진당은 류운룡의 6세손 류영(1687~1761)의 어릴 때 이름에서 따 온 것이다. 양진당 내부에는 한석봉이 쓴 양진당이란 당호와 함께 여러 현판이 걸려 있다. 안채와 사랑채, 대문채(행랑채), 사당, 기타 부속채로 구성되어 있다. 안채는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다시 지었으며, 화재로 손상된 흔적이 안채와 맞닿은 사랑채 부분에 남아 있다. 양진당은 1963 1 21일 보물 제306호로 지정되었다.

 

 충효당忠孝堂은 서애 류성룡의 종택으로, 1600년대에 지은 고택이다. 종택은 서애 류성룡의 손자 졸재 류원지(1598~1674)가 서애 선생을 흠모하여 유림과 제자들과 함께 내당인 안채를 조성하였다. 이후 서애 선생의 증손인 눌재 류의하(1616~1698) 자형 안채에 사랑채를 증축하여 완성하였다. 마지막으로 류성룡의 8세손 류상조는 행랑채를 지었다. 충효당의 당호는 서애 선생이 평소 자손들에게 나라에 충성하고 부모에 효도하라는 말을 자주 하였기에 이를 따른 것이다. 충효당은 안채와 사랑채, 행랑채, 사당, 영모각으로 구성되어 있다. 충효당은 서로 연접한 자형 사랑채와 자형 안채의 정면에 자형 행랑채가 있고, 사랑채 뒤로 사당이 있다. 사당 정면에는 영모각이 있다. 충효당은 1964 11 14일 보물 제414호로 지정되었다.

 

 양오당養吾堂은 서애 류성룡의 증손 류만하가 충효당에서 분가하면서 지은 고택이다. 양호당은 이후 류만하의 아들 주일재 류후장(1650~1706)이 확장하여 당호를 류후장의 호를 따라 최근까지 주일재라고 불렸다. 양오당은 안채, 사랑채, 문간채, 일각문, 방앗간채, 사당으로 구성된 전형적인 전통가옥이다. 양호당은 초기 진입부를 바꾸면서 대문채를 두지 않고 길을 따라 쌓은 담장의 열린 부분으로 출입하며, 문간채 앞에는 내외 벽이 있다. 양호당의 채 구성은 문간채와 접한 사랑채가 자형으로 길게 놓여 있고, 그 뒤편에 모두 자형인 안채와 광채·협문간채가 있다. 안채 좌측에 사당이 있다. 양오당은 1979 1 23일 중요민속자료 제91호로 지정된 후 여러 차례 수리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화경당和敬堂은 조선 후기 전통가옥으로 1862년 경상도도사慶尙道都事를 지낸 류도성이 건립한 이후 여러 차례 보수하여 오늘에 이른 고택이다. 화경당은 안채와 사랑채, 대문채, 별당채, 사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채는 안마당을 중심으로 안채와 사랑채가 연접하여 자형을 이루고 있다. 본채 뒤쪽에 사당, 좌측에 별당채, 정면에 자형 문간채가 각각 있다. 화경당은 1979 1 23일 중요민속자료 제84호로 지정되었다. 화경당은 북측의 빼어난 자연경관을 품고 있으면서 유교문화와 민속문화의 전통을 잘 유지하고 있는 조선시대 양반가옥으로, 양진당과 함께 하회 북촌지역을 대표하는 큰 집이다.

 

 염행당念行堂은 류성룡의 9세 손 류치목(1771~1836)이 현 위치로 분가해 나오면서 지은 고택이다. 염행당은 원래 단출한 가옥이었으나 19세기 말 류치목의 손자 류기영(1824~1880)에 의해 크게 확장되었다. 염행당은 크지도 않고 작지도 않은 고택으로, 하회마을에서 잘 지은 고택에 속한다. 염행당은 대문간채, 본채, 사당, 별당채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1954년 음력 6월 본채가 소실되었다. 사랑채와 안채로 구성된 본채 자리에 최근까지 초석 일부만 남아 있는 것을 중건하였다.

 

 작천고택鵲泉古宅은 류도관이 살았던 곳으로, 그의 호를 따라 작천고택이라 불리고 있다. 1979 1 23일 중요민속자료 제87호로 지정되었다. 작천고택은 마을의 서남쪽에 있다. 작천고택은 안채와 별채, 문간채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1934년 대홍수로 문간채가 유실되면서 현재 안채와 별채만 남아 있다. 안채는 목조 기와집이고, 별채는 목조 초가집이다. 작천고택은 안채와 사랑채가 독립채로 있지 않고 한 채 안에서 실을 달리하고 있다. 작천고택은 안채 영역과 사랑채 영역 사이에 내·외담을 쌓아 영역을 구분하였다. 이는 규모가 작은 반가 또는 와가에서 유교예법을 따른 것이다.

 

 하동고택河東古宅은 동서로 난 마을 중심 안길의 남쪽 경사면에 터를 잡고 북향을 하고 있다. 고택은 남촌지역 동측에 위치하여 안길 남측에 앉아 북향하고 있어 하동고택이라고 하였다. 하동고택은 지금의 예천 용궁현감을 지낸 눌헌 류교목(1810~1874) 1836년에 세웠다. 이후 하동고택은 우천 류단하의 아버지 류시익이 1953년 인수하였고, 이 집은 하회마을 선비의 집으로 알려졌다. 하동고택은 대문간채, 안채, 사랑채, 중문간채로 구성되어 있다. ‘자형 중정을 중심으로 안채와 사랑채, 중문간채가 서로 마주 보고 있다. 문간채는 초가지붕이고, 나머지는 모두 기와지붕을 하고 있다.

 

 

 

 

 

 

 

 

 

 

 

 

 

 

 

 

[ 특징 및 의의 ]

 

 하회마을과 마을의 건축 공간은 어느 곳에서나 볼 수 있는 보편적 가치와 그들만의 고유한 가치가 있다. 또한 유·무형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하회마을은 조선시대 유교사회의 특징인 정주형 씨족마을로, 가장 완전하고 대표적인 마을이다. 마을에는 전적과 고문서, 전승되고 있는 유교의례, 마을의 민속신앙과 민속놀이 등 유·무형의 씨족마을 문화가 살아 있다. 마을의 종택과 기타 가옥·정사·정자·서원·서당 등은 유교이념, 환경친화성, 자연과의 조화를 예술적·기술적으로 탁월하게 반영한 한국 전통건축 공간이다.

 

집필자 정연상(鄭淵相)

(이상 글출처 : 국립민속박물관 -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병산서원 입구 어락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