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전통건축 갤러리 ■/경 북

청도 비슬산 용천사 (2022.10.30.)

 

 

 

 

 

 

 

 

 

 

비슬산(琵瑟山) 용천사

 

 

청도군 각북면 비슬산 자락에 자리한

대한불교 조계종 제9교구 본사 동화사의 말사이다.

 

비슬산 동쪽 기슭에 자리 잡은 용천사는 670년 의상법사가 창건하여

옥천사라 하였는데 당시 옥천사는 해동화엄전교 10대 사찰중 한곳이었다

용천사라는 이름은 맑고 풍부한 석간수가 끊임없이 용솟음쳐 흘러내리고 있어

용천(湧泉)이라 부쳐진 것이라고 전한다.

 

1267년 일연선사가 중창하여 불일사로 하였다가 다시 용천사로 고치고

임진왜란 이후 1631년 조영대사가 3중창하엿으며

1805년 의열화주가 크게 중수 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용천사에는 지금까지 24명의 도인이 나왔고 앞으로 104인의 도인이 더 나올것이라는

전설이 전해져 오고 있다

 

용천사의 전성기에는 일천여명의 승려가 수도하였고

부속암자들은 백련암, 청련암, 일련암, 남암, 서암, 내원암,부도암외 47개소에 이러렀다고 

전해지고 있으나 오랜세월속에 사라지고

사찰에서 30M 떨어진곳에 자리잡고 있는 2M 높이의 부도 6기가

용천사의 역사를 말해주고 있다

 

10월 30일(일) 오후에

'비슬산 용천사 산사음악회'가 열렸다

 

 

 

 

 

 

 

 

 

 

 

 

 

 

 

 

 

 

 

 

 

 

 

 

 

 

 

 

 

 

 

 

청도 용천사(湧泉寺)불교유적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비슬산(琵瑟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의상이 창건한 사찰.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桐華寺)의 말사이다.

670(문무왕 10)에 의상대사(義湘大師)가 화엄십찰의 하나로 창건하고

옥천사(玉泉寺)라 하였다.

 

1261(원종 2) 보각국존(普覺國尊)이 중건하고 절 이름을 용천사로 고쳤으며,

1631(인조 9) 조영(祖英) 3창하였고,

1805(순조 5)에는 의열(義烈)이 화주가 되어 중수하였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을 비롯하여 명부전(冥府殿산신각·요사채 등이 있다.

이 중 대웅전은 못 하나 사용하지 않은 매우 웅장한 건물로서

기둥 목재는 아름드리 칡덩굴을 사용하였다.

, 법당 안에는 상호가 좋은 거대한 삼존불이 봉안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옛 규모를 짐작할 수 있다.

 

절의 우물은 장마가 지거나 가뭄에도 증감이 없으며,

이 우물 속에는 1,000년 된 물고기와 500년 된 물고기가

살고 있다고 전한다.

[글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헐티재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정대리와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오산리·금천리를 연결하는 고개.

 

비슬산 북동쪽 산줄기와 연결된 헐티재[535m]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정대리에서 국가 지원 지방도 911호선과 902호선 도로를 따라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오산리와 연결되고,

동쪽의 임도를 따라 금천리와 이어지는 남북 방향의 고개이다.

 

헐티재까지 이어지는 지방도 911호선은 벚꽃길로 유명한 드라이브 코스이며,

도로를 따라 가창댐, 동제 미술관, 달성 조길방 가옥, 대구 미술 광장 등을 둘러볼 수도 있다.

 

헐티재 주변은 소나무 군락으로 뒤덮여 있고, 진달래, 철쭉 또는 고산 식물이 관찰된다.

헐티재 정상에는 청도군의 조형물인 씨 없는 감 청도 반시

청도 방면 오른쪽 커브길에 세워져 있다.

 

 

 

 

 

 

 

 

 


초보는 금호강·낙동강, 상급자는 헐티재 페달 밟으며 단풍길 달려보세요

동아일보 김화영 기자

 

 

대구는 자전거 타기 좋은 도시로 국내에서 손꼽힌다. 도시철도역사 등 곳곳에서 자전거를 무료로 빌려서 탈 수 있다.

 

279개 노선을 갖춘 자전거도로의 총길이는 1071km에 달한다. 대구와 100km 떨어진 부산을 5번 왕복할 수 있는 거리의 자전거도로가 대구 시내 전역에 조성돼 있는 것. 자전거를 타고 접근하지 못할 곳이 없을 정도다. 이렇다 보니 자전거로 출퇴근하는 시민들의 수도 다른 도시들보다 훨씬 많다.

 

잘 갖춰진 인프라를 활용해 대구 구석구석을 자전거로 돌아보는 것도 깊어가는 가을 특별한 추억을 만드는 방법 가운데 하나다.

