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개마을 교리댁
교리댁은 영해부사, 사간원 사간, 사헌부 집의 등을 역임한 이석구가
1760년 건립했다. 이 집의 이름은 이석구의 현손인 이귀상이
홍문관 교리를 역임하면서 붙여졌다.
자연적인 경사를 따라 마을 안길로 올라가면 돌담을 두른 교리댁 대문채가 보인다.
언덕길을 따라 높은 곳에 있는 건물은 매우 중후하면서도 단아한 느낌을 준다.
1,980제곱미터의 대지 위에 대문채, 사랑채, 서재, 중문채, 안채, 사당 등 6동의 건물이
독립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안채는 정면 7칸, 측면 1칸이며 사랑채는 정면 5칸 측면 2칸이다.
ㅡ자형 정침을 중심으로 각 건물이 독립되어 있으면서 전체적으로
튼 ㅁ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는 태백산맥 일대의 튼 ㅁ자형과 남부의 ㅡ자형 민가를 섞어 놓은 것으로,
이 지역에서만 볼 수 있는 특이한 형식이다.
민가의 지역 간 전파와 교류를 통한 절충 과정을 엿볼 수 있는
좋은 사례로 평가된다.
교리댁은 튼 ㅁ자형과 남부의 一자형 민가를 섞어놓은 배치로,
이 지역에서만 볼 수 있는 특이한 형식이다.
이 건물은 평대문을 정면에 내지 않고 고샅을 지나 담장 뒤로 낸 게 특징이다.
한국미의 핵심은 일방성에 있다고 하지만 이 건물은 '정형 속의 비정형'이라 볼 수 있다.
비정형에는 오히려 미학을 끌어내는 힘이 있고 교리댁이 바로 그런 면을 보여준다.
교리댁에서 눈여겨볼 것은 독립된 서당이다.
다른 마을에서도 방 1칸이 서당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있지만
이곳처럼 번듯한 영역을 별도로 갖춘 한옥은 찾아보기 힘들다.
서당은 사랑채, 안채와 직각으로 배치되어 서쪽을 향하고 있다.
주거용 건물과 방향을 다르게 만든 것은 성격이 다르기 때문이다.
서당은 주로 아이들이 사용하는 학습 공간이므로 건물 부재나 공간이 상대적으로 작고
마당을 둘러싸는 담도 낮다.
어린아이에게 맞는 인간적인 척도를 적용했다고 볼 수 있다.
특이한 것은 서당 건물을 받치는 기단을 매우 높게 처리했다는 점이다.
때문에 서당 높이가 대문채보다 높다.
한필원 교수는 이를 "공부하는 아이들에게 높은 기개를 조성하기 위한 것"일지도
모른다고 설명했다.
교리댁에서 가장 아름다운 공간은 뜻밖에도 사당이다.
대부분의 사당은 건물 후면에 자리 잡아 다소 침침하게 느껴지지만 교리댁은 그렇지 않다. 여름에는 배롱나무꽃과 나리꽃이 피고, 계단도 정감 가도록 잘 다듬어져 있다.
참고로 교리댁 사랑채 마당에는 수령 150년의 제주도산 감귤나무 한 그루가 있다.
쓰러질 듯 버티고 서 있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또 말을 탈 때 딛고 일어서는 상마석이 아직도 남아 있어
전형적인 양반가라는 걸 보여준다.
(글출처 : 이종호)
'■ 전통건축 갤러리 ■ > 경 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주 한개마을 - 북비고택 (2018. 03. 01.) (0) | 2018.03.17 |
---|---|
성주 한개마을 - 월곡댁 (2018. 03. 01.) (0) | 2018.03.16 |
성주 한개마을 - 진사댁 (2018. 03. 01.) (0) | 2018.03.14 |
상주 한개마을 - 한주종택 (2018. 03. 01.) (0) | 2018.03.06 |
성주 한개마을 (2018. 03. 01.) (0) | 2018.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