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철종 12년(1861)에 지은 집이다. 안채를 비롯하여 사랑채·행랑채·광채·곳간채가 있다. 안채를 제외한 이들 건물들은 1930년대에 다시 지은 것이어서 안채에 비하여는 격조가 떨어진다.
집의 앞쪽에 '一'자형의 행랑채와 사랑채가 있고 안쪽에 'ㄱ'자형의 안채가 자리한다. 광채와 곳간채는 안채의 양 옆으로 각각 위치하고 있다.
바깥마당은 담장 없이 외부로 개방되어 있다. 큰사랑방·대청·건넌방이 배열되었으며 바깥마당쪽으로 툇마루를 놓았다. 행랑채의 대문을 들어서면 안채와 사랑채를 경계하기 위한 담장이 축조되어 있고 그 사이에 작은 쪽대문을 설치하였다. 안채는 쪽대문을 통하여 출입할 수 있다. 이렇게 바깥마당과 가운데마당·안마당으로 구분을 지은 공간의 구성과 전개는 이 집의 가장 큰 특징이다.
사랑채 동쪽의 3∼400년이 되는 회나무, 안마당 한쪽 화단에 심어진 모과나무·향나무 등은 전통적 민가의 정원기법에 따라 꾸며 예스러운 느낌이 들게 한다. (자료-문화재청)
728x90
'■ 전통건축 갤러리 ■ > 충 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성 서정우가옥 (공산정 고가) - 2005.03. (0) | 2010.07.08 |
---|---|
음성 김주태가옥(2005.03) (0) | 2010.07.08 |
청원 이항희가옥 - 1 (2005.04.) (0) | 2010.07.08 |
청원 유계화가옥(2005.03,2006.09) (0) | 2010.07.08 |
충북 문의문화재단지(2005.01) (0) | 2010.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