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 쌍계사 금당
[ 智異山雙磎寺 金堂 ]
개설
신라 시대 의상(義湘) 대사의 제자인 승려 삼법(三法)은 대비(大悲)·선백과 함께 당 육조(六祖) 혜능(慧能)의 정상(頂相)
[머리뼈]을 모시고 신라로 돌아와서, 봉안한 뒤 조그만 암자를 세우고 정진하다가 입적(入寂)하였다. 세월이 흐름에 따라
폐사되었는데, 그 뒤에 진감 선사(眞鑑國師) 혜소(慧昭)가 이 장소를 찾아서 절을 세운 것이 지금의 지리산 쌍계사 금당
(金堂)이다.
건립 경위 및 변천
1. 육조의 정상을 모시고 온 삼법 화상
삼법 화상의 출생 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661년(문무왕 1)경에 태어나 739년(효성왕 3)에 입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676년(문무왕 16)에 의상 대사의 제자가 되어 구족계를 받았으며, 너무도 총명하여 경장(經藏)과 율장(律藏)을 통달하였다. 당시 당나라에는 육조 혜능이 크게 선풍을 일으키고 있었는데, 혜능을 찾아가서 도(道)를 묻고자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다가 714년(성덕왕 13)에 혜능이 입적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매우 애통해 하였다.
6년이 지난 뒤 삼법 화상은 금마[지금의 익산] 미륵사의 규창이 당에서 가지고 온 혜능 대사의 『법보단경(法寶壇經)』을
보게 되었다. 그 내용 가운데 “내가 입적한 뒤 5~6년 지나서 한 사람이 내 머리를 가지러 올 것이다.”라는 대목을 읽다가
삼법은 내가 마땅히 힘써 도모하여 우리나라에 만대의 복밭을 지으리라’고 생각하였다. 이에 김유신의 부인이었던 법정
(法淨) 비구니에게 금 2만 냥을 빌려 상선을 타고 당으로 가서 홍주의 개원사(開元寺)에 머물렀다. 그곳에는 신라 백율사의 승려 대비와 선백이 있었는데, 두 사람이 친하여 의논하던 중 이 절에 기거하던 장정만에게 금 2만 냥을 주고 육조 혜능의 정상을 가져오게 하였다.
그 뒤 귀국하여 법정 비구니가 머무는 영묘사(靈妙寺)에서 날마다 육조 혜능의 정상에 공양을 올렸다. 그러던 중 꿈에
한 승려가 나타나서 자신이 인연한 터가 지리산 아래 눈 속에 칡꽃이 핀 곳이니 그곳으로 자리를 옮기도록 명하였다.
이에 삼법 화상은 대비와 함께 눈 덮인 지리산을 헤매던 중 12월인데도 따뜻하기가 봄과 같고 칡꽃이 만발한 곳을
발견하였다. 이곳에 돌을 쪼아서 함을 만들고 육조 혜능의 정상을 깊이 봉안한 뒤 조그마한 암자를 세웠으며,
선정(禪定)을 닦기에 힘썼다. 18년 동안 이곳에서 수행하다가 739년 7월 12일 목욕하고 『법보단경』을 염송하다가
앉아서 입적하였다.
이와 같이 지리산 쌍계사의 창건은 삼법 화상이 육조 혜능의 정상을 안치한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그러나 이때는
난야(蘭若)[절]라는 조그만 수행처에 불과하였으며, 실제의 가람으로 모습을 드러낸 것은 신라 말 진감 선사 혜소에
의해서이다.
현황(조직, 시설 현황 포함)
지리산 쌍계사는 육조의 정상을 모신 금당 영역과 대웅전 영역의 두 공간으로 구분되는 독특한 가람 구성을 이루고
있다. 금당 영역은 남북의 축선을, 대웅전 영역은 동서의 축선을 갖게 되어 두 영역이 서로 교차하는 가람 배치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터가 좁다는 지리적 조건에 의한 것이다.
금당 영역은 국사암의 남쪽에 위치하고 있는데, 경사가 급하여 가람 조성을 하단 중단 상단으로 구성하고 있다. 배경이
되는 산봉우리는 지리산의 주봉인 토끼봉·형제봉이며, 대웅전 영역은 삼신산을 주산으로 하여 동에서 서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어 일주문에서 시작되는 산지 가람을 형성하기에 알맞은 형세이다.
