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전통건축 갤러리 ■/전 남

해남 대흥사 - 2 (2016. 08.)
























해남 대흥사

海南 大興寺

 



[개설]

 

대둔사(大芚寺)’라고도 하며,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이다.

 


 

[역사적 변천]

 

1. 창건

 

대둔사지에 의하면, 이 절은 426(구이신왕 7) 신라의 정관존자(淨觀尊者)

 창건하여 만일암이라 하였고, “508년 이름을 전하지 않은 선행비구(善行比丘)가 중건하였다

 만일암고기의 기록과 “514(법흥왕 1) 아도(阿道)가 창건했다고 하는

 죽미기의 기록이 있다.

또한“895(헌강왕 11) 도선(道詵)이 당나라에서 귀국하여 500사찰을 짓는 것이 좋겠다

상소하였는데, 대흥사도 그 중의 하나라는 설 등이 모두 망라되어 있다.

그러나 대둔사지의 자료를 모았던 혜장(惠藏)은 이들 기록이 창건자의 활동시기로 볼 때

모두 신빙성이 없다고 보았다.

 

동국여지승람에는 이 절의 앞마당에 신암(信菴사은(思隱성유(性柔)

세 승려의 부도(浮屠)가 있었다고 했는데, 이들의 행적이 알려진 바는 없으나

고려시대 승려이므로 대흥사가 고려 이전에 창건된 것은 확실하므로,

혜장이 주장한 신라 말의 창건설을 따르고 있다.

그러나 임진왜란 이전에는 아직 대규모 사찰의 면모를 갖추지 못하였다.

 

 

2. 중수

 

이 절이 크게 중창된 것은 서산대사(西山大師)

대흥사를 삼재가 들어오지 않는 곳이요, 만세토록 파괴됨이 없는 곳이며,

종통의 소귀처(三災不入之處 萬歲不毁之處 宗統所歸之處)’라고 보고

자신의 의발(衣鉢)을 대둔산에 전할 것을 부촉(咐囑)한 임진왜란 뒤의 일이다.

 

1607(선조 40) 해남의 외딴 곳에 의발을 전한 서산대사의 배려에 의해서

이 절은 배불(排佛)의 강압 속에서도 많은 인재를 배출하는 선교양종(禪敎兩宗)의 대도량으로

면모를 일신하게 되었다.

 

그 뒤, 1665(현종 6) 심수(心粹)가 대웅전을 중창하였고,

1669(현종 10) 표충사(表忠祠)를 건립하였으며,

1811(순조 11) 천불전이 불타자, 1813년 완호(玩虎)와 제성(濟醒)이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내용]


  

 

1. 당우와 문화재


  

대둔사지에 의하면,

대흥사의 옛모습은 남원(南院)과 북원(北院)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북원은 대웅보전·나한전·시왕전(十王殿) 24개 소의 당우가 있었고,

남원은 극락전·대장전(大藏殿지장전 등 12개 소의 당우가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것을 그대로 받아들이기에는 다소 문제점이 있다.

 대흥사의 현재의 사역(寺域)은 북원보다 남원이 훨씬 넓은데도

좁은 북원 쪽에 더 많은 당우가 집중적으로 건립되었다는 것은 믿기 어렵기 때문이다.

 

현재의 대흥사는 사지(寺址)의 북쪽에서 흘러내리는 금당천(金塘川)의 냇물을 중심으로

가람이 남북으로 나누어져 있고, 지금도 남원·북원이라고 한다.

, 남원·북원의 법당들은 나름대로의 특색을 지닌 별원(別院)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북원의 대웅전을 중심으로 한 일군(一群)

남원의 중앙부에 있는 천불전과 서산의 유물이 있는 표충사를 중심으로 한 일곽,

다도로 유명한 초의(草衣)가 중건했던 대광명전(大光明殿)을 중심으로 한 일곽으로 분류할 수 있다.

 

대웅보전은 심수가 1665(현종 6) 봄에 중건을 시작하여

 1667년 가을에 완성한 건물로 전면 5, 측면 3칸의 다포집이다.

 대웅보전의 현판은 조선 후기의 명필인 이광사(李匡師)가 쓴 것이며,

 내부에는 조선 후기에 만든 목조삼존불과 광무연간에 조성된 후불탱화(後佛幀怜)를 비롯해서

감로탱화·삼장탱화·신중탱화·칠성탱화가 있다.

 대웅전 앞에는 침계루(枕溪樓)가 냇가에 연이어 있고,

 좌우에는 승사인 백설당(白雪堂세심당(洗心堂)이 있다.

백설당에는 김정희가 쓴 무량수각(無量壽閣)’의 편액이 있으며,

이 건물은 현재 큰방으로 사용되고 있다.

 

대웅보전 동편에는 응진전(應眞殿)이 있으며,

안에는 석가여래삼존불을 중심으로 16나한상이 봉안되어 있다.

응진전 앞에는 보물 제320호인 해남 대흥사 삼층석탑이 있다.

전하는 말로는 신라 자장(慈藏)이 중국에서 가져온 석가여래의 사리(舍利)를 봉안한 사리탑이라고 한다.

 

보물 제1807호 해남 대흥사 천불전은

1811(순조 11) 불탄 뒤 1813년에 중건한 것으로,

내부에는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52호인 대흥사 천불상이 봉안되어 있다.

이 천불상은 옥돌로 만든 것으로, 완호 등 10인이 6년에 걸쳐 경주 옥돌로 조성하였다.

