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전통건축 갤러리 ■/경 남 . 부 산

(244)
창원 주남돌다리 - 2 (2023.07.15.) 창원 주남돌다리 (昌原 注南돌다리)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25호 소 재 지 경남 창원시 의창구 대산면 가술리 590번지 창원의 동읍과 대산면의 경계를 이루는 주천강에 놓인 돌다리이다. ‘주남새다리’라고도 불리우는데, 동읍 판신 마을과 대산면 고등포 마을을 이어주는 구실을 하고 있다. 다리는 간격을 두어 양쪽에 돌을 쌓아올린 뒤, 그 위로 여러 장의 평평한 돌을 걸쳐놓은 모습이다. 800여년전 강 양쪽의 주민들이 정병산 봉우리에서 길이 4m가 넘는 돌을 옮겨와 다리를 놓았다는 전설이 전해 내려온다. 1969년 집중호우로 대부분이 붕괴된 것을 1996년 복원한 것으로 다리를 세운 정확한 시기나 경위 등은 알려진 것이 없다. (글자료 : 문화재청) 주남돌다리 항목 ID GC02200499 한자 注南- 영어의..
밀양 수산제 역사공원 (2023.06.25.) 밀양 수산제 역사공원으로 '재탄생' 밀양시는 2022년 04월 14일 하남읍 수산리에 위치한 수산제 역사공원에서 상징 조형물 제막식 및 홍보관 개관식을 개최했다. 수산제는 벽골제, 의림지와 함께 삼한시대부터 역사를 유지한 가장 오래된 3개 저수지 중 하나다. 시는 앞서 지난 2017년 7월 수산제 역사공원 조성을 착수해 3만 3,290㎡ 규모의 공원 조성과 홍보관 건립, 소하천 정비, 토양 개량, 수목의 다양화, 초화류 식재 등 환경개선 사업과 수산제 역사공원 홍보관 건립, 상징 조형물 설치 등의 사업을 마쳤다. 수산제 역사공원은 초화류, 나무수국, 갈대 등 다양한 식물을 식재, 자연친화적인 힐링정원으로 조성됐다. 위드 코로나 시대에 가족단위 언택트 관광지로 휴식과 여가를 즐길 수 있는 곳이다. 수산제 ..
하동 칠불사 - 아자방은 현재 공사 중 (2023.06.06.) 하동 칠불사 칠불사(七佛寺)는 가야불교의 발상지이며, 문수보살의 상주도량이며, 동국제일선원이다. 또한 해동계맥을 수립한 율 도량이고, 동다를 증흥한 차도량이며, 거문고를 전승한 현악의 도량이기도 하다. 칠불사는 지리산의 중심봉인 반야봉(1,732m)의 남쪽 800m 고지에 위치하고 있다. 신라말 도선국사가 지은 『옥룡자결』(玉龍子訣)에 의하면 지리산 칠불사는 와우형(臥牛形)의 명당으로, 제일의 양택이라고 했다. 임진란에 퇴락한 가람을 서산대사와 부휴대사가 중수하였다. 그 후 1800년에 큰 화재가 나서 보광전, 약사전, 미타전, 벽안당(亞字房), 칠불각, 설선당, 보설루, 요사 등 10여 동의 건물이 전소되었는데 대은율사와 금담율사에 의해 모두 복구되었다. 그러나 6·25전란으로 인해 1951년 1월경에..
하동 쌍계사 금당 (2023.05.13.) 지리산 쌍계사 금당 [ 智異山雙磎寺 金堂 ] 개설 신라 시대 의상(義湘) 대사의 제자인 승려 삼법(三法)은 대비(大悲)·선백과 함께 당 육조(六祖) 혜능(慧能)의 정상(頂相) [머리뼈]을 모시고 신라로 돌아와서, 봉안한 뒤 조그만 암자를 세우고 정진하다가 입적(入寂)하였다. 세월이 흐름에 따라 폐사되었는데, 그 뒤에 진감 선사(眞鑑國師) 혜소(慧昭)가 이 장소를 찾아서 절을 세운 것이 지금의 지리산 쌍계사 금당 (金堂)이다. 건립 경위 및 변천 1. 육조의 정상을 모시고 온 삼법 화상 삼법 화상의 출생 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661년(문무왕 1)경에 태어나 739년(효성왕 3)에 입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676년(문무왕 16)에 의상 대사의 제자가 되어 구족계를 받았으며, 너무도 총명하여 경장(經藏)..
