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통건축 갤러리 ■/경 북 (347) 썸네일형 리스트형 하회마을 충효당.양진당 -3 ( 2015.03.29.) 하회마을 충효당 ...... 충효당의 안채의 출입이 가능한 곳은 두 곳으로, 행랑채와 사랑채 사이의 샛담에 나 있는 작은문과, 사랑방 뒤쪽에 설치되어 있는 중문을 통해서 들어갈 수 있다. 안채에 들어서면 정방형의 마당을 만날 수 있는데 마당 한가운데 소담스런 화단과 장독대가 마련되.. 안동 도산서원 ( 2015.03.29.) 도산서원 도산서원은 건축물 구성면으로 볼 때 크게 도산서당과 이를 아우르는 도산서원으로 구분된다. 도산서당은 퇴계선생이 몸소 거처하면서 제자들을 가르치던 곳이고, 도산서원은 퇴계선생 사후 건립되어 추증된 사당과 서원이다. 도산서당은 1561년(명종 16)에 설립되었다. 퇴계선.. 경주 양남 주상절리군 (2015. 02.) 종 목 천연기념물 제536호 명 칭 경주 양남 주상절리군 (慶州 양남 柱狀節理群) 분 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지구과학기념물/ 지질지형 지정(등록)일 2012.09.25 소유자(소유단체) 국토해양부 관리자 경주시 경주 양남 주상절리군은 발달규모와 발달크기 및 형태의 다양성에 있어서 이미 지.. 경주 감은사지와 문무대왕수중릉 - 2 (2015. 02.) 종 목 사적 제158호 명 칭 경주 문무대왕릉 (慶州 文武大王陵) 소 재 지 경북 경주시 양북면 봉길리 앞 해중(대왕암) 시 대 신라 관리자(관리단체) 경주시 신라 30대 문무왕(재위 661∼681)의 무덤이다. 동해안에서 200m 떨어진 바다에 있는 수중릉으로, 신라인들의 창의적인 생각을 엿볼 수 있는 곳이다. 문무왕은 아버지인 태종 무열왕의 업적을 이어받아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당의 침략을 막아 삼국통일을 이루었다. 또한 병부, 창부 등 중앙관청을 창설하였고, 지방통치를 위한 5소경제도와 9서당 10정의 군사제도의 기틀을 마련하는 등 국가 체제 완성의 기초를 제공하였다. 대왕암은 자연 바위를 이용하여 만든 것으로 그 안은 동서남북으로 인공수로를 만들었다. 바닷물은 동쪽에서 들어와 서쪽으로 나가게 만들.. 달성 도동서원- 3 (2014.11. ) 달성 도동서원 (達城 道東書院) 종 목 사적 제488호 소 재 지 대구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 35번지 시 대 조선시대 도동서원은 1605년(선조38) 지방 유림에서 한훤당 김굉필선생을 추모하기 위하여 세운 서원으로 조선중기 전학후묘(前學後廟)의 전형적 배치형식과 강당과 사당의 공포양식 및 .. 달성 도동서원- 2 (2014.11. ) 달성 도동서원, 조선 유교 건축의 꽃이 피다 (글 출처 : 대구=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서원은 조선 성리학의 정수가 응축된 공간이다. 유교에서 가장 중요한 활동인 강학과 제사가 이뤄진 장소로, 철저히 기능에 초점을 맞춰 지어졌다. 공립학교였던 향교와 달리 서원은 오늘날의 사립학교.. 달성 유가사 (2014.11. ) 유가사 (瑜伽寺) 비슬산 천왕봉 아래에 위치한 유가사는 유가종 총본산격의 사찰로서 신라 흥덕왕 2년(827년)에 도성국사에 의해 창건되었으며 비슬산의 암석모습이 마치 유(瑜:아름다운 구슬)와 부처의 형상과 같다하여 유가사라고 명명되었다. 그후 진성여왕 3년에 원잠선사가 다시 짓.. 달성 암곡서원 (2014.11. ) 달성 암곡서원(巖谷書院) 대구시 달성군 현풍면 지2리(원당院塘)에 소재한 포산사(苞山祠)는 1960년도에 묘우(廟宇)로 창건되어, 시조 정의공(諱 鏡), 이부상서 포산백 정간공(諱 基正), 병부상서 포산군공(諱 漢正), 금오위교위공(諱 子儀), 훈련원판사 목사공(諱 順宗)의 위패를 봉안하고, ..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