천불이 완성된 뒤 해로를 통하여 이 절로 옮기다가 풍랑을 만나 표류하여 일본에 닿게 되었으나,

일본인들의 꿈에 이 천불이 나타나서 우리는 지금 조선국 해남의 대둔사로 가는 중이라 하여

다시 대흥사로 돌아오게 되었다고 한다.

 

천불전 좌우에는 불경을 배우는 학승들이 기거하는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93호인

 대흥사 용화당(龍華堂)과 강사가 기거하는 건물이 있으며, 정면에는 가허루(駕虛樓)가 있다.

 

표충사는 대흥사의 사격(寺格)을 말해 주는 대표적인 건물로,

임진왜란 때 승병을 조직하여 공훈을 세웠던 서산대사와 그의 제자 사명(四溟)

처영(處英)의 영정을 봉안했으며, 전라남도 기념물 제19호로 지정되어 있다.

 

표충사 일원의 당우 배치는 표충사를 중심으로 좌우에 표충비각(表忠碑閣)과 조사전(祖師殿),

정면에 삼문(三門), 삼문 밖에는 2층 누각인 의중당(義重堂)

앞쪽으로 중문인 예제문(禮齊門)과 정문인 호국문(護國門)이 있다.

, 의중당의 동쪽에는 서산대사의 유품을 비롯하여 절의 유물(遺物)을 보관하는

서산대사유물관이 있다.

표충사의 건물은 1789(정조 13)에 건립되었고,

편액은 정조의 친필이며, 정면 3칸의 맞배집이다.

 

의중당은 당시 6군의 군수가 봄·가을로 표충사에 제사지낼 때 가지고 온

제물을 차리던 곳으로 전면 5, 측면 3칸의 맞배집이다.

서산대사유물관에는 선조의 하사품인 옥발(玉鉢비취옥발(翡翠玉鉢수저·금란가사(金棋袈娑

금자병풍(金字屛風)과 표충사총섭사령패, 서산대사의 친필·교지·신발, 초의가 그린 관음도,

 대광명전상량문, 승군단(僧軍團) 표지물, 철제 방패, 금과 은으로 쓴 불경, 금동불상 등

24종의 유물이 있다.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94호인 대흥사 대광명전은

표충사 동쪽 300m 지점에 있으며, 조선 후기 초의가 건립하였다.

정면 3, 측면 3칸의 맞배집으로, 이 지역을 동국선원(東國禪院)이라고 부른다.

 내부에는 비로자나불상을 중심으로 좌우에 노사나불·석가불의 삼신불을 봉안하였고

 ()’자의 천장에는 연화문과 운학(雲鶴)을 그렸다.

이 연화문과 운학 문양은 그 색채뿐 아니라, 문양 자체가 다른 곳에서 보기 힘든 뛰어난 작품이다.

전하는 말로는 초의가 직접 단청을 하였다고 한다.

 

대광명전 옆에는 고승들의 영정을 봉안한 전면 8칸의 보련각(寶蓮閣)과 요사채가 있다.

이 밖에도 대흥사 역대 고승들의 부도와 비석을 봉안한 비전(碑殿)이 있다.

이 비전에는 보물 제1347호인 해남 대흥사 서산대사탑을 비롯하여 대흥사 13대종사와

13대강사 등의 부도와 비가 있다.

(글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라남도는 해남 두륜산 대흥사가 포함된 한국의 전통산사

2017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신청 대상으로 선정됐다고 2일 밝혔다.

    

한국의 전통산사

현재 신앙행위와 수행자의 삶이 공존하면서 이어져온 독특한 유산이다.

 

1500년 세월을 자연과 함께 어우러져왔다.

 

건축물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대표적 건축술의 계승이라는 가치를 지닐 뿐 아니라

신앙적 기능, 수행자의 삶과 문화를 포함한 의례까지 고스란히 담겨있는

살아 숨 쉬는 유산이다.

 

전체 신청 대상은 대흥사를 포함해

순천 선암사, 통도사, 부석사, 봉정사, 법주사, 마곡사로 전국 5개 도 7개소다.

 

세계유산은 훼손 위기의 유형유산(유적건조물 등) 보호에 목적이 있고,

국내적 중요성보다는 세계적으로 탁월한 보편적 가치(OUV, Outstanding Universal Value)

중요하게 여긴다.

 

해남 두륜산 대흥사(사적 제508호명승 제66)

 넓은 산간 분지에 도량이 조성돼 있다.

천불전 중심의 남원과 대웅보전 중심의 북원으로 영역이 나뉘는 가람 배치가 특징적이다.

둘 사이에는 계곡이 가로질러 자연스럽다.

이밖에 유불 융합의 표충사와 일지암 등 다양한 전각들이 지형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

 

그동안 한국의 전통산사는 세계유산 등재를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해왔다.

2014년 추진위원회(위원장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장 자승 스님)를 구성하고

 OUV 도출, 비교연구, 보존관리계획 수립을 마쳤다.

올해는 진정성과 완전성을 보강해 등재 신청서를 작성했다.

 

앞으로 기초연구를 통해 충분히 확보된 자료를 바탕으로

국영문 등재 신청서 보완 작업을 거쳐 2017년 최종 제출할 예정이다.

 ‘한국의 전통산사의 세계유산등재는 유네스코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의 현지 실사 등을 거쳐

2018년 결정될 전망이다.

    < 글출처 : 데일리저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