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자료실 ■/외부 건축관련 자료

엎어진 채 600년 버틴 경주 열암곡마애불, 바로 세운다

엎어진 채 600년 버틴 경주 마애불, 바로 세운다

김현수 기자 khs@kyunghyang.com별 스토리 
 

2025년까지···바닥과 콧날 거리 ‘5cm’

 

 

경북 경주 남산 열암곡에서 발견된 마애불. 불상의 콧날과 바닥의 거리가 5㎝에 불과할 정도로 아슬아슬한 상태로 발견됐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경향신문
 
 

경북 경주 남산의 여러 계곡 중 하나인 열암곡에는 엎어진 채로 발견된 마애불이 있다. 2007년 5월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가 머리(불두)가 잘린 열암곡 석불좌상 보수를 위해 작업하던 중 이 마애불을 발견했다. 불상을 새긴 바위는 높이 5.6m, 무게는 70~80t으로 추정된다.

이 거대한 불상이 속절없이 고꾸라지면서도 코끝 하나 다치지 않아 ‘5㎝의 기적’이라고 불린다. 불상의 콧날과 바닥의 거리가 5㎝에 불과할 정도로 아슬아슬한 상태로 593년을 버텨내서다.

엎어진 채 땅을 보고 있는 경주 남산 열암곡 마애불을 바로 세우는 작업이 추진된다.

경주시는 대한불교조계종, 문화재청과 함께 열암곡 마애불을 2025년에 바로 세우는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라고 13일 밝혔다. 조계종은 앞서 지난 11일 ‘마애불 바로 세우기’를 포함한 주요 사업을 담은 ‘천년을 세우다’ 프로젝트 추진 준비위원회 발족식에서 사업 계획서를 공개하기도 했다.

경주시는 마애불을 세우는 방안과 관련해 안전성을 파악하는 시뮬레이션 연구를 진행 중이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맡은 ‘마애불 보존 관리 방안 연구 용역’에 대한 결과는 올해 8월에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발견 초기 불상의 모습. 흙을 조금씩 걷어내자 마애불상의 얼굴이 서서히 보이기 시작한다.|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경향신문
 
 

경주시 관계자는 “내년에는 불상과 같은 크기의 모형으로 모의실험도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열암곡 마애불은 과거 큰 지진 때문에 넘어졌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2018년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용역결과 보고서를 통해 이 불상이 약 600년 전에 넘어진 것으로 추정했다. 연도를 좁히면 진도 7 안팎의 지진이 잇따랐던 1430년이 유력하게 꼽혔다.

세종실록에도 서기 1430년 9월13일에 경북 경주시를 비롯한 경상도 일대에 큰 지진이 있어 났다는 기록이 있다. 집중 호우나 홍수에 따른 산사태도 붕괴의 요인이 될 수 있다.

발견 당시 문화재청은 마애불을 바로 세우려고 했지만, 작업은 쉽지 않았다. 무게가 70~80t에 달하는 데다 불상이 엎드려 있는 곳의 경사도도 40~50도에 달한다. 해발 300m가 넘는 산 중턱, 크레인 등이 동원되기에 협소한 산길 등도 작업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다.

 

 

경주 남산의 열암곡 절터 주변에서 확인된 마애불. 40도가량 경사진 곳에서 마애불을 새긴 바위가 엎어져 있다.|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경향신문

 

 

경주시 관계자는 “2021년 마애불 주변의 지반을 견고하게 다지기 위해 축대벽을 쌓아 올리는 보강 공사를 했다”며 “산사태나 호우로 바위가 훼손되지 않도록 마애불 주변에 철망을 설치하는 등 훼손 위험성도 줄인 상태”라고 말했다.

 

김현수 기자 khs@kyunghyang.com

ⓒ경향신문(http://www.khan.co.kr), 

 

 

 

 

 

 

 

 

경주남산 열암곡마애불상 (2021.02.27.)

아라가야 2021. 3. 2. 02:08 수정 삭제

 

 

 

 

 

 

 

 

 

남산 열암곡 마애불상

 

 

경주시가 엎드린 채 발견된 남산 열암곡 마애불상에 대해

2020년까지 불두 안정화와 석축 보강, 보호각 교체사업 등을 거쳐

안전한 관람환경을 조성하기로 했다.

