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전통건축 갤러리 ■/경 남 . 부 산

진해 성흥사 - 2 (2022.04.16.)

 

 

 

 

 

 

 

 

 

 

 

 

진해 성흥사(聖興寺)

 

 

불모산 자락에 위치하고 있는 성흥사는

전통사찰로 지정된 천년고찰이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14교구 본사 범어사 말사이다.

신라시대 833(흥덕왕 8)에 무염국사가 왜구를 물리친 것을 기념하여

구천동에 창건한 대사찰이었다.

창건 당시에는 승려 500여 명이 머물렀던 큰 규모의 절이었으나,

1109(고려 예종 4) 무렵 화재로 소실된 뒤 대장동으로 옮겨 중창했다.

그러나 1668(조선 현종 9) 화재가 다시 발생해 구천동으로 옮겼다가

1789(정조 13) 현재의 위치로 옮겨 중창했다.

 

고종 27(1890) 화주스님이 그린 섬세한 필치의 무염국사의 영정과

대불상, 나한상, 나한종관상, 제석상 등과 당간지주가 있고

사찰의 서남쪽 200m 지점에는

조선시대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부도군 등이 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중창 당시의 건물인 대웅전(경남유형문화재 152)을 비롯하여

중건한 나한전·칠성각·일주문·요사채 등이 있다.

 

 

 

 

 

 

 

 

 

 

 

 

 

 

 

 

 

 

 

 

 

좋은 절 좋은 인연 

맑은 도량, 예경의 도량 - 진해 성흥사

 

 

도량 풍경은 그날의 날씨에 따라 달라진다. 

비가 오는 날에는 기와에서 떨어지는 빗줄기의 청음이 반갑고, 

맑은 날에는 구름 한 점 없는 하늘을 누비는 풍경의 물고기가 눈에 들어온다. 

진해 성흥사(회주 영환 스님)를 찾은 날, 이른 아침이라 도량엔 안개가 자욱하다. 

희미한 지붕은 돛을 올린 배와 같고 처마 밑 용머리는 뱃머리와 닮았다. 

안개 낀 도량에서 반야용선 만나는 행운을 얻은 건

비단 눈이 주는 착각 때문만은 아니리라 생각했다.

 

성흥사는 흥덕왕 8년에 무염 국사가 창건한 호국사찰이다. 

신라 흥덕왕 초년에 웅동과 제포 일대에 왜구가 자주 출몰하여

왕의 근심이 가실 날이 없었다. 

그러던 어느 날 왕의 꿈에 신선이 나타나 말하기를

무염 스님을 불모산에 모셔 오라 했다. 

왕은 지리산에서 수행 중이던 무염을 모셔 와 왜구를 멸해 주길 간청했다.

 

무염 국사는 불모산 철마봉에 올라가

금으로 된 석장을 고갯마루에 꽂고 왼손으로 배를 두드렸는데, 

그 소리가 마치 포성처럼 진동하였다. 

그때 갑자기 금갑을 두른 신장이 나타나 산을 둘러싸니

왜구가 놀라 두려움에 떨며 도망갔다. 

이에 왕이 크게 기뻐하며 무염에게 재물과 전답을 시주하여

구천동 관남리에 터를 골라 절을 짓게 하였는데, 

이것이 성흥사의 시초다.

 

 

 

 

 

 

 

 

 

 

 

 

 

 

 

 

 

 

성흥사는 창건 당시 500여 명의 승려가 머물 정도로 대찰이었는데, 

창건 후 두 번의 큰 화재로 인해 두 번 자리를 옮기며

지금의 자리에 터를 잡게 되었다. 

무염 국사는 구산선문 중 성주산문의 개산조가 되었는데

무염 국사가 창건한 사찰의 이름에 대부분  자가 붙는 것도 이 때문이다. 

성흥사는 꽤 오랜 시간 동안 큰 규모의 사격을 유지하였으나

근대에 들어 폐사지에 가까울 정도로 규모가 줄어들었다.

 

성흥사 회주이신 영환 스님이

처음 성흥사를 찾았을 때의 모습은 그야말로 암담했다. 

스님께서 1975년에 폐사지 관리 담당으로 왔을 때 대웅전은 쓰러져 가고 있었으며

법당의 문짝은 너덜너덜해져 문의 구실조차 하지 못하고 있었다. 

화장실 옆에는 소가 묶여 있었고 잡풀이 무성하게 자라나

성흥사의 과거는 찾을 수가 없을 지경이었다.

 

지금은 길이 잘 닦였는데, 예전엔 웬만한 차로는 올라오지도 못했어. 

그래서 사륜 구동 차를 끌고 여기까지 올라왔지. 

도착해서 절을 보니 엉망이었는데, 또 자세히 들여다보니까 폐사가 될 만한 절은 아니었어. 

다시 살려내면 이곳이야말로 제대로 된 절이 되겠다 싶었지.”

 

스님이 주지로서 성흥사로 돌아온 건 그로부터 10여 년이 지나서였다. 

그간 여러 스님이 다녀가며 가람의 모습을 점차 갖추기는 했지만

역사 속의 성흥사를 떠올리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스님은 대웅전 불사부터 시작했다. 

대웅전 뒤편의 산비탈을 밀어내 산사태의 위험에 노출된

법당을 보호하는 게 우선이었다. 

그리고 대웅전 보수를 시작했지만 그 역시 처음에는 녹록지 않았다.

 

처음엔 보수하려고 사람을 불렀는데, 

그냥 보수가 아니라 전부 다 해체해서 다시 세워야 할 정도였어. 

서까래가 다 썩어서 나무도 쓸만한 게 하나도 없었지. 