현존 당우로는 금당 영역에 육조 정상 탑전과 동방장(東方丈), 서방장(西方丈), 팔상전(八相殿), 영모전(靈慕殿)과
그밖에 요사채와 청학루(靑鶴樓)가 있다.
대웅전 영역에는 쌍계사 일주문, 쌍계사 금강문, 쌍계사 천왕문, 팔영루(八永樓), 쌍계사 대웅전, 쌍계사 명부전,
쌍계사 나한전, 화엄전(華嚴殿), 삼성각(三聖閣), 금강계단(金剛戒壇), 쌍계사 적묵당과 쌍계사 설선당, 쌍계사
진감선사대공탑비(眞鑑禪師大空塔碑), 마애불 등이 있다. 또 대웅전 앞에 석등이 있다. 그 밖에 많은 유물들이 2001년에
지어진 성보전(聖寶殿)[성보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현재는 모두 국보와 보물등 문화재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다.
(이상 출처: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쌍계사 금당이다.
이 금당은 육조정상탑전이라는현판을 함께 걸고 있는 전각으로
중국불교 선종의 6대조인 혜능대사의 정상, 즉 두개골을 모신전각으로
통일신라 경애왕(재위 924~927)때 진감선사가 건물을 세워 육조영당이라 하였으며,
후에 금당이라 불렀다고 한다.
이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로 팔작지붕이며
기둥 위에서 지붕처마를 받치는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배치한
다포계 양식의 건물로 천장은 중앙부쪽으로 높아지는 단계형이며,
건물의 앞쪽에는 조선시대 명필인 추사 김정희가 쓴 "육조정상탑",
"세계일화조종육엽"의 현판이 걸려있다.
금당 안에 봉안된 7층 육조정상탑은
1800년대에 목압사에서 용담스님이 옮겨놓은 탑으로
그 후로는 "육조정상탑"으로 부르게 되었다
이와 같이 쌍계사의 창건은 삼법화상이
육조 혜능선사의 정상을 안치한 것으로 부터 시작되었고
이 때는 난야(蘭若)라는 조그만 수행처에 불과했던 것으로 보이며,
실제의 가람으로 그 모습을 드러내게 되는 것은
신라말 진감선사에 의해서 이다.
[출처] 하동 삼신산 쌍계사 3.금당영역|작성자 Travel Photographer
벗꽃 지고나니 茶향…쌍계사로 오세요
차나무시배지 쌍계사 차문화 대축전…2023하동세계차엑스포 연계
선교율 차와 범패의 근본도량 하동 쌍계사(주지 영담 스님)가 5월 11일부터 차문화 대축전을 펼친다.
2023하동 세계차엑스포와 연계한 이번 행사는 13일까지 진감 초의 고산 다맥전수식 등 다양한 행사를 마련했다.
흥덕왕3년(828) 대렴공이 당나라 사신으로 갔다 돌아오면서 차나무씨를 가지고와 왕명으로 쌍계사 일대에 최초로 심었다. 840년 진감혜소 선사가 쌍계사를 창건하면서 화개골 일대에 번식시켰다. 고려시대 화려한 차 문화와 달리 조선시대 불교 탄압으로 쇠퇴하다 조선 후기 초의 만허 선사등의 노력으로 잠시 회복했다. 일제강점기 들어 민족탄압과 함께 차 문화도
사라지고 쌍계사를 중심으로 명맥만 이어져왔다.
고산 대선사가 1975년 주지로 부임해 쌍계사 차나무시배지가 짐승들의 놀이터가 된 것을 슬피 여기시고 차나무 시배지를 복원 정비했다. 경상남도는 1987년 8월 6일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차나무 밭으로 인정해 도기념물 제61호로
지정했다.
고산 대선사는 이때부터 진감·초의·만허선사로 이어진 다맥(茶脈)을 복원하고 몇몇 스님들을 중심으로 전수식을 해오다
2004년 5월 14일 (사)진감초의 다맥 한국선다회를 창립했다.
(출처 : 불교닷컴)
'■ 전통건축 갤러리 ■ > 경 남 . 부 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밀양 수산제 역사공원 (2023.06.25.) (1) | 2023.06.26 |
---|---|
하동 칠불사 - 아자방은 현재 공사 중 (2023.06.06.) (0) | 2023.06.08 |
야생차 시배지, 하동 쌍계사 (2023.05.13.) (0) | 2023.05.19 |
김해 봉황동유적 ( 패총과 봉황대, 2023.04.08.) (1) | 2023.04.10 |
군북 어계고택 및 채미정 (2022.11.20.) (0) | 2022.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