 

대구시는 관광객과 주민이 자전거로 지역을 관광하는 데 활용할 수 있도록 올해 ‘2022 대구 자전거지도(BIKE MAP)’을 제작했다. 자전거로 돌아볼 수 있는 35개 코스가 지도에 담겼고, ··상급 등 자전거 숙련도에 따라 코스의 색깔을 다르게 표시했다. 자전거 무료대여소와 수리센터 등의 정보도 담겼다.

 

 

 초급자가 달리기 좋은 금호·낙동강변

 

가족이나 연인 등이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초급 코스를 대표하는 것은 금호강낙동강 코스. 대구시청 인근의 대구지하철 칠성시장역에서 시작해 도청교노곡교세천교강정고령보대실역에 이르는 27km 코스다. 

아스팔트 자전거 전용도로가 금호강변을 따라 조성돼있고 대부분의 구간이 평지여서 자전거 초급자들도 편안히 즐길 수 있다. 강 풍경과 절벽, , 습지 등을 한꺼번에 볼 수 있어 눈이 호강하는 코스다. 

금호강 생태조성사업이 이뤄짐에 따라 중간중간 휴식공간과 음료대 등도 설치됐다. 대구시 관계자는 칠성시장역과 동촌역 등 지하철과 연계가 좋아 가장 많은 시민이 찾는 코스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14km 달성습지코스도 초급자에게 크게 부담되지 않는다.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계명대역에서 시작해 화원읍 방향

왕복 8차로의 달서로 옆에 조성된 자전거도로를 따라 달리면 달성습지에 도착한다. 왼쪽에 습지를 두고 라이딩을 즐기다 보면 금세 강창역에 도착한다. 

금호강과 낙동강이 만나는 지점에 자연 조성된 달성습지 인근에 자전거를 세워두고 주변을 걸으며 습지 생태 학습을 체험할 수 있다. 강창역에 이를 때까지 금빛갈대가 즐비해 가을의 정취를 흠뻑 느끼기 좋다.

 

 

 전망 좋은 도동서원 등 중급 코스

 

자전거 타기에 자신감이 생긴 이들은 달성보에서 다람재와 도동서원을 거쳐 도동터널에서 다시 달성보로 돌아오는 

26km 도동서원 코스에 도전해볼 만하다. 

낙동강변을 따라 달리다 다람재와 도동서원을 지나치면 차 한 대 정도가 다니도록 조성된 좁은 아스팔트길을 만난다. 

도로 양옆으로 울긋불긋한 단풍나무가 우거진 오르막길을 지속해서 오르면 다람재 정상이 나온다. 여기에 자전거를 세워두고 발아래 펼쳐진 낙동강을 감상하며 힐링할 수 있다. 이곳은 차량 통행이 적어 내리막길을 조심스레 내달리며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다.

 

해발 811m의 환성산 아래 지역을 크게 한 바퀴 도는 총 68km의 은해사 코스(아양교역수성패밀리파크와촌은해사갓바위휴게소능성재파군재불로동아양교역) 12개 중급 코스 가운데 가장 길다. 금호강변은 자전거를 타기에 편한

평지이지만 은해사에서 갓바위휴게소 방향으로 이동하는 길은 오르막이 제법 많다.

 

아양교역에서 대구공항불로동백안 삼거리진안갓바위 삼거리갓바위집단시설지구를 들렀다가 되돌아오는 34km 갓바위 코스와 대구 자전거안전교육장에서 남지장사를 왕복하는 41km 남지장사 코스도 중급 코스로 분류된다.

 

 

 마니아라면 오르막 헐티재 등 상급코스

 

오르막이 전혀 두렵지 않은 자전거 마니아라면 헐티재 코스를 가면 흥미로울 것이다. 

가창댐에서 시작돼 대구 미술의 광장정대숲헐티재까지 18km가 지속해서 오르막이다. 벚나무 단풍터널 아래를

통과하기 쉽지 않다. 대구에서는 헐티재를 오를 수 있느냐가 자전거 상급자를 가르는 기준이 된다는 말도 있다.

 

이와 비슷한 듯 조금 다른 팔공산 순환코스가 있다. 불로고분군봉무공원파군재팔공터널백안동동화사수태골파계사에 이르는 50km. 파계사와 동화사 등 지역의 대표적인 문화재를 접할 수 있다. 공산터널을 통과하면 은행나무 가로수들의 노란 물결을 볼 수 있다. 50km를 다 돌지 않고 기량에 맞춰 일부 코스만 돌아보는 것도 좋다.

 

올해 대구 자전거 지도는 대구시 교통정책과나 8개 구군의 교통과로 문의하면 받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