새로 짓다시피 해서 지금 대웅전 불사를 마무리 지었어.

 시골 창고처럼 허술하게 만들어져 있던 범종루도 2층으로 새로 지었어.”

 

그렇게 하나하나 불사를 시작하여 정갈하고 단정한 가람의 모습을 갖추었다. 

푸른 잔디와 손수 심은 조경수의 조화는 안온함을 안겨 준다.

도량을 잘 가꾸어 놓는 것은 부처님을 잘 예경하는 것과 같다.”

스님의 말씀처럼 곳곳에는 스님의 정성 어린 손길이 닿아 있다. 

매일 새벽 포행에 나서면서 도량을 한 바퀴 돌아보는 일은

스님의 중요한 일과이기도 하다.

 



 

 

 

 

 

 

 

 

 

 

성흥사 양쪽 담벼락에는 키 큰 편백나무 여러 그루가 자리 잡고 있다. 

성흥사를 찾는 이들이 편백의 향기를 맡으며

조금이나마 몸과 마음이 치유되길 바라며 심은 것이다. 

당신의 건강이 편치 않으심에도 늘 신도들을 향해서 더 마음을 내신다. 

그래서 여전히 법상에 올라 신도들에게 공부와 수행을 놓지 않을 것을 당부하신다.

 

요즘 절에 다니는 신도들은 하나도 얻은 것도 없으면서

얻었다는 착각에 빠져 있어. 

얻음이라는 건 스님들도 어려운 일이야. 

깨닫기가 오죽 어려우면 매 안거마다 선방에 들고 나기를 반복하며 공부를 하겠어. 

다들 확철대오하려고 공부를 하는 거야. 

신도들이든 사문이든 그 어려운 걸 해내려고 공부하고 수행한다는 걸

늘 주지하고 있어야 해.”

 

특별히 스님은 성철 스님과의 일화를 들려주며

사문의 도리에 대해 강조하셨다.

성철 스님이 열반하시기 전에 범어사에 오셔서 큰스님 부도탑을 둘러보고 가셨지. 

성철 스님은 새벽에 기도하시고 저녁에 주무실 때도 기도하시고, 

늘 기도를 하셨어. 

그리고 대중들과도 화합하는 모습을 보여 주셨지. 

사문이라 함은 그렇듯 기도하고 화합하는 데에 도리가 있어.”

 

현재 성흥사에는 대웅전을 비롯해

나한전, 삼성각, 범종루, 일주문, 요사채 등이 있다. 

특히 나한전은 배명인 전 법무부 장관이 머무르며

사법고시를 준비해 합격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그래서인지 나한전을 찾아 합격기도를 올리는 불자들이 많다.

 성흥사의 신행단체는 조금 특별하다. 

관음회, 지장회, 불교대학은 각각 절 경력에 따라 나뉜다. 

젊은 초심자는 불교대학에서부터 시작해서, 절에 다닌 햇수가 늘어나면 지장회로 승격되고, 

또 햇수가 늘어나면 관음회 회원이 될 수 있다.

절에 가장 많이 오는 사람이 가장 행복하다.”

성흥사만의 기준이 만들어 낸 재미있는 구조다.

 

불모의 품에 안겨 있는 성흥사는

아주 오랜 시간 제 빛을 잃고 있었다. 

그러나 근래에 거듭된 불사를 통해 맑고 깨끗한 도량이 완성됐다.

문화재 사찰로서 전통을 고수하고 자연을 보존하는 것이

성흥사가 지향하는 방향이라는 스님의 말씀처럼

불모의 품안에서 과거의 영화로운 기백을 펼쳐 보일 예경의 도량

성흥사를 기대한다.

(이상 글 출처 : e붓다. 최은영 기자 eundong@ebuddha.co.kr)

 

 

 

 

 

 

 

 

 

 

 

 

 

 

 

 

 

 

 

 

 

 

 

 

 

 

 

 

대웅전중수기(大雄殿重修記)에 나타난 <성흥사 창건설화>

 

 

 

신라 흥덕왕 41년에 왜구 10만 여명이 부산과 제포(웅천)에 침범하여 나라가 어지러웠다.

왕이 크게 근심하며 신하들을 모아 대책을 논의했으나 아무도 현명한 방책을 말하지 못하였다.

근심 속에서 나날을 보내던 왕에게, 어느날 한 신령이 현몽하며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왕의 나라 지리산중에 무염(無染)이라는 한 스님이 있으니,

금산(金山) 보개여래(寶蓋如來)이 후신으로 불가사의한 신력이 있어서 늘 천신들을 거느리고 있다.

가히 나라를 복되게 하고 세상을 구제할 인물이니라.

또 서남쪽에 불모산이 있으니 산명수려(山明秀麗)하여 상서로운 구름이 항상 떠 있어

진리를 닦을 사람이 찾을 만한 곳이로다.”

 

이에 왕은 예사로운 징조가 아니라 여기고 사람을 불러 무염스님을 모셔오도록 하였다.

명을 받은 스님은 불모산 철마봉(鐵馬峰)에 올라가 금으로 된 석장을 고갯마루에 꽂고

왼손으로 배를 두드리니 그 소리가 마치 포성처럼 진동하였다.

이때 갑자기 금갑(禁甲)을 두른 신장(神將)이 나타나 산을 둘러싸니,

이를 본 왜구들이 기겁하여 두려움에 떨며 물러갔다.

 

왕은 크게 기뻐하여 무염스님을 국사에 봉하고 평장사(平章事) 유춘우(柳春雨)를 시켜

그 은혜에 보답토록 하였다.

즉 구천동 관남리(官南里)에 절을 지어 성흥사라 하고, 토지 360결과

노비 100()를 하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