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전통건축 갤러리 ■/경기도

양평 용문사 - 2 ( 2013. 10.)

 

 

 

 

      용문사(양평군)

 

 

용문사(龍門寺)는 경기도 양평군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이다.

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의 말사로, 양평군 용문면의 용문산 자락에 있다.

 

신라 신덕왕 2년인 913년에 승려 대경(大境)이 창건한 것으로 전해진다.

다른 설에 따르면 신라 마지막 왕인 경순왕이 행차하여 직접 세웠다는 이야기도 있다.

고려 우왕 4년인 1378년에 지천(智泉)이 개풍군 경천사에 있던 대장경을 이 곳에 옮겨 봉안했다.

 

조선 세종 29년인 1447년에 세종의 둘째 왕자인 수양대군이 어머니인 소헌왕후 심씨를

위해 보전을 다시 지었다. 수양대군은 왕이 된 뒤 왕명으로 용문사를 중수하도록 하는 등

관심을 보였다. 이후 여러 차례 중창했으나, 대한제국 순종이 왕위에 오른 1907년에

대한제국 군대 해산으로 의병 운동이 일어나면서 의병의 근거지로 사용되자 일본군이

불태워버렸다.

 

1909년부터 차츰 중건하여 남아 있는 건물은 대부분 현대에 새로 지어진 것들이다.

(글자료: 위키백과)

 

 

 

 

 

 

 

 

 

 

 

 

 

 

 

 

 

 

 

 

 

 

 

 

 

 

 

 

 

 

 

 

 

 

 

 

 

 

 

 

 

 

 

 

 

 

 

 

 

 

 

 

 

 

 

 

 

       양평 용문사 은행나무 (楊平 龍門寺 은행나무)

 

 

은행나무는 살아 있는 화석이라 할 만큼 오래된 나무로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중국에서 유교와 불교가

전해질 때 같이 들어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가을 단풍이 매우 아름답고 병충해가 없으며 넓고 짙은 그늘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어

정자나무 또는 가로수로도 많이 심는다.

 

용문사의 은행나무는 나이가 약 1,100살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 42m, 뿌리부분 둘레 15.2m이다. 우리나라 은행나무 가운데 나이와 높이에 있어서

최고 높은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줄기 아래에 혹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나무는 통일신라 경순왕(재위 927∼935)의 아들인 마의태자가 나라를 잃은 설움을 안고

금강산으로 가다가 심었다는 전설과 의상대사가 짚고 다니던 지팡이를 꽂아 놓은 것이 자라서

나무가 되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이 외에도 나무를 자르려고 톱을 대었는데 그 자리에서 피가 났다는 이야기,

정미의병(1907) 항쟁 때 일본군이 용문사에 불을 질렀는데 이 나무만 타지 않았다는

이야기들이 전해지고, 나라에 큰 일이 일어날 때마다 소리를 내어 알렸다고도 한다.

 

용문사의 은행나무는 조선 세종(재위 1418∼1450) 때 당상관(정3품)이란 품계를

받을 만큼 중히 여겨져 오랜 세월동안 조상들의 관심과 보살핌 가운데 살아온 나무이며,

생물학적 자료로서도 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보호되고 있다.

(글 자료: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