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 선교장의 조영방식에는 특별함이 있다.
조선시대 사대부가의 일반적인 정형화 된 구성방식에 얽메이지 않고,
개방적이고 자유스러운 구성으로 펼쳐서 배치하고, 유기적으로 연결했다.
그래서 담장을 대신하는 전면 23칸의 아주 긴 문간채가 생겼다.
집의 배치는, 전체적으로 경포호쪽을 피하고 배다리골 내부를 향하도록
서남향으로 돌려서 앉혔다.
전망보다는, 전면이 너무 열리는 것을 경계한 풍수지리설의 결과로 생각된다.
장원의 규모를 대변하고 있는 문간채에는,
선교유거仙嶠幽居라는 현판이 걸린 솟을대문과 평대문,
각각 2개의 대문이 일직선상에 있다.
솟을대문은 사랑채와 서별당이 있는 서쪽의 접객용 공간으로 연결되고,
내외벽이 있는 평대문은 안채와 동별당이 있는 동쪽의 가족용 공간으로 통한다.
대문이 2개인 경우는 한옥에서 사례를 찾아보기 힘든데,
안채 가족들의 편리를 위한 큰 배려로 보인다......
주거건축-001. 강릉 선교장 - 경포호의 달 뜨는 장원
728x90
반응형
LIST