이 불상을 세우는 방안에 대해서는 대해서는 문화재청, 불교계, 전문가 등 입장 차가 커

각계 의견을 수렴해 논의를 할 계획이다.

 

남산 열암곡 마애불상은 2007년 5월 22일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에서 열암곡 석불좌상(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13호) 보수 정비를 위해

유실된 부재, 사역배치, 발굴조사를 하던 중에 우연히 엎어진 채로 발견됐다.

특히 남산에 남아 있는 100여구의 불상 중 가장 완벽한 상태로,

오뚝한 콧날과 아래쪽 바위 사이의 간격이 불과 5cm에 불과해 큰 화제를 모았다.

 

마애불상 발견 이후 경주시는 주변정비와 함께 안전조치 및 점검을 실시했으며,

지난 2013년 7월 3일 문화재 사적분과 위원회의 현지조사 결과,

엎드려 있는 현재 상태로 보존하기로 결정했다.

 

이후 2015년과 2016년에 걸쳐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 용역을 의뢰해

입불방안을 모색하는 등 마애불의 얼굴을 드러내기 위한 논의가 진행됐다.

하지만, 머리에서 발끝까지 4m 60cm, 발 아래 연화 대좌가 1m로

전체 높이가 5m 60cm에 이를 만큼 거대한 마애불은 무게가 70~80톤에 달해

기술적 어려움과 함께 모의 실험을 위해서도 24억원이 드는 등 막대한 예산으로

입불은 추후 논의하기로 했다.

 

경주시는 2017년 7월 불상 주변 정비와 안정화를 위해 공기관대행사업으로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 ‘경주 남산 열암곡 마애불상 주변정비 방안 및 실시설계 용역’을 의뢰했으며,

곧 연구 용역 결과가 나올 예정이다.

용역은 마애불상 정비 및 보존관리 방안, 불상 활동방지 시설,

보호각 및 관람 환경 조성, 비탈면 안정성 확보 실시 설계, 마애불상의 전도시기,

마애불의 원위치와 방향 추정 연구 등이다.

 

현재까지 용역 결과, 불상의 축조 시기는

인근에서 발견된 토기의 연대측정을 토대로 통일신라시대인 8세기 후반경에 만들어졌으며,

전도 시기는 조선 명종 12년 1557년에 지진으로 넘어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2018년 12월 9일 경주 남산 열암곡 마애불상 현장을 방문한 주낙영 경주시장은

“기울어진 결함으로 유명한 피사의 사탑이

이탈리아 당국의 끈질긴 복구 노력으로 최근 조금씩 바로서고 있다는 소식을 들었다”며,

“남산 열암곡 마애불은 당장 국보로 지정해도 손색이 없을 만큼 소중한 문화유산으로,

안전성 보강을 위한 섬세한 노력과 함께 많은 국민들이 찾을 수 있도록

편안한 관람환경 조성에도 최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글 출처 : 경주포커스 - 2018.12.11. )

 

 

 

 

 

 

 

 

 

 

 

열암곡 석불좌상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 노곡리의 절터에서 발견된 불상으로

신체는 늘씬한 편이고, 양 어깨에 걸쳐 입은 옷은 얇게 표현되었으며

옷주름은 비교적 세련된 모습이다

왼손은 손바닥을 보이며 손끝이 위로 향하게 들고 있고,

무릎 위에 얹은 오른손은 손등이 보이면서 손끝은 땅을 향하게 하고 있다.

불상이 앉아 있는 대좌(臺座)의 아랫부분에는 아래로 향한 연꽃잎이 새겨져 있고

윗부분에는 위로 향한 연꽃잎이 새겨져 있다.

 

대좌의 연꽃무늬 장식과 굴곡이 없이 늘씬한 신체

옷주름의 세련된 기법 등으로 미루어 보아 통일신라시대인 8세기 말에서

9세기 초에 만들어진 작품으로 추정된다

(글출처 :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