야생차 시배지, 하동 쌍계사 (2023.05.13.) 쌍계사 雙磎寺 옥천사(玉泉寺), 지리산쌍계사 시대 - 고대/삼국 문화재 지정 - 경상남도 시도기념물 제21호 건립시기 - 723년 소재지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208 요약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지리산(智異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삼법이 창건한 사찰. 시도기념물. 개설 대한불교조계종 제13교구 본사이다. 관장하는 말사는 43개이며, 4개의 부속 암자가 있다. 쌍계사 일원이 경상남도 기념물 제21호로 지정되어 있다. 역사적 변천 이 절은 723년(성덕왕 23)에 의상(義湘)의 제자인 삼법(三法)이 창건하였다. 삼법은 당나라에서 귀국하기 전에 “육조혜능(六祖慧能)의 정상(頂相)을 모셔다가 삼신산(三神山)의 눈 쌓인 계곡 위 꽃이 피는 곳에 봉안하라.”는 꿈을 꾸고 육조의 머리를 취..
김해 봉황동유적 ( 패총과 봉황대, 2023.04.08.) 김해 봉황동 유적 金海 鳳凰洞 遺蹟 Archaeological Site in Bonghwang-dong, Gimhae (대한민국의 사적 제2호) 1. 개요 경상남도 김해시 봉황동에 위치한 1~4세기경 청동기시대, 금관가야 유적이다. 1963년 사적 제2호로 지정되었다. 2. 상세 원래 사적 제2호는 김해 회현리 패총이었다. 바로 옆에 봉황대 유적(과거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87호)이 있었는데, 이 두 유적이 서로 관련이 크다는 지적이 있어왔고 2003년에 둘을 합쳐서 사적 제2호 김해 봉황동 유적으로 재지정했다. 패총(조개무덤)과 봉황대는 김해 봉황동 유적의 일부분이 되었다. 2.1. 회현리 패총 패총, 즉 초기 가야 사람들이 조개를 까 먹고 조개껍데기 등 각종 쓰레기를 버린 구덩이로 수많은 중요한 유물..
군북 어계고택 및 채미정 (2022.11.20.) 함안 어계고택 (咸安 漁溪古宅)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조선 전기의 문신 어계 조려(1420∼1489) 선생이 태어난 집이다. 조려 선생은 생육신의 한 사람으로 단종을 위해 벼슬을 버리고 영월에서 단종의 시신을 거두어 장례를 치룬 뒤 왕의 얼을 동학사에 모셨다. 그 후 어계 선생은 이곳에서 낚시로 여생을 보냈으며 지금은 후손들의 재실로 사용하고 있다. 대문채·재실·사당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대문채는 3칸으로 가운데 문을 높여 세운 솟을대문을 두었고 양쪽은 방으로 만들었다. 재실은 앞면 4칸·옆면 2칸 규모로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집이다. 一자형 평면으로 부엌이 없이 가운데 2칸을 대청으로 하고, 양쪽은 툇마루를 둔 방을 1칸씩 만든 후 주변에는 담을 둘렀다. 사당은 3칸 一자형 평면에..
고성 소산정사 ( 2022. 07.30. ) 고성 소산정사 固城 疏山精舍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93호 고성 소산정사는 집안의 글방으로 사용하던 서재 건물이다. 정사의 이름은 주변에 있는 소흘산의 이름을 따서 지은 것이다. 1890년에 처음 세웠으며 1915년에 크게 고쳐 지은 후 여러 차례 수리를 하였다. 이 정사는 함안 이씨 문중의 소호공(小湖公), 군수군(郡守君)이 세웠다. 소호공은 관직에 나가지 않고 유학을 공부하였으며, 아들인 군수군은 목민관(牧民官)을 지낸 후 고향으로 내려와 후학을 양성하였다. 시루봉의 남쪽 비탈면 끝자락에 남서쪽을 향하여 자리 잡고 있다. 대문을 들어서면 맞은편에 소산정사가 있으며, 정자인 한루정과 창고, 부속 기와집이 각각 1채씩 있다. 한루정과 같은 규모의 호은정이라는 정자가 있었는데 1999년에 소실되었다. 소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